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의 전통한지 :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었던 한지는 한지가 아니다 / 김호석,임현아,정재민,박후근 지음
한국의 전통한지 :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었던 한지는 한지가 아니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의 전통한지 :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었던 한지는 한지가 아니다 / 김호석,임현아,정재민,박후근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선, 2019
  • ·형태사항 239 p. :삽화(일부천연색), 초상 ;23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21개 전통한지 업체 현황(2019년 9월 말 기준) ; 전통한지 연구모임 활동사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3125916  03600: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86.221  듀이십진분류법-> 676.22  
  • ·주제명 한지[韓紙]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호석,임현아,정재민,박후근 지음 2019 SE0000486568 586.221-19-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호석,임현아,정재민,박후근 지음 2019 SE0000486569 586.221-19-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전통한지 원형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며 / 김호석-9

제1장 전통한지의 정의 / 임현아-14
1. 한지의 역사-17 
2. 선지와 화지의 역사-20
3. 한지의 정의-22
4. 한지와 일반종이의 차이-23
5. 한지의 우수성-24
6. 한지의 연구 동향-25

제2장 전통한지는 무엇으로 만드나? (원료연구) / 정재민-30
1. 한지는 무엇으로 만드나-32
2. 닥나무란 무엇인가-42
3. 닥나무속 수종의 분포-50
4. 닥나무의 기원과 계통학적 연구-52
5. 닥나무의 번식법-59
6. 닥나무 인피섬유의 섬유 분석학적 특성-63
7. 닥나무의 신품종 육성-65

제3장 전통한지는 어떻게 만드나? (제조과정) / 임현아-68
1. 한지의 주재료-70
2. 한지의 부재료-72
3. 한지발 재료-78
4. 만드는 과정(제조과정)-82
5. 제조 방법에 따른 차이-89
6. 한지, 화지, 선지의 제조방법의 차이-91

【첨부】 국가·지방 무형문화재 전통한지 제작 도구 / 박후근-92

제4장 전통한지는 어떻게 완성되나 / 김호석-98
1. 표면 처리란-100
2. 표면 처리의 목적-101
3. 표면 처리의 역사성-102
4. 전통한지 표면 처리에 대한 문헌적 근거-102
5. 중국과 일본 종이의 처리와 가공 기술-107
6. 표면 처리에 사용되는 재료와 시행 실태-108
7. 표면 처리 방법-108

제5장 전통한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 임현아-114
1. 한지의 물리·화학적 측정방법-116
2. 조선시대 한지와 현대 한지와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분석-121
3. 한지와 화지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분석-123
4. 닥나무 종류별 한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비교 분석-124

제6장 전통한지 진흥을 위한 정책연구 / 박후근-126
1. 들어가는 말-128
2. 전통한지 진흥에 대하여-130
3. 정부가 시행한 전통한지 관련 정책과 사업-137
4. 전통한지 생산, 품질관리와 활용실태-146
5. 전통한지 원형재현 성공 사례-165
6. 전통한지 어떻게 진흥할 것인가-198
7. 맺는말-219

【첨부】 분야별로 적용 가능한 전통한지 표준안(5종)-222

결론 / 김호석-227

【부록1】 21개 전통한지 업체 현황 / 임현아-232
【부록2】 전통한지 연구모임 활동사항 / 박후근-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