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과 문식 활동 / 저자 : 이순영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과 문식 활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과 문식 활동 / 저자 : 이순영
  •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19
  • ·형태사항 xii, 234 p. :도표 ;23 cm
  • ·총서사항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443집)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19-229)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0318204  94370: \1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29.5  듀이십진분류법-> 028.5  
  • ·주제명 청소년[靑少年]독자(책)[讀者]문해[文解]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이순영 2019 SE0000482741 029.5-19-4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이순영 2019 SE0000482742 029.5-19-4=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독자의 개념과 특성-1
1. 독자 개념의 역사적 변천-3
1) 독자의 탄생-4
2) 독자의 대중화-14
3) 전자 매체 시대의 독자-21
2. 독자의 발달과 특성-29
1) 아동 독자의 발달과 특성-31
2) 어린이 독자의 발달과 특성-35
3) 청소년 독자의 발달과 특성-39
4) 성인 독자와 노인 독자의 발달과 특성-42

제2장 청소년 독자의 개념과 특성-49
1.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51
1) 청소년의 개념 논의-51
2) 청소년의 대상 범위-55
3)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57
2. 청소년 독자의 개념과 발달적 특성-58
1) 청소년 독자의 개념 논의-58
2) 청소년 독자의 특성 개관-62
3) 청소년 독자의 성취 수준-68
4) 청소년 독자의 정서적 특성-79

제3장 청소년 독자의 문식 환경과 독서 활동-85
1. 가정과 학교의 문식 환경과 독서 활동-87
1) 문식 환경의 개념-88
2) 가정의 문식 환경-92
3) 가정의 독서 활동-97
4) 학교의 문식 환경: 교실과 학교도서관-103
5) 학교의 독서 활동: 학교도서관과 교실 프로그램-110
2. 디지털 공간의 문식 환경과 독서 활동-120
1) 우리나라의 디지털 환경 개관-121
2) 세계 인터넷 프로젝트(WIP)와 청소년 독자들-125
3) 청소년의 스마트폰·인터넷 과의존의 문제-127
제4장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 연구 개관-135
1.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 연구 설계-137
1) 연구의 목적과 대상-137
2) 연구의 도구와 방법-139
2. 독자 정체성의 속성과 의의-142
1) 독자 정체성의 개념과 학문적 기반-142
2) 청소년 독자 정체성 연구의 의의-148

제5장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 이해하기-151
1. 해방구이자 위험한 공간, 웹: 소통하고 즐기고 해소하는 공간-154
1) 스마트폰 시대, ‘진짜 독서’의 위축-154
2) 스마트폰과 웹의 유혹 요인들-161
2. 고군분투하는 청소년 독자들: 하고 싶은 것, 해야 하는 것, 하기 싫은 것-169
1) ‘잘 읽기’와 ‘즐겨 읽기’의 딜레마-170
2) ‘자율 독서’와 ‘강제 독서’-174
3. 청소년 독자의 발달·정체·퇴보: 의미 있는 독서 경험과 독자의 발달 인식-177
1) 서책 독서의 가치-179
2) 의미 있고 행복한 독서 경험-184
3) 독서를 매개로 하는 소통의 힘: 책 수다, 독서 동아리, 디지털 공간의 참여-188
4) 독자로서의 발달 인식: 성장·정체·퇴보의 문제-191
4. 타인의 인식과 독자 ‘나’의 정체성: 합치되지 않는 시선들-195
1) 장님 코끼리 만지기: 동일한 독자, 상이한 시선들-196
2)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 그 복잡성-197
3) 청소년 독자의 정체성과 영향 요인: 독자 정체성과 타인의 인식에 대한 나의 인식-203

제6장 청소년 독자 연구의 요약과 과제-213

참고문헌-219
찾아보기-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