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횡단적 역사학으로 본 역사상의 주변부와 비주류 / 저자 : 정동준,한영화,조성산,이현주,박재우,박기수,이평수,오제연,나혜심
횡단적 역사학으로 본 역사상의 주변부와 비주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횡단적 역사학으로 본 역사상의 주변부와 비주류 / 저자 : 정동준,한영화,조성산,이현주,박재우,박기수,이평수,오제연,나혜심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9
  • ·형태사항 354 p. ;23 cm
  • ·총서사항 (동아시아 역사연구소 총서 ;20)
  • ·주기사항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682540  93900: \3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01  듀이십진분류법-> 901  
  • ·주제명 역사 이론[歷史理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정동준,한영화,조성산,이현주,박재우,박기수,이평수,오제연,나혜심 2019 SE0000473724 901-19-7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정동준,한영화,조성산,이현주,박재우,박기수,이평수,오제연,나혜심 2019 SE0000473725 901-19-7=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서문-5

제1부 주변부의 문화 수용과 변용 

■ 백제에서의 장군호 수용과 막부제 | 정동준-25 
1. 머리말-25 
2. 중국왕조에서 장군의 변천과 장군호-27 
3. 백제에서의 막부제 수용 양상-32 
4. 백제의 군사제도와 막부제-47 
5. 맺음말-56 

■ 6~7세기 삼국의 형률 적용 양상과 특징 | 한영화-59 
1. 머리말-59 
2. 삼국 형률의 적용 양상-61 
3. 도(盜)·겁죄(劫罪)와 천흥죄(擅興罪)-73 
4. 삼국 형률의 특징-84 
5. 맺음말-88 

■ 조선후기 성호학의 ‘지역성’ 담론 | 조성산-91 
1. 머리말-91 
2. 성호학의 동국 지역성 인식-93 
3. 성호학의 영남·서북 지역성 인식-109 
4. 맺음말-121 

제2부 역사상의 비주류와 편입 시도 

■ 욱면설화의 역사적 배경과 재생산 | 이현주-127 
1. 머리말-127
2. 욱면설화의 이해-129 
3. 욱면설화의 역사적 배경-136 
4. ‘여인왕생’ 인식과 욱면설화의 의미-143 
5. 맺음말-155 

■ 『 화해사전(華海師全)』 의 발견과 저작 연대 | 박재우-157
1. 머리말-157 
2. 발견 및 간행의 문중사-158 
3. 판본의 비교와 내용-168 
4. 저작 연대의 추정-175 
5. 맺음말-190 

■ 신상(紳商)으로서의 광동행상(廣東行商) 이화행(怡和行) 오병감(伍秉鑒: 1769~1843) | 박기수-195 
1. 머리말-195 
2. 신상(紳商)으로서의 오병감-200 
3. 근대서양문물에 대한 이해와 의료(醫療)상의 공헌-224 
4. 맺음말-231 

제3부 소외된 자들의 잊혀진 역사 

■ 명말청초의 잊혀진 문인 세계: 『 금세설(今世說)』 의 분석 | 이평수-237 
1. 머리말-237 
2. 『 금세설(今世說)』 의 해제-241 
3. 『 금세설(今世說)』 의 사료적 가치-246 
4. 『 금세설(今世說)』 과 강남(江南)의 문인결사(文人結社)-253 
5. 『 금세설(今世說)』 과 청조(淸朝), 그리고 저자 왕탁(王晫)-261 
6. 맺음말-267 

■ 일제강점기 학병 지원 동기에 대한 기억과 망각 | 오제연-273 
1. 머리말-273 
2. 학병 출신의 집단 기억 변천-278 
3. 학병 기억의 균열과 망각-291 
4. 맺음말-303 

■ 횡단적 삶의 방식인 이주 그리고 재독 한인의 삶 | 나혜심-307 
1. 머리말-307 
2. 이주를 횡단적 삶으로 이해할 필요성-311 
3. 재독 한인의 이주, 그 횡단적 의미-325 
4. 맺음말-338 

·출처-341 
·찾아보기-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