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난징대학살 = Nanjing massacre : 진상과 역사 기록을 담다 / 장롄홍,쑨자이웨이 엮음 ;신진호,탕쿤 옮김
난징대학살 = Nanjing massacre : 진상과 역사 기록을 담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난징대학살 = Nanjing massacre : 진상과 역사 기록을 담다 / 장롄홍,쑨자이웨이 엮음 ;신진호,탕쿤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9
  • ·형태사항 382 p. ;24 cm
  • ·총서사항 (민속원 아르케북스 =Minsokwon archebooks ;132)(민속원 ;1692)
  • ·주기사항 원표제:南京大屠杀 研究
    원저자명: 張連紅, 孙宅巍, 唐坤
    색인수록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513222  94380: \3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2.072  듀이십진분류법-> 951.042  
  • ·주제명 난징 대학살[南京大虐殺]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장롄홍,쑨자이웨이 엮음 ;신진호,탕쿤 옮김 2019 SE0000465753 912.072-19-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장롄홍,쑨자이웨이 엮음 ;신진호,탕쿤 옮김 2019 SE0000478999 912.072-19-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장롄홍,쑨자이웨이 엮음 ;신진호,탕쿤 옮김 2019 SE0000479000 912.072-19-1=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서문-4

제1장 난징 보위전 연구 - 중국군을 중심으로-014
      1. 난징 보위전의 배경-14
      2. 난징 보위전의 준비-19
      3. 난징과 생사를 함께 하겠다는 맹세-중국 군대의 완강한 저항-30
      4. 장한 의지는 보답을 받지 못했다-난징 보위전의 실패 원인-54
      5. 맺음말-6

제2장 난징대학살 기간 미국 선교사의 일본군에 대한 태도-070
      1. 일본군에 대한 선교사들의 환상-71
      2. 일본군의 만행에 대한 선교사들의 개입-74
      3. 세계평화 수호자로서의 입장-78

제3장 난징대학살 중의 성폭력과 성별 분석-080
      1. 난징대학살 기간의 성폭력-81
      2. 성폭행이 여성에게 주는 상처-86
      3. 젠더의 시각에서 성폭력을 투시하다-87
      4. 맺음말-102

제4장 국민당의 전시 대외선전과 난징대학살 진상 전파-106
      1. 국민당의 전시 대외선전-106
      2. 국민당 전시 대외선전 부문이 조직한 난징대학살 진상 전파 활동-109
      3. 몇 가지 결론-118

제5장 옌안(延安) 중국공산당 신문잡지와 도서의 일본군 난징대학살 보도와 평론-132
      1. 옌안 지역의 수없이 많은 중국공산당 신문잡지-133
      2. 1938년 2월 25일, 옌안 중국공산당 신문잡지의 일본군 난징대학살 최초 보도-136
      3. 중국공산당 지도자가 난징대학살을 함락지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삼다-142
      4. 맺음말-149

제6장 난징대학살 기간 난징 국민의 반항-152
      1. 대학살 중 난징 군민의 반항 기록-152
      2. 대학살 중 난징 군민의 기본적 표현-154
      3. 난징 군민들이 보여준 대응의 원인 분석-161
      4. 맺음말-177

제7장 일본군의 배치 및 전략적 의도와 난징대학살의 원인-180
      1. 난징 공격의 경과-181
      2. 일본군의 대규모 섬멸전-187
      3. 속전속결 작전-191

제8장 난징대학살 피해자의 구성 - 난징시 상주인구를 중심으로-198
      1. 전쟁 전 난징 상주인구의 구성과 변동-199
      2. 난징대학살 발생 후 스미스의 조사-203
      3. 전쟁 이후 난징 대학살 사망 인구의 사회 조사-206
      4. 두 차례 조사 통계 결과의 추세-209

제9장 난징대학살 사건에 대한 국민정부 재판의 사회적 영향-214
      1. 재판 초기의 사회 참여-215
      2. 재판의 사회 전파와 사회적 영향력-219
      3. 대중의 감정과 법리 원칙의 충돌 및 조정-222
      4. 맺음말-226

제10장 도쿄재판, 사실과 논쟁-230
      1. 도쿄재판과 관련된 몇 가지 기본적 사실들-231
      2. 도쿄재판에서의 난징대학살-239
      3. 도쿄재판에서의 쟁점-245
      4. 맺는 말-250

제11장 공간, 의식과 사회기억 - 장둥먼江東門 기념관을 중심으로 한 고찰-254
      1. 기념관의 건립 배경과 건설 과정-254
      2. '공간': 생성, 구성, 조성-266
      3. '의식': 시간, 내용, 말-291
      4. 기념 장소와 사회 기-311

제12장 민국 명사들이 그려낸 난징대학살-322
      1. 국민당 고위인사가 그려낸 난징대학살-324
      2. 경험자가 그려낸 난징대학살-334
      3. 문화 명사가 그려낸 난징대학살-341
      4. 중국 공산당측이 기록한 난징대학살-348
      5. 맺음말-350

제13장 일본 학술계 '난징대학살 서건' 논쟁 및 각 파의 논점-354
      1. 난징대학살 사건 논쟁에 관한 간략한 회고-354
      2. 90년대부터 지금까지, 논쟁의 반복과 첨예화-360
      3. '허구파'와 '긍정파'의 주요 관점-363
      4. '허구파'의 최근 동향-369
      5. 난징대학살사건에 관한 일본 역사교과서의 기록과 그 변천-374

찾아보기-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