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분단시대 월남민의 사회사 = The social history of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divided era : 정착, 자원, 사회의식 / 김성보 편 ;이세영,김세림,차철욱,김아람,양정필,이준희,이봉규,김선호,한성훈,윤정란,김성보 [저]
분단시대 월남민의 사회사 = The social history of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divided era : 정착, 자원, 사회의식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분단시대 월남민의 사회사 = The social history of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divided era : 정착, 자원, 사회의식 / 김성보 편 ;이세영,김세림,차철욱,김아람,양정필,이준희,이봉규,김선호,한성훈,윤정란,김성보 [저]
  • ·발행사항 서울 : 혜안, 2019
  • ·형태사항 398 p. :삽화 ;24 cm
  • ·총서사항 (연세국학총서 ;117)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4946224  93910: \3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7  한국십진분류법-> 331.39  듀이십진분류법-> 951.904  듀이십진분류법-> 325.21  
  • ·주제명 분단 시대[分斷時代]북한 난민[北韓難民]한국 현대사[韓國現代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성보 편 ;이세영,김세림,차철욱,김아람,양정필,이준희,이봉규,김선호,한성훈,윤정란,김성보 [저] 2019 SE0000458981 911.07-19-7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성보 편 ;이세영,김세림,차철욱,김아람,양정필,이준희,이봉규,김선호,한성훈,윤정란,김성보 [저] 2019 SE0000458982 911.07-19-7=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간행사-5
 책을 펴내며-7

제1부 월남민의 지역 정착과 공동체 형성

 이세영|해방~한국전쟁기 인천 지역 월남민의 정착과 네트워크 형성-23
1. 머리말-23
2. 월남민의 인천 유입-26
3. 월남민의 지역사회 정착-33
4. 월남민 네트워크의 형성과 정체성-50
5. 맺음말-62

 김세림|1950년대 공주 유구지역의 피난민 정착촌 형성과 직조업-67
1. 머리말-67
2. 황해도에서 인천, 다시 유구로-70
3. 직조업을 중심으로 한 피난민 정착촌 형성-82
4. 맺음말-93

 차철욱|부산지역 피란민 유입과 공간 만들기-우암동 피란여성을 중심으로-101
1. 머리말-101
2. 재현되는 피란민 마을과 피란민-104
3. 피란민의 이주와 정착-109
4. 피란여성들의 전쟁경험-116
5. 피란여성의 생활주기와 공간 만들기-122
6. 맺음말-우암동 사람되기-127

 김아람|38선 넘고 바다 건너 한라산까지, 월남민의 제주도 정착 과정과 삶-131
1. 머리말-131
2. 해방 후 월남과 한국전쟁기 피난-137
3. 교회의 설립과 월남민의 정착-146
4. 정착사업장 기획과 ‘법호촌’ 형성-155
5. 맺음말-165

제2부 월남민의 정착 자원과 사회 연결망

 양정필|월남 개성인의 정착과정과 개성의 유산-173
1. 머리말-173
2. 월남 개성인의 기업 활동과 상업적 유산-177
3. 인삼업의 유산과 월남 개성인의 인삼업 재개-189
4. 월남 개성인의 정착 과정과 동향인의 지원-197
5. 맺음말-201

 이준희|평양고보 출신 엘리트의 월남과정과 정착지-207
1. 머리말-207
2. 평양고보와 평고정신-210
3. 월남동기와 월남 초기 정착과정-215
4. 한국전쟁 이후 평고 출신 월남민들의 정착지와 그 특징-220
5. 맺음말-229

 이봉규|서북출신 엘리트의 해방 후 남한 관료 진출-233
1. 들어가며:서북출신/월남민/관료는 누구인가-233
2. 주요 서북출신의 남한 관료 진출-237
3. 식민관료의 행정체험과 해방 후 재생-245
4. 나가며:월남민 관료의 정체성 만들기-256

 김선호|인민군 병사들의 경계 넘기-월남병(越南兵)과 분단체제-261
1. 머리말-261
2. 월남병의 양상과 변화:반혁명세력과 반체제세력-264
3. 월남병의 조사와 처리:‘귀순자’와 ‘모략분자’-276
4. 월남병의 대북 특수전:토벌·유격전·첩보전-282
5. 맺음말-289

제3부 월남민의 정체성과 분단의식 변화

 한성훈|월남민의 서사-출신지와 이산가족, 전쟁 체험을 중심으로-295
1. 분단과 월남민-295
2. 출신지:‘이북’이라는 숙명-298
3. 이산가족:북쪽의 가족과 남쪽의 삶-303
4. 전쟁 체험:실존과 삶의 분기점-309
5. 맺음말-316

 윤정란|월남 서북지역민들의 역사적 정체성 재확립과 강화, 1960~1970년대-321
1. 머리말-321
2. 박정희 정권의 창출과 월남 서북지역민들-324
3. 독립유공자포상과 월남서북지역민들의 역사적 정체성의 재확립-329
4. 월남 서북지역 출신 학자들의 학교 교육정책 주도와 적극적인 참여-336
5. 어린이대공원에 세워진 이승훈과 조만식 동상, 그리고 기념사업-346
6. 맺음말-353

 김성보|북미주 이민 월남민의 민족통일운동과 이산가족 찾기 사업-‘분단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359
1. 머리말-359
2. 월남민 구술자들의 북미주 이민 시기와 동기-364
3. 북미주 이민 월남민의 민족통일운동-371
4. 북미주의 이산가족 찾기 사업과 고향 방문-377
5. 맺음말-385

 출 전-389
찾아보기-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