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 (The) study of historical novel on 16th century : 16세기 소설사 / 지은이 : 민족문화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김현양,조현설,김준형,윤세순,신상필,정출헌,정환국,장영희,장경남,조상우,한의숭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 (The) study of historical novel on 16th century : 16세기 소설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 (The) study of historical novel on 16th century : 16세기 소설사 / 지은이 : 민족문화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김현양,조현설,김준형,윤세순,신상필,정출헌,정환국,장영희,장경남,조상우,한의숭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07
  • ·형태사항 367 p. ;24 cm
  • ·주기사항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262499  9381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3.509  듀이십진분류법-> 895.732  
  • ·주제명 한국 고전 소설[韓國古典小說]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민족문화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김현양,조현설,김준형,윤세순,신상필,정출헌,정환국,장영희,장경남,조상우,한의숭 2007 SE0000434014 813.509-18-19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민족문화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김현양,조현설,김준형,윤세순,신상필,정출헌,정환국,장영희,장경남,조상우,한의숭 2007 SE0000434015 813.509-18-19=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1부 16세기 서사문학사의 지형
 16세기 소설사의 지형과 위상: 이념의 서사, 흥미의 서사, 욕망의 서사 / 김현양
 
 조선 전기 귀신이야기에 나타난 신이(神異) 인식의 의미 / 조현설
  1. 신이 인식과 유가적 주체의 문제
  2. 경연과 상소 그리고 귀신의 위치
  3. 조선 전기 귀신이야기에 나타난 신이 인식의 두 형식
  4. 귀신이야기의 탈유가적 성격과 조선 전기 서사문학사의 변동
  5. 신이의 문학사를 위하여

 조선 전기 필기·패설·전기의 넘나듦 / 김준형
  1. 조선 전기 필기·패설·전기
  2. 필기·패설·전기의 넘나듦의 양상과 의미
  3. 단편 서사류의 장르 교섭을 위한 제언

 중국소설의 국내 유입과 향유 양상 / 윤세순
  1. 고전소설에서 중국소설의 영향
  2. 중국소설의 유입 배경
  3. 16세기 중국소설의 향유 양상과 그 의미
  4. 여언(餘言)-소설독자층의 형성 문제
 
 형식과 이데올로기의 불화: 16세기 몽유록(夢遊錄)의 생성과 전개 / 조현설
  1. 왜 몽유록인가?
  2. 16세기 새로운 서사 환경과 몽유록의 생성
  3. 형식과 이데올로기의 불일치
  4. 16세기 몽유록의 소설사적 위상

 소설 주해 작업의 현실적 기반: 『전등신화구해(剪燈新話句解)』의 경우 / 신상필
  1. 『전등신화』와 그 주변
  2. 『전등신화』에 관한 논란과 변증
  3. 『전등신화구해(剪燈新話句解)』성립의 정황
  4. 『전등신화』독서열과 그 학습의 현장
  4. 보론-이본과 명칭에 대하여

 표기문자 전환에 따른 16~17세기 소설 미학의 변이 양상 / 정출헌
  1. 표기문자 전환을 다루는 시각
  2. 16세기 고전소설의 문학사회학적 지평과 표기문자 전환의 맥락
  3. 고전소설의 표기문자 전환과 그 미적 변이 양상
  4. 앞으로의 과제

2부 작품의 실재와 양상
 「설공찬전(薛公瓚傳)」파동과 소설인식의 추이 / 정환국
  1. 금서(禁書)와 소설
  2. 16세기 벽두에 터진 「설공찬전」파동
  3. 소설 인식의 변화와 그 향방
  4. 새로운 전망

 『기재기이(企齊記異)』의 성격과 위상 / 신상필
  1. 『기재기이』독법의 전개
  2. 전기소설의 전통에서 본 『기재기이』의 주제화 양상
  3. 작자의식의 지향과 그 소설사적 분기(分岐)
  4. 『기재기이』의 소설사적 위상

 필기(筆記)의 새로운 국면: 『기묘록(己卯錄)』·『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 장영희
  1. 16세기 필기의 변모
  2. 『기묘록(己卯錄)』의 기록적 특징
  3.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의 기록적 특징
  4. 필기의 전통과 16세기 필기의 기록문학적 특징

 이념의 서사화, 「천군전(天君傳)」 / 장경남
  1. 「천군전」의 등장
  2. 16세기 소설사의 한 경향 - 이념의 소설화
  3. 「천군전」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4. 소설 문학의 지평 확장의 계기
  
 대중화의식(對中華意識)의 구현체, 「최고운전(崔孤雲傳)」 / 조상우
  1.「최고운전」의 존재
  2. '대중화의식(對中華意識)'의 형성 배경
  3. 「최고운전」에 내포된 '대중화의식'의 의미

 「은아전(銀娥傳)」을 통해 본 인물전의 한 양상 / 한의숭
  1. 비교 연구의 미시적 접근
  2. 「은아전」의 서술 분절 비교
  3. 「은아전」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4. 전(傳)의 변모 과정에서 구전(口傳)의 역할

 16세기 후반 소설사 전환의 징후와 「수성지(愁城誌)」 / 김현양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