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난강망 : 전통 구전 명리학 : 사주명리 추명을 위한 용신 전투론 소개.중고급편 / 이진우 지음
난강망 : 전통 구전 명리학 : 사주명리 추명을 위한 용신 전투론 소개. 중고급편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난강망 : 전통 구전 명리학 : 사주명리 추명을 위한 용신 전투론 소개.중고급편 / 이진우 지음
  • ·발행사항 고양 : 좋은땅, 2018
  • ·형태사항 259 p. ;23 cm
  • ·주기사항 한자표제:欄江網
    참고문헌: p. 259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2226964  0318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88.5  듀이십진분류법-> 133.3  
  • ·주제명 명리학[命理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중고급편 이진우 지음 2018 SE0000424735 188.5-18-15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중고급편 이진우 지음 2018 SE0000424736 188.5-18-153=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I. 명리학 기본 개요
1. 명리학 기초
1.1 천지자연의 탄생
1.2 음(陰)과 양(陽)
1.3 천지자연을 구성하는 오행(五行)
1.4 하늘의 열 가지 물상(物像)
1.5 땅의 열두 가지 물상(物像)
1.6 주역(周易) 개요

2. 우주 만물의 공간적 표현
2.1 양의(兩儀)와 사상(四象)
2.2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의 의미
2.3 팔괘(八卦)가 전달하는 의미
2.4 원(圓), 방(方), 각(角)과 천(天), 지(地), 인(人)

3.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명리학
3.1 삼재(三災)를 막는 풍습
3.2 길일(吉日) 택하는 방법
3.3 개인별 상황에 따른 개운 법

II. 정통 명리학: 난강망 중고급편
1. 천간(天干) 십간(十干)의 계절별 특성
1.1 갑목(甲木)
1.2 을목(乙木)
1.3 병화(丙火)
1.4 정화(丁火)
1.5 무토(戊土)
1.6 기토(己土)
1.7 경금(庚金)
1.8 신금(辛金)
1.9 임수(壬水)
1.10 계수(癸水)

2. 십간(十干) 대운(大運)별 특성
2.1 갑(甲)목 대운(大運)이 왔을 때
2.2 을(乙)목 대운(大運)이 왔을 때
2.3 병(丙)화 대운(大運)이 왔을 때
2.4 정(丁)화 대운(大運)이 왔을 때
2.5 무(戊)토 대운(大運)이 왔을 때
2.6 기(己)토 대운(大運)이 왔을 때
2.7 경(庚)금 대운(大運)이 왔을 때
2.8 신(辛)금 대운(大運)이 왔을 때
2.9 임(壬)수 대운(大運)이 왔을 때
2.10 계(癸)수 대운(大運)이 왔을 때

3. 십간(十干) 대운(大運) 통변론
3.1 사주명리 통변의 기본 요체
3.2 용신(用神)론
3.3 용신(用神) 잡는 난강망 기준
3.4 사주추명을 위한 난강망 규칙

4. 천간(天干) 십간(十干)의 글자 간 전투론
4.1 천간(天干) 십간(十干)의 글자 간 전투론 기본 원리
4.2 천간(天干) 십간(十干)의 글자 간 전투 통변 기준 100
4.3 천간(天干) 십간(十干) 글자의 합(合)을 푸는 관계
4.4 난강망 통변 예제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