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문학과 섹슈얼리티 : 문학 속의 섹슈얼리티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인가 / 오세은 지음
문학과 섹슈얼리티 : 문학 속의 섹슈얼리티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인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문학과 섹슈얼리티 : 문학 속의 섹슈얼리티가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인가 / 오세은 지음
  • ·발행사항 고양 : 좋은땅, 2018
  • ·형태사항 397 p.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97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2226032  03800 :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09  듀이십진분류법-> 809  
  • ·주제명 섹슈얼리티[sexuality]문학 비평[文學批評]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오세은 지음 2018 SE0000419673 809-18-29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오세은 지음 2018 SE0000419674 809-18-29=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제1강 섹슈얼리티 - 푸코와 한국근대문학을 중심으로
1. 소설과 섹슈얼리티
2. 성담론(sexuality discourse) - 정신분석학에서 사회학으로
3. 한국근대소설에서 성담론의 특성
4. 섹슈얼리티 논의와 한국문학
5. 섹슈얼리티에 대한 이론적 접근
6. 푸코: '성', '지식', '권력'
7. 푸코 극복하기: 섹슈얼리티와 성별의 결합
8. 푸코 성담론(sexuality discourse)의 특성과 의의
9. 한국문학과 섹슈얼리티: 여성 섹슈얼리티의 경우
10. 결론과 의의

제2강 빌헬름 라이히의 성 혁명과 박성원 소설
1. 빌헬름 라이히: 생애와 의의
2. 20세기의 성: 프로이트와 라이히
3. 라이히의 성 혁명 - 결혼제도를 중심으로
4. 문학작품 감상하기
5. 생각해 볼 문제

제3강 성과 정치학, 케이트 밀레트 『성의 정치학』 - D.H. 로렌스, 헨리 밀러를 중심으로
1. 케이트 밀레트, 작가와 성담론
2. 『성의 정치학』은 무엇을 말하는가
3. 작가와 작품
4. 생각해 볼 문제

제4강 성과 권력: 미셀 푸코
- 1950, 1970년대 '양공주', '매춘녀' 소재 소설을 중심으로
1. 미셀 푸코
2. 성의 과학
3. 성의 역사
4. 성과 권력
5. 문학작품 감상 - '양공주'와 '매춘' 소재 소설을 중심으로
6. 생각해 볼 문제

제5강 보부아르 『제2의 성』 - 『안나 카레니나』, 『보바리 부인』, 『토지』, 『미망』, 『혼불』을 중심으로
1. 보부아르
2. 『제2의 성』
3. 여성을 위한 실존주의
4. 여성의 성
5. 보부아르가 주장하는 '진실성'과 그 의의
6. 생각해 볼 문제

제6강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섹슈얼리티 - 전경린 소설을 중심으로
1. 여성 섹슈얼리티의 사회학적 접근
2. 여성의 새로운 '몸' 인식: 재생산과 분리된 여성 섹슈얼리티
3. 여성담론의 문화적 기호 - 빅토리아시대를 중심으로
4. 전경린 소설과 여성적 섹슈얼리티 - 『내 생애 꼭 하루뿐인 특별한 날』, 『열정의 습관』의 문화기호적 분석을 중심으로
5. 생각해 볼 문제

제7강 남성작가와 성적 자유 - 사드, 마광수, 장정일을 중심으로
1. 남성성의 담론
2. 남성작가들과 성적 표현
3. 남근중심적 성담론 비판하기
4. 생각해 볼 문제

제8강 이성애/동성애의 정치학 - 이남희의 레즈비언 문학을 중심으로
1. '이성애'가 아닌 '동성애'
2. '도착'에서 '다양성'으로
3. 이성애에 대한 거부와 대안으로서의 '레즈비언'
4. 제도화된 이성애적 섹스/젠더 범주에 대한 거부
5. 이성애/동성애의 정치학
6. 이남희의 소설 『플라스틱 섹스』
7. 생각해 볼 문제

제9강 양성성과 성적 정체성 - 버지니아 울프의 『올란도』를 중심으로
1. 문제 제기
2. 양성성 이론
3. 버지니아 울프의 『올란도』 - '양성적 인간'을 중심으로
4. 생각해 볼 문제

제10강
포르노그래피의 정치학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를 중심으로
1. 린 헌트의 '포르노그래피의 발명'
2. 안드레아 드워킨의 『포르노그래피(여자를 소유하는 사람들)』
3. 포르노그래피 문학: 여성의 성 활동에 대한 남성 지배의 징후와 상징
4. 문학작품 감상하기
5. 생각해 볼 문제

제11강 근대성과 성 - 토마스 하디와 1920년대 '신여성'의 문학을 중심으로
1. 근대성과 섹슈얼리티
2. 토마스 하디 『비운의 주드』
3. 신여성의 삶과 문학
4. 결론
5. 생각해 볼 문제

제12강 현대사회의 성과 사랑 - 배수아의 『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를 중심으로
1. 앤소니 기든스, '현대사회의 성과 사랑'
2. 울리히 벡과 엘리자베스 벡, '신흥종교로서의 사랑'
3. 작품 감상 - 배수아 『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를 중심으로
4. 생각해 볼 문제

제13강 사이버 에로스
1. 산업시대, 탈산업시대와 섹슈얼리티
2. '인간과 기계', 그 통합체로서의 역사
3. 사이버펑크와 성적 정체성
4. 사이버펑크와 디스토피아
5. 과학 담론과 성차의 이데올로기
6. 테크놀로지와 성적 이미지
7. 가상섹스
8. 근육질 회로
9. 디지털 분노
10. 생각해 볼 문제

제14강 성의 역담론 - 『이갈리아의 딸들』과 〈안토니아스 라인〉을 중심으로
1. 게르드 브란튼베르그의 『이갈리아의 딸들』
2. 마를렌 고리스의 〈안토니아스 라인〉
3. 생각해 볼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