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시베리아의 향수 : 근대 한국과 러시아 문학, 1896-1946 / 김진영 지음
시베리아의 향수 : 근대 한국과 러시아 문학, 1896-1946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시베리아의 향수 : 근대 한국과 러시아 문학, 1896-1946 / 김진영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이숲, 2017
  • ·형태사항 444 p. ;22 cm
  • ·주기사항 표제관련정보: How Korea read Russian literature during colonial time
    참고문헌(p. 425-435)과 색인수록
    2011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11-812-A00215)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6921500  9389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06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 ·주제명 한국 근대 문학사[韓國近代文學史]러시아 문학[--文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진영 지음 2017 SE0000405865 810.906-18-10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_ 우리 안의 러시아 13
서문 

I 러시아라는 이름의 서양: 『해천추범』과 『전함 팔라다』
1. 1896년, 조선의 첫 러시아 여행 43  |  2. 1854년, 러시아 원정대의 첫 조선 탐사  
3. 비교되는 러시아 

II 시베리아의 향수: 러시아 방랑과 낭만의 시대색 
1. 개념으로서의 시베리아  |  2. 러시안 드림을 찾아서  |  3. 시베리아 방랑의 로맨티시즘  |  4. 낙토의 표상 시베리아  |  5. 시베리아 여행 담론과 이념 

III 삶의 텍스트, 소설의 텍스트: 이광수와 톨스토이 
1. 이광수가 읽는 톨스토이  |  2. 이광수 시대의 『부활』
3. 이광수가 쓰는 톨스토이  

IV 일본 유학생과 러시아 문학: 조선의 1세대 노문학도 
1. 근대 일본의 러시아어 교육장  |  2. 동경 외국어학교의 조선인 유학생 노문학도  
3. 와세다의 유학생 노문학도  |  4. 함대훈의 경우  |  5. 위대한 문학의 시대 

V 톨스토이냐 도스토옙스키냐: 1920년대 독법과 수용 
1. 논쟁의 배경  |  2. 사상이냐 예술이냐: 김동인의 비교론 
3. 도스토옙스키적 작가의 문제  |  4. 1930년대와 그 이후 

VI 거지와 백수: 투르게네프 번역의 문화사회학 
1. 가난의 시대와 문학  |  2. 가난에 내미는 빈손  |  3. 백수의 탄생

VII 신여성 시대의 러시아 문학: 카추샤에서 올렌카까지 
1. 연애의 발견: 카추샤와 콜론타이  |  2. 정조와 내조: 타티아나와 엘레나  
3. 사랑스러운 여자 올렌카

VIII 나타샤, 소냐: 여성의 이름을 부르다 
1. 나와 나타샤와 흰당나귀  |  2. 소냐와 순이
 
IX 실낙원인가 복낙원인가: 주을 온천의 백계 러시아인 마을 
1. 얀콥스키의 복낙원 ‘노비나’ |  2. 김기림의 실낙원 ‘노비나’  
3. 백색 위의 백색: 이효석의 주을과 하르빈

X 이태준의 붉은 광장: 해방기 소련 여행의 지형학 
1. 해방기의 소비에트 러시아 열풍  |  2. 붉은 광장의 미학  |  
3. 시베리아 유토피아니즘  |  4. 소련인의 웃음: 앙드레 지드와 이태준  |  5. 맺는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