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 현장 교사들이 쓴 역사교육론 / 전국역사교사모임 지음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 현장 교사들이 쓴 역사교육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 현장 교사들이 쓴 역사교육론 / 전국역사교사모임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휴머니스트, 2008
  • ·형태사항 461 p. :삽화, 지도, 초상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453-461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8622529  0390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07  듀이십진분류법-> 907  
  • ·주제명 역사 교육[歷史敎育]역사 지도법[歷史指導法]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전국역사교사모임 지음 2008 SE0000399080 907-18-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전국역사교사모임 지음 2008 SE0000399081 907-18-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전국역사교사모임 지음 2008 SE0000432889 907-18-2=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펴내며 현장 교사들, 역사교육의 거대 담론을 말하다 / 윤종배
서문 왜 지금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이야기하는가 / 편집위원

1부 ‘교과서’라는 이름의 책 

주제 1 | 역사교육과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 / 김한종
1. ‘교육과정’은 가르치는 데 중요한가 
2. 역사 교육과정의 어제와 오늘
3. 역사교육과정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4.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그 기대와 한계 
5. 역사 교사와 역사 교육과정

주제 2 | 역사 교과서 제도: 역사의 지식생산, 유통, 소비의 메커니즘 / 양정현 
1. 역사 교과서 제도의 그물
2. 국정, 검정 교과서의 생산과 유통
3. 시대상의 투영, 국정 국사 교과서의 명암
4. 역사 교사, 판매원 혹은 디자이너
5. 교사의 교육권, 그리고 교과서 자유 발행제

주제 3 | 교사의 교육과정, 배움책과 대안교과서 / 윤종배
1. 배움책의 탄생
2. 교육과정, 교과서, 그리고 배움책
3. 교과서의 문제점을 뛰어넘어
4. 다양한 배움책, 교육과정의 새 지평을 열다  
5. 배움책에서 대안 교과서로
6. 더 많은 대안 교과서를 위하여

주제 4 | 역사 수업의 대안 모색,  ‘읽는 학습지’ / 김종훈 
1. ‘사실’에서 ‘이야기’로
2. ‘읽는 학습지’를 만들자 
3. ‘읽는 학습지’ 주제 선정의 노하우 
4. ‘읽는 학습지’ 이야기 구성의 노하우
5. 수업은 어떻게 진행할까
6. 카이사르의 것은 카이사르에게로

2부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말한다

주제 1 | 2007년 개정 역사교육과정을 말한다 / 교육과정위원회
1. 시선집중! 새 교육과정   
2. 사회과 울타리 안에 따로 집을 짓다 
3. 5학년부터 12학년까지, 아이들이 만나는 역사 
4. 해묵은 과제, 계열성 
5. 미래 사회를 만드는 힘

주제 2 | 처음 만나는 ‘역사’ 어떻게 구성할까 / 방지원
1. 새 교육과정에게 ‘역사’의 정체성을 묻다 
2. ‘역사’ 속의 한국사와 세계사 
3. 역사 교과서를 상상하다 
4. 역사 교과서의 조건을 다시 생각한다

주제 3 | ‘한국문화사’란 무엇인가 / 대구역사교사모임
1. 오래된 문화사, 낯선 ‘한국문화사’
2. 한국문화사의 정체성을 찾아 
3. 한국문화사 교과서와 수업을 생각한다
4. 새로운 문화사 수업을 위하여

주제 4 | ‘동아시아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 황지숙
1. 새로운 과목 동아시아사
2. 동아시아사의 탄생 배경
3. 동아시아사 교육과정을 살피다
4. 미리 살펴본 동아시아사 교과서
5. ‘동아시아사’, 어떻게 가르칠까 
6. 자기 성찰적 관점을 기대하며

주제 5 | 세계사 교육과정의 미래 / 최재호
1. ‘한국에 세계사는 없다’
2. 세계사교육이 걸어온 발자취 
3. 현장에서의 개선 노력:《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의 성과와 한계
4. 세계사 교육과정의 변화: 달라진 세계사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5. 한국 세계사교육의 과제와 제언
6. 또 다른 대안의 세계사를 기대하며

3부 한국 사회의 미래와 역사교육

주제 1 | 역사교육에서 민족주의 문제를 어떻게 다룰까 / 부산역사교사모임
1. 왜 아직도 민족주의인가
2. 민족주의,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일까
3. 역사 교사가 부딪혀온 민족주의
4. 국사 교과서 속의 민족과 민족주의
5. 역사 수업과 민족주의, 그 대안을 찾아서
6. 민족주의, 폐기와 옹호를 넘어

주제 2 | 한.중.일 역사 교사 교류와 역사교과서 대화 / 박중현
1. 역사 분쟁으로 맞은 21세기
2. 역사 교과서 대화와 공동 교과서 제작
3. 공동 교과서가 만들어진 후
4. ‘우리’를 넘어 동아시아와 세계로

주제 3 | 전쟁 이야기로 평화를 말할 수 있을까 / 김남철 
1. 역사교육에서 전쟁과 평화
2. 교과서는 전쟁을 어떻게 그렸을까
3. 평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4. 아이들의 평화적 감수성을 위하여

주제 4 | 역사교육은 민주주의에 보탬이 될 수 있을까 / 김육훈
1. 과거의 힘
2. 목소리
3. 기억
4. 재구성
5. 그런데……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6. 기념하기. 그리고……

4부 역사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주제 1 | 여성의 역사, 여성의 눈으로 보는 역사 / 경기역사교사모임
1. 왜 여성적 시각의 역사를 고민하는가
2. ‘여성의 눈’으로 역사를 읽는다
3. 여성사 수업, 최소한의 자리찾기를 기대하며

주제 2 | 교실에서 ‘노동의 역사’ 수업하기 / 김민수
1. 잃어버린 노동의 역사
2. 노동의 역사, 새로운 역사?
3. 노동의 역사, 어떻게 가르칠까
4. 연대와 상생의 가치를 복원하기 위하여

주제 3 | 역사교육에서 지역사 끌어안기 / 오세운
1. 왜 지금 지역사를 말하는가
2. 중앙의 역사, 지역의 역사
3. 지역사를 위한 기초 다지기
4. 지역사 수업의 유의점
5. 지역사 수업의 실제
6. 다양한 지역사 연구와 활용을 꿈꾸며

주제 4 | 아이들과 함께하는 생활사 수업 / 안병갑
1. 공백 메우기 또는 인식의 전환
2. 교과서가 말하는 생활사
3. 교실에서 만나는 생활사 수업
4. 그래서 어쨌다는 건데?

주제 5 | 역사교육 속의 과학기술사교육 / 윤세병
1. 역사교육과 과학기술의 대화
2. 과학기술사에 어떻게 접근할까
3. 역사교육에서 과학기술사를 어떻게 가르칠까
4. 다양한 과학기술사 수업을 기대하며

출전을 나타내는 본문의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