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조선의 한글편지 : 편지로 꽃피운 사랑과 예술 / 박정숙 지음
조선의 한글편지 : 편지로 꽃피운 사랑과 예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조선의 한글편지 : 편지로 꽃피운 사랑과 예술 / 박정숙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다운샘, 2017
  • ·형태사항 432 p. :삽화 ;26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06-417)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8173984  03810 : \3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5  듀이십진분류법-> 951.902  
  • ·주제명 조선 시대[朝鮮時代]한글편지[便紙]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박정숙 지음 2017 SE0000388469 911.05-18-1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박정숙 지음 2017 SE0000388470 911.05-18-1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一 사대부 여성의 한글편지 
 ㆍ사대부 여성들의 사랑과 번뇌
1. '살았는가 여겨도 이승에 몸만 있다' 신천 강씨
2. '여보 남들도 우리같이 서로 어여삐 여기며 사랑할까요' 이응태의 부인
3. 조선 최초의 한글 조리서『음식디미방』을 저술한 정부인 안동 장씨 장계향
4. 가문을 지키기 위해「상언」을 올린 김만중의 따님 광산 김씨
5. 남편의 패덕을 경계한 호연재 안동 김씨
6. 추사에게 한글서예의 품격을 물려준 기계 유씨
7. 『규합총서』를 저술한 조선시대의 대표적 여류 지식인 빙허각 이씨
8. 한글서예 현대화의 가교 역할을 한 사후당 윤백영
9. 궁체의 유려한 세련미를 완성한 전문직 서사 상궁 서기 이씨ㆍ천일청ㆍ최장희ㆍ서희순ㆍ하상궁
10. 사도세자의 두 따님, 소설을 필사하다 청연공주ㆍ청선공주

二 사대부의 한글편지
 ㆍ조선 사대부의 욕망과 가족 그리고 예술
1. 현전 자료 중 최고(最高)의 한글편지를 남긴 군관 나신걸
2. 어머니의 죽음으로 서출의 굴레에서 벗어난 봉래 양사언
3. 시조와 가사 문학의 거장 송강 정철
4. '그리워 마오, 편안히 계시오' 학봉 김성일
5. 남편의 도리는 군자의 도가 처음 시작되는 곳 우복 정경세
6. 부인의 무덤 속에서 다시 살아난 사랑 소계 곽주
7. 우리말 시어를 귀신같이 풀어낸 고산 윤선도
8. 불구부종한 혼융적 한글 글씨를 쓴 미수 허목
9. 비춘(非春)늬 가족사, 인현왕후의 외조부 동춘당 송준길
10. 송자(宋子)로 일컬어진 조선의 거유 우암 송시열
11. 어머니에 대한 효심으로 한글편지를 남진 난은 이동표
12. 지행합일을 지향하여 올곧은 글씨를 쓴 창계 임영
13. 참치착락의 멋이 어우러진 산수화가의 한글편지 진재 김윤견
14. 서얼 출신으로 부사의 지위에 오른 청성 성대중
15. 한글편지로 부부 사랑의 모범을 보인 추사의 부친 유당 김노경
16. 부인 예안 이씨를 지극히 사랑한 추사 김정희
17. 거대한 규모의 역사서를 한글 필사본으로 남긴 석촌 윤용구
18. 국ㆍ한문 혼용 조사(弔辭)를 쓴 심산 김창숙

三 왕비의 한글편지
 ㆍ가족, 사랑, 정치 어느 것 하나 놓치지 않아...
1. 파란만장한 통한의 삶을 서예로 승화시킨 인목왕후
2. 소설 읽기를 즐기고 한글편지를 많이 남긴 인선왕후
3. 두뇌가 명석하고 기가 강하여 대신들에게도 거침없었던 명성왕후
4. 영욕이 얼룩진 짧은 삶 인현왕후
5. 『한중록』을 쓴 유려한 궁체의 달필가 헌경왕후
6. 수렴청정의 여 군주 정순왕후
7. 친정 가문에 소설 필사본을 남긴 효의왕후
8. 역대 왕후 가운데 최고의 명필 순원왕후
9. 개성이 뚜렷한 한글편지를 쓴 비운의 황후 명성황후
10. 품격 높은 궁체의 대가, 조선시대 마지막 황제의 비 순명효황후

四 군왕과 왕족의 한글편지
 ㆍ조선 군왕의 속사정
1. 한글 실용화의 본보기를 보여준 선조
2. 봉림대군 시절 장모에게 편지를 쓴 효종
3. 절제된 내용과 서체로 정이 듬뿍 담긴 한글편지를 쓴 현종
4. 엄정한 정자, 궁체 남필의 전형을 완성한 숙종
5. 글씨와 그림에 능한 명필가로, 문예부흥의 시대를 연 영조
6. 전 생애에 걸쳐 한글편지를 남긴 정조
7. 미완의 개혁가, 한글 문집을 남긴 효명세자(익종)
8. 부침(浮沈)이 거듭된 격정적 삶을 서화로 승화시킨 대원군 이하응

도판목록
판독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