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동중국해역에서의 한반도와 일본열도 =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in the maritime areas of the east China sea : its fundamental cultures and the people's lives : 그 기층문화와 사람들의 생활 / 하라지리 히데키,김명미 엮어옮김
동중국해역에서의 한반도와 일본열도 =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in the maritime areas of the east China sea : its fundamental cultures and the people's lives : 그 기층문화와 사람들의 생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동중국해역에서의 한반도와 일본열도 =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in the maritime areas of the east China sea : its fundamental cultures and the people's lives : 그 기층문화와 사람들의 생활 / 하라지리 히데키,김명미 엮어옮김
  •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7
  • ·형태사항 382 p. :삽화 ;24 cm
  • ·총서사항 (민속원 아르케북스 =Minsokwon archebooks ;079)(민속원 ;1470)
  • ·주기사항 원표제:東シナ海域における朝鮮半島と日本列島 :その基層文化と人人の生活
    원저자명: 原尻英樹
    참고문헌(p. 361-367)과 색인수록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510276  94380 : \3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80.91  듀이십진분류법-> 390.095  
  • ·주제명 생활 문화[生活文化]동중국해[東中國海]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하라지리 히데키,김명미 엮어옮김 2017 SE0000366081 380.91-17-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하라지리 히데키,김명미 엮어옮김 2017 SE0000366082 380.91-17-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한국어판 범례

서론
제1장 동중국해역의 주된 선행연구: 일본열도와 한반도를 중심으로

제2장 일본의 오도와 한국의 당 비교를 위한 노트: '노파'의 힘

제3장 제주도의 당과 이키 섬의 오도: 동중국해역에 공유화된 문화와 '신'

제4장 동중국해역의 기층문화로서 뱀 신앙: 미이케ㆍ오무타의 다이자야마 마쓰리

제5장 일본 식민지 인류학과 그 계승자들

제6장 마을의 여러 집단 활동으로 보는 '공동체': 제주도 O마을의 사례에서

제7장 제주도에서의 '공동체' 형성 유지와 종교성: O마을 사례로 보는 무속의 재고찰

제8장 서민생활사적 어프로치로 보는 제주도: 고광민의 연구에서

제9장 고리의 삼국지

제10장 제주도 무속연구의 현황과 과제

제11장 섬 지역 강강술래의 뜀뛰기 전통과 구애방식: 신안, 진도를 중심으로

맺음말

Introduction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