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 : 역사의 길목에 선 동아시아 지식인들 / 엮은이 : 미야지마 히로시,배항섭 ;지은이 : 김선희,노관범,무라타 유지로,문명기,미야지마 히로시,박소현,박훈,배항섭,스다 쓰토무,이경구,이새봄,조경달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 : 역사의 길목에 선 동아시아 지식인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 : 역사의 길목에 선 동아시아 지식인들 / 엮은이 : 미야지마 히로시,배항섭 ;지은이 : 김선희,노관범,무라타 유지로,문명기,미야지마 히로시,박소현,박훈,배항섭,스다 쓰토무,이경구,이새봄,조경달
  • ·발행사항 서울 : 너머북스, 2017
  • ·형태사항 495 p. ;22 cm
  • ·총서사항 (19세기의 동아시아 ;2)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69-488)과 색인수록
    본 출판물은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구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07-361-AL0014)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4606453  93910 : \2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0  듀이십진분류법-> 950  
  • ·주제명 동아시아사[東--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엮은이: 미야지마 히로시,배항섭 ;지은이: 김선희,노관범,무라타 유지로,문명기,미야지마 히로시,박소현,박훈,배항섭,스다 쓰토무,이경구,이새봄,조경달 2017 SE0000363770 910-17-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엮은이: 미야지마 히로시,배항섭 ;지은이: 김선희,노관범,무라타 유지로,문명기,미야지마 히로시,박소현,박훈,배항섭,스다 쓰토무,이경구,이새봄,조경달 2017 SE0000363771 910-17-1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1부_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지식인의 사유

1장 유학경제학이 가능한가?- 근대 이행기의 유학과 경제 _ 미야지마 히로시
1. 경제라는 말을 둘러싼 전통과 근대 
2. 심대윤과 『복리전서』 
3. 천후안장의 『공자와 그 학파의 이재학理財學원리』
4. 시부사와 에이이치의 『논어와 주판』론 
5. 앞으로 과제 
2장 국가(도의관)를 둘러싼 근대 한일 사상 비교 - 이기와 나카에 조민 _ 조경달
1. 약육강식 시대의 조선, 국가주의의 발생 
2. 국가주의의 성립: 박은식과 신채호 
3. 도의에 대한 확신: 이기의 사상 ① 
4. 도의와 결별: 이기의 사상 ②  
5. 나카에 조민과 비교
6. 정치와 도덕, 이기의 국가주의 
3장 19세기 중반 이후 한·중·일 3국의 실학 개념 _ 이경구 
1. ‘실학’ 개념 변화의 생명력
2. 19세기 후반 한국의 실학 개념과 새로운 계보
3. 19세기 후반 중국의 실학 개념 
4. 19세기 후반 일본의 실학 개념 
5. 실학 이후의 ‘실학’

2부_ 전통적 사유의 변화와 지속

4장 동학교도의 동학에 대한 이해와 유교 _ 배항섭
1. 동학과 동학농민전쟁의 관계
2. ‘개벽’ 사상으로서의 측면
3. 구제 수단으로서의 측면
4. 생활 윤리 및 변혁의 무기로서의 측면
5. ‘반란’의 무기가 된 지배이념
5장 근대 전환기 지식인들의 ‘문명’ 인식 - 유인석과 이기 _ 김선희 
1. 문명, 중화의 문명
2. ‘문명개화’의 도전 
3. 중화와 문명의 분리 
4. 최후의 유학자들과 「우주문답」의 질문들
5. 문명‘들’의 중첩
6. 신견문, 신사상, 신학의 도전 
7. 봉인된 미래와의 절연
6장 분기인가 수렴인가? -첸무와 푸스녠을 통해 본 민국시대 중국 학술사회의 풍경 _ 문명기
1. 민국시대 ‘학술사회’를 이해하는 방식
2. 첸무의 경?사 연구: 학술사적 맥락
3. 통通?전專과 경세經世?구진求眞: 첸무와 푸스녠의 분기
4. 게임의 규칙: 학술적 표준의 숙성과 학술사회의 수렴
5. 민국시대 학술사회의 수렴과 그 의미 
7장 19세기 전반 일본 지식인의 국체와 도 관념 -요코이 쇼난과 요시다 쇼인 비교 _ 스다 쓰토무
1. 깊이를 더해가는 요코이 쇼난 연구와 방향을 잃은 요시다 쇼인 상像
2. 1856년 이전 요코이의 ‘유도?무도’론
3. 1856년 이후 요코이, ‘강병론’으로 전환
4. 1855년 이전 요시다, ‘군신상하일체君臣上下一體’론 제기
5. 1855년 이후 요시다, 지켜야만 할 ‘국체’ 발견
6. 요코이와 요시다의 ‘무위武威’ 심성에서 나온 부국강병 
8장 유학적 관점에서 본 나카무라 마사나오의 문명론 _ 이새봄
1. ‘메이지 계몽사상’이라는 틀 
2. 문명 이해의 바탕
3. 문명의 내용: ‘인민’의 ‘품행’ 향상 
4. 품행의 기원: 천과 교법의 관계
5. 일본 유학과 문명 

3부_ 새로운 사유의 형성과 전유되는 전통

9장 대한제국 말기 동아시아 전통 한문의 근대적 전유 轉有 _ 노관범
1. 근대 한문의 발견 
2. 『고등한문독본』이라는 한문 교과서 
3. 『고등한문독본』의 당대적 사유 
4. 근대 한문의 의미 
10장 과도기의 형식과 근대성 - 근대계몽기 신문연재소설 『신단공안』과 형식의 계보학 _ 박소현
1. 근대성의 형식과 『신단공안』
2. 『신단공안』과 공안 그리고 근대 신문 
3. 『신단공안』과 탐정소설 
4. 억압된 근대성의 서사로서 『신단공안』
11장_ 19세기 전ㆍ중반 사무라이의 정치화와 ‘학당’ -미토번과 사쓰마번을 중심으로 _ 박훈 
1. ‘학당學黨’의 대두
2. 미토번 번교 고도칸과 신분제
3. 고도칸과 ‘학적 네트워크’ 
4. ‘학적 네트워크’와 ‘학당學黨’의 출현: 사쓰마번의 ‘근사록당’을 중심으로 
5. ‘학당’의 확산 
12장 신해혁명 시기의 민족문제와 중국 민족주의 - 캉유웨이의 『대동서』를 중심으로 _ 무라타 유지로
1. 제2대민족정책의 대두 
2. 캉유웨이와 『대동서』 
3. 종교와 대동 
4. 디스토피아dystopia로서 대동 
5. 자유와 통제 
6. 동화와 배제를 넘어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