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미적 근대의 주변부 : 추방당한 자들의 귀환 = Marginality of aesthetic modernity : return of the displaced : 김승옥, 서정인, 이청준, 한승원, 임철우 / 한순미 지음
미적 근대의 주변부 : 추방당한 자들의 귀환 = Marginality of aesthetic modernity : return of the displaced : 김승옥, 서정인, 이청준, 한승원, 임철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미적 근대의 주변부 : 추방당한 자들의 귀환 = Marginality of aesthetic modernity : return of the displaced : 김승옥, 서정인, 이청준, 한승원, 임철우 / 한순미 지음
  • ·발행사항 광주 : 문학들, 2014
  • ·형태사항 432 p. ;22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412-432
    2010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0-812-A00226)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2680844  0380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3.6209  듀이십진분류법-> 895.734  
  • ·주제명 소설 비평[小說批評]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한순미 지음 2014 SE0000360264 813.6209-17-1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한순미 지음 2014 SE0000360265 813.6209-17-1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4

서론. 중심에서 주변으로, 인식에서 감성으로
        1. 주변부에서 15
        2. 주변부의 지역적 조건: 공간, 언어, 역사 25 
        3. 미적 근대성과 시대문턱으로서의 1960년대 32
        4. 감성의 징후와 차이 41


1부. 공간의 역사: 두꺼운 역사 기억
        1. 잃어버린 것을 찾아서 51
        2. 혼돈의 역사를 사실적으로 기록하는 일: 서정인 57
            1) 상실: 기억 속의 고향 57
            2) 혼돈의 역사: 지리산 61
            3) 살아 있는 말 68 
        3. 역사의 이면을 읽는 설화적 상상력: 한승원 71
            1) 인간의 언어로 번역된 자연 71
            2) 폭력: 설화와 역사의 구조적 상동성 79
            3) 포구의 에로티즘에서 우주 바다로 84
        4. 떠남과 되돌아옴, 그리고 기다림: 이청준 88
            1) 절망: 섬과 바다라는 변곡점 88
            2) 운명의 큰산, 천관산 96
            3) 기다림의 노래 101


2부. 고통의 언어: 상처와 흔적
        1. 그날의 기억을 말할 수 있는가 113
            1) 소년들의 증언 115
            2) 야만의 역사 120
            3) 말이 될 수 없는 흔적들 124
            4) 쓸모없는 것들의 힘 133
        2. 우울과 유토피아: 서정인과 이청준 139
            1) 두려움과 불안, 환멸 142
            2) 박탈감과 권태 149
            3) 유토피아의 문제 159
            4) 운명공동체 165       
        3. 원한과 저주의 낙인: 한승원과 임철우 172
            1) 회귀하는 유령들 176
            2) 빨갱이와 문둥이: 전염의 공포와 소문 187
            3) 집단 폭력과 죄의식 205
            4) 증오의 깊이: 아버지들의 역사 212


3부. 추방당한 자들의 귀환: 애증의 변증
        1. 귀환, 추방의 형식 225
        2. 빼앗김과 부끄러움 233
        3. 불[火]의 기억 243
        4. 귀향 연습 254
        5. 고향을 왜 쓰는가 259
        6. 네 개의 고향 266
            1) 무질서와 타락: 돈 266
            2) 유민의 뿌리: 불덩이와 바다 271
            3) 매혹과 분리: 햇덩이와 섬 276
            4) 추방과 구원: 별 281


4부. 전통의 변용과 근대에 대한 탐문: 구원과 치유의 (불)가능성
        1. 트라우마 쓰기, 설화 쓰기 289
            1) 떠도는 넋: 도깨비, 이어도 290
            2) 희생의 표지: 아기장수 303
            3) 씻김: 바리데기 320
        2. 소리와 한(恨)의 다층: 매듭 풀기 332
            1) 정관(靜觀)과 생성 333
            2) 생명력과 율동 339
            3) 삭임과 풀이 345
        3. 용서, 자유와 사랑 351
            1) 우연과 필연 352
            2) 속죄 356
            3) 해방 361
            4) 망각 369 
        4. 이야기하기의 힘: 신화 373
            1) 자연 375
            2) 어둠 379
            3) 살아 있는 신화 385
            4) 죽은 자의 시간 391

결론 399

참고문헌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