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다문화 오디세이 : 다양성의 새로운 국제정치를 항해하기 / 윌 킴리카 지음 ;이유혁,진주영 역
다문화 오디세이 : 다양성의 새로운 국제정치를 항해하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다문화 오디세이 : 다양성의 새로운 국제정치를 항해하기 / 윌 킴리카 지음 ;이유혁,진주영 역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7
  • ·형태사항 540 p. ;23 cm
  • ·총서사항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 번역총서 Humanities ;013)
  • ·주기사항 원표제:Multicultural odysseys :navigating the new international politics of diversity
    원저자명: Will Kymlicka
    참고문헌(p. 496-538)과 색인수록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07-361-AL0001)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051890  94300 : \3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5  듀이십진분류법-> 306.4  
  • ·주제명 다문화 주의[多文化主義]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윌 킴리카 지음 ;이유혁,진주영 역 2017 SE0000315400 331.5-17-19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윌 킴리카 지음 ;이유혁,진주영 역 2017 SE0000315401 331.5-17-19=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감사의 글

제1부 국가와 소수자 관계의 (재)국제화
제1장 1부 서문
제2장 변화하는 국제적 맥락
전후의 보편적 인권으로부터 냉전 이후의 소수자 권리까지
1. 전후 합의
2. 소수자 권리 논의의 재개
3. 말로 그칠 것인가 실천할 것인가?
4. 전환을 설명하기

제2부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를 이해하기 
제1장 2부 서문
제2장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형태들 
1.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다양성
2.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세 가지 핵심적인 특징들
제3장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기원들
근원들과 전제 조건들
1.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인권 혁명
2. 제약으로서의 인권 혁명
3. 다문화주의와 자유화
4. 정치를 다시 불러들이자
5. 인권 혁명의 원칙들과 지정학
6. 지정학적 안보와 인종 관계의 ‘탈안보화’
7. 다문화주의로부터의 후퇴?
8. 사회 운동으로서의 다문화주의로부터 기업 다문화주의에 이르기까지
9. 결론
제4장 실천되는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를 평가하기
1. 국가 하위의 민족 집단들
2. 원주민들
3. 이민자들
4. 결론

제3부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전지구적 확산에서의 역설들
제1장 3부 서문
제2장 유럽적인 실험
1. ‘최상의 실천들’ 전략
2.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의 부재한 출처들과 전제조건들
3. ‘최상의 실천들’에서 ‘규범들’과 ‘표준들’로
4. 유럽적인 소수자 규범들을 공식화하기-포괄적인 혹은 대상 지향적인?
5. ‘소수민족들’의 권리를 공식화하는 것
6. ‘규범들’과 ‘표준들’에서 갈등 예방/해결로
7. 효과적인 참여의 권리
8. 결론
제3장 전지구적 도전
1. 모범 실무의 한계점들
2. 근거와 선제조건들을 평가하기
3. 모범 실무로부터 규범과 기준에 이르기까지
4. 규범/기준으로부터 개별사례 중심의 분쟁해결책으로
5. 결론
제4장 결론-나아갈 길?

역자 후기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