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서울사회학 : 서울의 공간, 일상 그리고 사람들 / 저자 : 김미영,김백영,박우,변미리,서우석,신인철,심재만,오세일,윤여상,이나영,이상직,장원호,전상인,조성남,조영태,최설아,한신갑,한준 ;기획 : 한국사회학회,서울연구원
서울사회학 : 서울의 공간, 일상 그리고 사람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서울사회학 : 서울의 공간, 일상 그리고 사람들 / 저자 : 김미영,김백영,박우,변미리,서우석,신인철,심재만,오세일,윤여상,이나영,이상직,장원호,전상인,조성남,조영태,최설아,한신갑,한준 ;기획 : 한국사회학회,서울연구원
  •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17
  • ·형태사항 403 p. :삽화, 도표 ;23 cm
  • ·총서사항 (나남신서 ;1915)
  • ·주기사항 기획 : 한국사회학회, 서울연구원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0089159  04330 :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09.111  듀이십진분류법-> 301.09519  
  • ·주제명 한국 사회[韓國社會]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김미영,김백영,박우,변미리,서우석,신인철,심재만,오세일,윤여상,이나영,이상직,장원호,전상인,조성남,조영태,최설아,한신갑,한준 ;기획: 한국사회학회,서울연구원 2017 SE0000283995 309.111-17-6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프롤로그  5

제1부 격차사회의 불평등과 삶의 질

제1장 서울의 인구   조영태
1. 들어가며  25
2. 서울, 서울로: 이촌향(移村向) 서울!  27
3.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30
4. 서울에서 태어나기  33
5. 서울에서 결혼하기  37
6. 서울의 가구원 수  40
7. 서울에서 사망하기  43
8. 나가며  45

제2장 서울의 노동, 사회의 불평등   한준ㆍ신인철
1. 들어가며  49
2. 일에서의 불평등  51
3. 경제적 소득의 불평등  56
4. 불평등에 대한 인식  60
5. 나가며  68

제3장 서울 어느 동네 누가 건강할까?   심재만
1. 들어가며  71
2. ‘시민’의 건강, ‘구민’의 건강  73
3. 유유상종 효과 및 그 너머  75
4. 어떤 자치구 효과가 존재하는가?  80
5. 자치구 효과는 자치구 내 모든 사회집단에서 고르게 나타나는가?  84
6. 나가며  87

제4장 청년세대, 피안은 어디인가?: 
행복, 종교, 세대의 관계성 탐색   변미리ㆍ오세일
1. 들어가며  99
2. 종교와 행복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의 시각  101
3. 청년세대는 탈종교화 경향을 보인다  105
4. 종교는 강남/서초 등 중상층 거주지역, 여성 청년에게 더 가깝다  108
5. 일상생활과 종교의 관련성은 종교유형별로 상이하다  110
6. 청년세대에게 종교와 믿음은 어떤 의미인가?  113
7. 나가며  117

제2부 도시공간과 일상생활의 변화

제5장 서울의 광장문화,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김백영
1. 한국의 광장  125
2. 한국 광장문화의 역사적 기원을 찾아서  127
3. 광장문화의 유형학: 과시형 광장과 소통형 광장  130
4. 조선시대의 상언과 격쟁에서 독립협회의 만민공동회까지  133
5. 일제하 서울 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  138
6. 4ㆍ19와 5ㆍ16의 공간사회학  142
7. ‘한강의 기적’과 1980년대 학생운동의 가두시위  147
8. 21세기 새로운 광장문화를 꿈꾸며  151

제6장 금 긋기의 곤혹스러움: 
서울의 문화지리, 그 윤곽과 경계   한신갑
1. 두 가지 금 긋기  157
2. 첫 번째 금 긋기: 지리적 강남  162
3. 두 번째 금 긋기: 사회경제적 강남  165
4. 금 긋기의 곤혹스러움: 서울의 사회학  172

제7장 편의점으로 읽는 서울의 공간과 일상   전상인ㆍ최설아
1. 편의점으로 서울 읽기   177
2. 공간분석: ‘편의점 도시’ 서울  179
3. 일상연구: 편의점과 ‘서울살이’  191
4. 편의점 ‘사용설명서’  203

제8장 욕망의 문화사회사, 한국의 러브호텔   이나영
1. 들어가며  205
2. 불온한 성매매 공간으로서의 여관:  포스트/식민, 도심 하위문화로서 밤 공간의 탄생  210
3. ‘장급여관’과 ‘러브호텔’의 등장: 발전국가와 분열된 섹슈얼리티  217
4. ‘부티크 모텔’의 탄생:  후기자본주의사회의 놀이와 쾌락의 공간으로  228
5. 나가며  234

제3부 도시경제와 소비문화

제9장 강남 문화경제의 사회학: 
문화산업과 뷰티산업의 결합   서우석ㆍ변미리
1. 소비ㆍ주거에서 생산으로  241
2. 문화산업과 뷰티산업의 결합  244
3. ‘강남’이라는 장소의 생산  252
4. 강남 문화경제의 진화  256

제10장 서울의 한류 씬   장원호
1. 도시 씬의 개념  259
2. 한류현상의 개요와 현황  261
3. 서울의 한류 씬  265
4. 서울의 한류 씬과 초국적 문화공동체  277

제11장 서울, 호텔로 말하다   김미영
1. 호텔과 도시, 그리고 서울  281
2. 서울의 호텔, 전형(典型)과 변형(變形)  283
3. 서울의 호텔, 숙박 그 이상의 공간  292
4. 나가며  301

제4부 소수자들의 생활세계

제12장 서울의 노숙인, 노숙인의 서울   이상직ㆍ한신갑
1. 서울의 노숙인  305
2. 서울에 오다  309
3. 노숙을 시작하다  314
4. 노숙장소의 의미  320
5. 노숙인의 서울  326

제13장 ‘초국적 상경’과 서울의 조선족   박 우
1. 서울의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329
2. ‘만주드림’의 잔상, ‘사회주의적 인간’으로 설정되다  331
3. 중국식 자유주의, ‘코리안드림’을 배태하다  333
4. 한국의 신자유주의, ‘코리안드림’을 현실화하다  337
5. ‘코리안드림’은 서울에서 실현되고 있다  340
6. ‘초국적 상경’과 조선족의 의미  346
제14장 이방인 아닌 이방인, 탈북자   윤여상
1. 서울의 이방인, 서울살이를 꿈꾼다  351
2. 남한살이, 서울살이의 현재  354
3. 서울 시민, 그러나 출발선이 다른 이방인  359
4. 북한과 제3국 출생 탈북청소년의 서울살이  366
5. 이방인에서 탈출하기, 성공할 것인가?  375

에필로그  381
찾아보기  393
저자 소개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