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교사, 대안의 길을 묻다 : 대안교육을 위한 아홉 가지 성찰 / 고병헌,김찬호,송순재,임정아,정승관,하태욱,한재훈 지음
교사, 대안의 길을 묻다 : 대안교육을 위한 아홉 가지 성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교사, 대안의 길을 묻다 : 대안교육을 위한 아홉 가지 성찰 / 고병헌,김찬호,송순재,임정아,정승관,하태욱,한재훈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이매진, 2009
  • ·형태사항 552 p. ;23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교사양성 교육과정 개혁에 관련된 사례 - 독일 등
    참고문헌: p. 537-549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3985078  03370: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0.8  듀이십진분류법-> 371.04  
  • ·주제명 대안 교육[代案敎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고병헌,김찬호,송순재,임정아,정승관,하태욱,한재훈 지음 2009 SE0000277006 370.8-17-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길 찾는 교사들에게     5

1부| 대안적 교육을 꿈꾸며
  1장 어떠한 교육이 삶을 변화시키는가     15
  2장 세계 대안학교들과 그 교육사상적 동기들     21

2부| 교사교육의 ‘자기양성 원칙’의 교육적 · 시대적 이유
  1장 교육의 가치론적·교육적·시대적 배경     43
    1. 인간관·세계관·교육관이라는 세 기둥
    2. 교육의 모습
    3. 시대의 변화와 교육의 대응
    4. 미래사회와 교육적 대안의 두 가지 방향
  2장 교사의 보편적 능력들 ― 파카사     75 

3부| 대안교육 사상의 아홉 가지 범주
  1장 자유와 공동체     86
    1. 자유의 개념
    2.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
    3. 자유와 교육
    4. 자유주의 교육과 공동체 교육
    5. 학교 사례
    6. 자유로운 공동체를 이끄는 교사교육
  2장 사회·정치적 해방     121
    1. 세 가지 사상적 전통과 교육실천 사례들
    2. 사회·정치 안에서 교사교육하기
  3장 전인성과 통섭적 연관 구조     154
    1. 전체성과 다각적으로 보기
    2. ‘교류’ 교육과정과 ‘그물망’ 교육과정
    3. 전인적 교사교육
  4장 종교와 영성     183
    1. 자유 종교교육과 영성
    2. 세 가지 유형의 자유 종교교육
    3. 믿음의 교사  
  5장 자연과 우주적 전망에 기초한 생태학     209
    1. 왜 생태주의인가
    2. 생태주의의 의미
    3. 교육에 있어서 생태주의 문제
    4. 학교 사례 ― 한국 대안교육 현장의 생태주의 교육
    5. 생철학과 교사교육
  6장 미와 예술     229
    1. 과잉 속의 결핍
    2. 예술교육의 원점
    3. 감성과 인간의 성장  
    4. 예술교육의 전략
    5. 예술교육과 감성적 교사교육
  7장 손과 노작활동     253
    1. 노동과 정신의 분리, 그리고 인간 삶의 소외
    2. 노작교육의 주창자들과 학교 사례
    3. 노작활동을 하는 교사
  8장 작은 학교     286
    1. 학교의 규모가 중요한 까닭
    2. 작은 학교와 교육 효율성
    3. 작은 학교의 가치와 특징
    4. 학교 밖 학습 자원의 연계
    5. 하틀랜드의 ‘작은 학교’와 ‘인간적인 규모의 교육’
    6. 인간적 규모의 교사교육
  9장 독창성과 토착화     318
    1. ‘스승’에 대한 동양의 전통적 이해
    2. 동양 전통의 ‘교학관’
    3. 공자와 퇴계를 통해 배우는 교사의 자기양성
    4. ‘서당’을 통해 본 전통교학의 실례

4부| 대안적 교사대학 모형 탐색
  1장 교육과정·교육 내용·교수-학습 체계 설계     385 
    1. 생명교육학적 접근
    2. 사회적 능력
    3. 민주시민의식
    4. 종교적·영적 차원에서의 총체성
    5. 미적·예술적 감수성
    6. 문화적 능력
  2장 학사 일정 운영 체제 설계     408

5부| 길 찾는 교사들을 돕는 교(강)사들과 해야 할 남은 이야기     411 

부록     431
  1. 교사양성 교육과정 개혁에 관련된 사례 ― 독일
  2. 한국 대안학교 교사양성 교육과정 백서
  3. 지식의 통섭에 대해
  4.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참고문헌     537
저자 소개     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