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통신사의 길을 따라가다 / 유종현 지음
통신사의 길을 따라가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통신사의 길을 따라가다 / 유종현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새로운사람들, 2010
  • ·형태사항 291 p. :삽화(일부천연색), 초상 ;24 cm
  • ·총서사항 (한일역사문화기행 시리즈 ;2)
  • ·주기사항 권말부록: 朝鮮前期의 日韓外交와 京都五山 ; 조선 초기 대일외교와 이예 ; 朝鮮通信使 파견 400周年과 미래의 韓日關係
    참고문헌(p. 259)과 "李藝의 연보"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1204426  03910 :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5  듀이십진분류법-> 951.902  
  • ·주제명 통신사(외교사절)[通信使]대일 외교[對日外交]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유종현 지음 2010 SE0000298218 911.05-16-9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2010년 외교를 빛낸 인물, ‘이예李藝’는 누구인가?
통신사 이예의 유적을 따라
출발 전야
2010년 8월 3일, 예비토론
교토에 남긴 이예의 발자취
2010년 8월 4일 수요일, 첫날
쇼코쿠지[相國寺]
무로마치다이[町室第]
일본 역사학자 우에다 명예교수와의 인터뷰
나카오 히로시[仲尾 宏] 교수와의 인터뷰
일본 전통요리의 만찬회
2010년 8월 5일 목요일, 이튿날
텐류지[天龍寺]
로쿠오인[鹿王院]
도지인[等持院]
로쿠온지[鹿苑寺]=킨카쿠지[金閣寺]
네 번의 교토 사행
나카타 미노루[中田稔] 씨의 자료
교토의 역사유적 견학
미미츠카[耳塚]
고대 문화교류의 현장과 통신사의 길
2010년 8월 6일 금요일, 사흘째
왕인王仁의 묘소
나라[奈良]의 호류지[法隆寺]
오사카죠[大阪城]
답사단 연구진의 소감과 각오
통신사의 뱃길, 세도나이카이[瀨戶內海]
이예의 세토나이카이 항해 기록
에도시대 통신사의 뱃길
대마도에 남긴 이예의 발자취
2010년 8월 7일 토요일, 나흘째
뱃부[別府]-하카타[博多]-이즈하라[嚴原]로 이동
대마도에 세워진 이예의 공적비
이예와 계해약조癸亥約條
2010년 8월 8일 일요일, 닷새째
아소완[淺芽?], 왜구의 소굴
대마도의 왜구 정벌, 기해동정己亥東征
다카라베 요시나리[財部能成] 대마시장 회견
통신사와 대마도의 역할
대마 아리랑축제와 통신사 행렬 재현
축제의 피날레, 불꽃놀이 파티
계해약조 체결에 관한 착오
2010년 8월 9일 월요일, 엿새째
대한해협을 지나면서
통신사 정사 송처검과 부사 이종실의 조난
1703년 위문행 역관사 선단의 조난
무사 귀국과 답사 결과
답사단의 그리운 얼굴들
답사단의 즐거웠던 순간들
텐류지[天龍寺] 법요 참례기
텐류지[天龍寺] 경내 기념비 건립과 법요 개최 교섭
통신사 조난 550주기 텐류지[天龍寺] 법요
오사카죠[大阪城] 견학
도다이지[東大寺] 견학
정창원正倉院 답사
부록 1
朝鮮前期의 日朝外交와 京都五山 / 나카오 히로시[仲尾 宏]
-天龍寺와 초기 조선 사절(이예 등)의 事跡을 중심으로-
머리말
아시카가[足利] 정권政權의 동아시아 외교와 오산제도五山制度
조선왕조 초기의 대일 외교정책
寺社募緣船과 天龍寺
맺음말
부록 2
조선 초기 대일외교와 이예 / 나카다 미노루[中田稔]
-당상관으로서의 외교활동을 중심으로-
당산관 이예
당상관 승진의 시대배경
대마도 외교와 이예의 당상관 승진
당상관 승진 이후의 대일외교와 이예의 역할
세종 20년(1438) 대마 사행과 문인제도
상경하는 대마왜인에 대한 유관기한의 제언
오우치우지[大內氏]·쇼니우지[少貳氏] 간 항쟁과 이예의 외교자세
삼포 이외 지역에서의 조어鈞魚와 이예
세종 25년(1443) 대마 사행과 계해약조
우리가 잊었던 계해약조와 이예
주요 참고문헌
부록 3
朝鮮通信使 파견 400周年과 미래의 韓日關係 / 유종현柳鍾玄
서론序論
通信使는 韓流의 元祖인가
外交·文化使節이었던 通信使
壬辰倭亂 이전의 外交使節
가. 倭寇 退治交涉과 己亥東征 : 宋希璟, 李藝, 申叔舟
나. Mission Impossible : 黃允吉, 黃愼, 四溟大師
壬亂 이후 파견된 通信使
結論
李藝의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