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 앤드류 심슨 엮음 ;김현권,김학수 옮김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 앤드류 심슨 엮음 ;김현권,김학수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지식의날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 ·형태사항 xix, 570 p. :지도 ;24 cm
  • ·주기사항 원표제: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in Africa
    원저자명: Andrew Simpson
    참고문헌(p. 529-557)과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0019555  03340 : \3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701.013  한국십진분류법-> 793  듀이십진분류법-> 306.4496  듀이십진분류법-> 496  
  • ·주제명 사회 언어학[社會言語學]언어 사회학[言語社會學]아프리카어[--語]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앤드류 심슨 엮음 ;김현권,김학수 옮김 2016 SE0000254176 701.013-16-4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앤드류 심슨 엮음 ;김현권,김학수 옮김 2016 SE0000254177 701.013-16-4=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앤드류 심슨 엮음 ;김현권,김학수 옮김 2016 SE0000278409 701.013-16-4=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옮긴이 서문 

지은이 소개 

제1장 들어가기
1.1 현대 아프리카 국가의 언어와 국가 건설의 도전 
1.2 식민지배 전후 아프리카의 언어 증진 
1.3 언어 확산과 성장의 영역: 1960년대에서 현재까지 
1.4 언어와 국가 정체성 
1.5 끝맺는 말 

제2장 이집트: 이집트에서 범아랍 민족주의로
2.1 개관: 용어와 그 중요성 
2.2 언어와 이집트 민족주의 
2.3 이집트 민족주의: 세부적 기술 
2.4 이집트 민족주의에서 범아랍주의로 
2.5 결론적 지적 

제3장 모로코: 언어, 민족주의, 성
3.1 개관 
3.2 역사적 배경 
3.3 모로코의 다언어 맥락 
3.4 아랍어화와 교육 
3.5 민족주의와 언어 변화 
3.6 성과 민족주의 
3.7 결론 

제4장 수단: 다수 종족어, 소수 종족어, 언어 상호작용
4.1 개관 
4.2 나일 강 중류 지방의 언어 유산 
4.3 현대 정치 프레임워크의 기원 
4.4 일상생활과 언어 
4.5 결론: 이언어 사용과 수단 토착어의 생태 

제5장 세네갈: 국가 교통어의 출현
5.1 아프리카의 국가 정체성 
5.2 세네갈 소개 
5.3 언어 정체성과 종족 정체성 
5.4 월로프어화 
5.5 프랑스어권 국가? 
5.6 결론 

제6장 말리: 문화와 언어의 다원주의의 옹호
6.1 개관 
6.2 역사적 배경 
6.3 말리의 국어: 개관 
6.4 밤바라어의 지배적 사용 
6.5 다른 국어 
6.6 아랍어 
6.7 프랑스어 
6.8 교육 부문의 국어 
6.9 언어태도 
6.10 결론 

제7장 시에라리온: 크리오어와 국가 통합의 모색
7.1 서론 
7.2 시에라리온의 형성 
7.3 시에라리온의 언어 
7.4 크리오인과 언어: 태도와 역사 
7.5 크리오어: 시에라리온의 국어인가? 

제8장 가나: 토착어, 영어, 신흥 국가 정체성
8.1 서론 
8.2 가나의 다언어 사용 개관 
8.3 영어, 통치 언어, 가나 정체성 
8.4 언어정책과 교육 
8.5 언어와 정체성의 경합 
8.6 결론 

제9장 코트디부아르: 프랑스어의 절대 우위
9.1 서론 
9.2 인구 
9.3 역사적 배경 
9.4 사회언어학적 개요 
9.5 언어정책: 프랑스어의 절대 우위 
9.6 아비장 대중 프랑스어 
9.7 현대 코트디부아르 사회의 프랑스어와 아프리카어 
9.8 결론 

제10장 나이지리아: 아프리카 대국의 종족언어적 경합
10.1 서론 
10.2 나이지리아 언어 개관 
10.3 식민지배와 나이지리아의 탄생 
10.4 언어와 나이지리아의 발전: 1960~2003년 
10.5 오늘날의 나이지리아 언어: 유형과 태도 
10.6 국어 문제의 재조명 

제11장 카메룬: 다언어 국가의 공식적 이언어 사용
11.1 서론 
11.2 카메룬의 언어 상황 개관 
11.3 다언어 사용, 국가 정체성, 언어정책 
11.4 영어권의 민족주의와 언어 문제 
11.5 결론 

제12장 콩고민주공화국: 언어와 ‘진정한 민족주의’
12.1 개관 
12.2 지리적, 역사적 배경 
12.3 DRC의 언어 양상: 과거와 현재 
12.4 국가 정체성 
12.5 DRC 언어에 대한 태도 
12.6 결론 

제13장 케냐: 언어와 국가 정체성 탐색
13.1 개관 
13.2 케냐의 언어 
13.3 케냐의 언어: 사회언어학적 차원 
13.4 스와힐리어와 국가 지위: 케냐와 탄자니아 
13.5 국가 정체성의 기초로서 스와힐리어 
13.6 결론 

제14장 탄자니아: 국어와 공용어로서 스와힐리어의 발전
14.1 서론 
14.2 스와힐리어의 확장: 식민 이전과 식민 시대 
14.3 독립 무렵과 그 이후 
14.4 스와힐리어와 영어 
14.5 종족 언어 
14.6 결론 

제15장 아프리카의 뿔: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소말리아
15.1 서론 
15.2 에티오피아와 1993년까지의 에리트레아 
15.3 1991년 이후의 에티오피아 
15.4 1993년 이후의 에리트레아 
15.5 지부티 
15.6 소말리아/소말릴란드 

제16장 잠비아: ‘하나의 잠비아, 하나의 국가, 다양한 언어’
16.1 서론 
16.2 잠비아의 언어와 언어 사용 
16.3 역사적 배경 
16.4 언어와 정체성을 둘러싼 오늘날의 문제 
16.5 결론 

제17장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 건설을 향한 험난한 여정
17.1 서론 
17.2 식민 역사와 언어정책 
17.3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시대와 언어정책 
17.4 언어와 독립 국가의 지위: 두 가지 최종 관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