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신경향파 문학의 재인식 = A new understanding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literature / 저자 : 유성호,김신정,이현식,김재용,김재영,한수영,손유경,최병구,하정일
신경향파 문학의 재인식 = A new understanding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literature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신경향파 문학의 재인식 = A new understanding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literature / 저자 : 유성호,김신정,이현식,김재용,김재영,한수영,손유경,최병구,하정일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6
  • ·형태사항 273 p. ;24 cm
  • ·총서사항 (연세근대한국학 총서 ;106)(연세근대한국학 총서 ;L-089)(문학과사상연구회 재인식총서 ;9)
  • ·주기사항 "하정일(河晸日) 연보"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050497  9381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06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 ·주제명 한국 근대 문학[韓國近代文學]근세 문학사[近世文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유성호,김신정,이현식,김재용,김재영,한수영,손유경,최병구,하정일 2016 SE0000209934 810.906-16-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신경향파 시와 비평의 지형
제1장 신경향파시의 시적 가능성과 자산   유성호
1. 신경향파시의 문학사적 맥락
2. 신경향파시의 초기 단계
3. 낭만성과 민족주의적 열정의 결속-이상화의 시
4. 식민지 시대의 궁핍과 이산 경험-박팔양의 시
5. 신경향파시는 무엇인가
제2장 조명희 문학에 나타난 장소성과 장소상실의 의미   김신정
1. 서론
2. 조명희 문학에서 ‘집’의 의미
3. 조명희 문학의 장소성과 장소 상실
4. 결론
제3장 한국근대문학비평사의 구상과 1920년대 김기진의 평론   이현식
1. 문제제기-왜 김기진인가
2. 한국근대문학비평사의 구상
3. 팔봉 김기진의 평론과 리얼리즘의 발견과정
4. 김기진의 대중화론을 비추는 거울, 염상섭의 대중문예론
5. 문인에서 평론가로
6. 1920년대 비평사 연구를 위하여
제4장 바깥에서 본 신경향파 문학   김재용
염상섭의 내재적 비판을 중심으로
제2부  신경향파 소설의 해석
제1장 최서해 초기 소설에 형상된 ‘공포’와 ‘파국의 상상력’   김재영
1. 머리말
2. ?토혈?과 ?기아와 살륙?의 거리
3. 잔혹과 공포
4. 공포와 파국의 상상력
5. 맺음말
제2장 ‘분노’의 공(公)과 사(私)   한수영
최서해 소설의 ‘분노’의 기원과 공사(公私)인식을 중심으로
1. 서해 소설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와 재독(再讀)의 필요성
2. ‘분노’의 배제와 그 인식론적 근거
3. 분노하는 ‘주체’와 이성/비이성의 문제
4. 서해 소설에서의 공(公)과 사(私)의 구조
5. ‘변신’의 고통에 집중하는 ‘지연(遲延)’의 크로노토프
6. 맺음말
제3장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의미   손유경
1. 체험 작가 최서해와 ‘내면’의 문제
2. ‘愛’의 위계질서-연애냐 인류애냐
3. ‘私的인 것’의 귀환
4. 맺음말
제4장 본성, 폭력, 사랑:정념의 서사로서 프로문학의 조건(들)   최병구
송영 소설을 중심으로
1. 문제제기-프로문학과 정념
2. 동경 노동자 생활과 ‘내면성’의 정치적 의미
3. 사건으로서의 폭력, 연대로서의 사랑
4. 줄이며
제3부  신경향파 문학과 공통감각
신경향파 문학과 1920년대의 공통감각   하정일
하정일 연보
간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