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21세기 T.S. 엘리엇 : 『T.S. 엘리엇 연구』창간 20주년 기념 / 지은이 : 한국 T.S. 엘리엇학회
21세기 T.S. 엘리엇 : 『T.S. 엘리엇 연구』창간 20주년 기념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21세기 T.S. 엘리엇 : 『T.S. 엘리엇 연구』창간 20주년 기념 / 지은이 : 한국 T.S. 엘리엇학회
  • ·발행사항 서울 : L.I.E, 2014
  • ·형태사항 772 p. ;24 cm
  • ·총서사항 (L.I.E. 영문학총서 ;제31권)
  • ·주기사항 "T.X. 엘리엇 연보"와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3047653  94800 : \5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41.09  듀이십진분류법-> 821.09  
  • ·주제명 영미시[英美詩]평론[評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한국 T.S. 엘리엇학회 2014 SE0000065557 841.09-14-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 발간사
■ 『21세기 T. S. 엘리엇』의 출간을 자축하며
■ T. S. 엘리엇 연보

제1부  철학 및 신학적 관점

브래들리와 엘리엇 : 생태학적 인식론 - 김구슬 
엘리엇 시 언어 전략의 존재론적 해명 - 김병옥 
­ 장미원과 정지점 체험을 중심으로
엘리엇의 『네 개의 사중주』와 데리다의 「어떻게 말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가」 : 두 텍스트의 상보적 해석 - 김양순
T. S. 엘리엇과 폴 틸리히 - 이준학  

제2부  시ㆍ시극ㆍ『황무지』 초역

『황무지』와 「프루프록의 사랑 노래」에 나타난 멜랑콜리  의 모더니티 - 김성현  
이인수 역 『신세대』지 「황무지」와  육필원고 「황무지」의 비교 - 김용권
엘리엇 시와 영상기법 : 시적 이미지로 「프루프록의 연가」 읽기 - 김재화
T. S. 엘리엇 시의 공간 : 『황무지』를 중심으로 - 안중은 
엘리엇과 예이츠의 문학적 상상과 종교적 상징- 양병현 ­ “The Magi”의 수사학을 중심으로
『대성당의 살인』 : 전기적 접근 - 여인천 
엘리엇의 미발간된 편지원본 연구 : 1930­1956 -이한묵
엘리엇 시에 나타난 파편적 신체와 근대성의 눈들 - 이홍섭
엘리엇과 젠더 : 여성(성)과 『황무지』 - 장근영
“살지 않은 삶” : 「여인의 초상」에 나타난 청년 화자의 초상 - 허정자 

제3부  『크라이테리언』·본문비평·보수주의

문학 평론지의 이념 : 『크라이테리언』 - 노저용   
엘리엇의 불안정한 텍스트 : 본문비평과 문학비평 - 봉준수
T. S. 엘리엇 비평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 이만식  
앤드류즈에 대한 T. S. 엘리엇의 평가 - 이철희  
보수주의와 T. S. 엘리엇 : 심리학적 관점 - 조병화 

제4부 중국과 인도의 종교 사상적 관점

『네 사중주』와 동양의 성인 : 『바가바드 기타』와 노자를 중심으로 - 양재용 
오든과 엘리엇의 흐르면서 흐르지 않는 시간 : 동양사상과 특수상대성 원리의 시각 - 이명섭
신애 요가 사상과 『네 사중주』 - 전종봉 
동양사상적 관점에서 본 “정점”의 의미 - 최희섭 

■ 편집 후기 ­ 단행본 발간에 부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