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선대인, 미친 부동산을 말하다 / 지은이 : 선대인
선대인, 미친 부동산을 말하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선대인, 미친 부동산을 말하다 / 지은이 : 선대인
  • ·발행사항 서울 : 웅진씽크빅, 2013
  • ·형태사항 300 p. ;21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01161297  13320: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1.32  듀이십진분류법-> 333.33  
  • ·주제명 부동산[不動産]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선대인 지음 2013 SE0000059983 321.32-13-16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선대인 지음 2013 SE0000077551 321.32-13-16=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프롤로그 _ 앞으로 어떻게 바뀔 것인가

1부 두 개의 거대한 전환기가 시작되다
1장 대세하락기는 시작되었다
부동산시장, 이미 하락 사이클에 들어섰다 
용꼬리까지 떨어지기 직전이다 
집값 바닥론은 왜 끊임없이 등장하는가 
Focus: 호가 지수의 함정 
Focus: 취득세 감면, 효과가 없는 이유 
2장 빚내서 집 사라는 마지막 유혹
효과 없는 부양책, 연착륙론으로 포장되다 
정부의 해결책이 질이 나쁜 이유 
전월세대책, 또 한 번의 ‘빚내서 집 사라’
3장 연착륙론이 더 위험하다
집값 하락 막으려다 가계부채만 더 키운다 
거품 빼기, 지금 놓치면 20년 동안 답이 없다 
4장 대한민국 부동산, 견착륙! 펌 랜딩!
Focus: 10년 전 삼성경제연구소의 경고 

2부 한국 부동산의 또 다른 핵, 전세
5장 전월세 대책, 없나? 안 내놓나?
전셋값 상승의 직격탄, 누구를 향하나 
전세가의 변화에도 사이클이 있다 
거래는 없는데 전세가 뛴다? 
6장 토끼몰이에 당하지 마라
안전한 전세, 깡통전세 
이런 임대차시장은 한국밖에 없다 
전셋값과 집값, 어그러진 함수 관계 
7장 전세, 그 근본 구조가 바뀐다
전세는 정말 없어질까? 
전세자금대출의 나비효과 
Focus: 전월세 세입자들, 조금만 버텨라 

3부 부동산 빚더미가 경제에 미칠 영향
8장 2차 충격을 앞두고 있는 건설업
건설업계가 숨기고 있는 비밀 
정부정책, 하루 빨리 건설업계의 조정을 유도해야 
9장 은행권으로 불이 옮겨 붙는다
은행의 수익성 지표에 주목하라 
부채폭탄 위기관리의 3대 허점 
10장 부동산 시나리오별 금융위기 전망
시나리오 1: 부동산 완만한 하락과 경기 회복 시 
시나리오 2: 부동산 완만한 하락과 경기 침체 시 
시나리오 3: 부동산 급락과 경기 침체 시 

4부 대한민국 부동산을 예측하다
11장 주택 시장,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
주택 사이클상 하락 단계: 향후 2~3년 
Focus: 2차 급락 방아쇠를 당기는 외부 요인은? 
부채폭탄 폭발 단계: 3~4년 지속 
인구폭탄과 만성적 공급 과잉 단계: 2010년대 후반 이후 
Focus: 경제 예측 시, 인구 변화에 주목해야 
12장 10년 후 주택시장에서 펼쳐질 10대 현상
1. 전세는 사라지고 월세는 증가한다 
2. 부동산, 투자가 아닌 사용 중심으로 
3. 신축주택이냐 노후주택이냐가 가격 결정 
4. 아파트 시대 저물고 다유형 소량생산 시대로 
5. 중대형 수요는 급격히 줄 것이다 
6. 집이 남아도는 시대가 온다 
7. 거품이 꺼지면, 부동산에도 품질이 중요해진다 
8. 선분양제가 사라진다 
9. 자비 리모델링 급증과 공동화되는 수도권 외곽 신도시 
10.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이 어려워진다 

5부 대세하락기, 이렇게 대응하라
13장 주거유형에 따른 일반가계의 대응법
집이 두 채지만 빚에 시달리고 있다면 
담보대출에 쪼들리는 1주택 소유주라면 
심각한 전세난에 집을 살까 고민한다면 
‘전세형아파트’를 고려하고 있다면 
결혼을 앞두었다면, 전세냐 매매냐 
1인 가구 독신자, 월세냐 전세냐 
노후 대비책으로 오피스텔 투자를 생각한다면 
Focus: 전세보증금,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지킬까? 
14장 부동산 대세하락기에 가져야 할 10가지 자세
1. 무주택자라면 조급해하지 마라 
2. 집으로 돈 버는 시기는 지났다. 모험적 투자는 하지 마라 
3. 전세 대신 집 사라는 ‘토끼몰이’에 당하지 마라 
4. 가계부채가 일정하게 해소된 뒤 움직여라 
5. 환금 가능성을 철저히 따져야 한다 
6. 사회경제적 변화를 반드시 이해하라 
7. 내 부동산,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보유 여부 결정하라 
8. 시세 착시현상에서 벗어나라 
9. 집값 상승기 때의 상식을 버려라 
10. 지방 거주자들은 수도권의 흐름을 주시하라 
Focus: 집, 과연 언제 사야 하나? 
15장 거품 붕괴에 대응하려면, 어떤 길을 선택해야
스웨덴의 길 vs 일본의 길 
한국,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인가 
16장 효과적인 견착륙을 위한 필수 전략
부실 부동산에 대한 정리 신호를 주어야 
주택대출 규제, 단계적으로 강화해야 
공공적 차원에서 가계 컨설팅을 실시하자 
건설업계 시장 청소, 안 할 수 없다 
재정 지원의 초점을 저소득층 복지로 전환해야 
Focus: 안정된 주거 구조를 위한 조건 
17장 새로운 주거 미래를 열기 위한 5가지 과제
1. 주택소비자의 지위를 높이자 
2. 공공 임대주택을 대폭 늘려야 모두가 산다 
3. 임차인의 지위를 획기적으로 강화해야 
4. 부동산 세제를 개혁하자 
5. 국토교통부에서 주거복지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