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북한이탈청소년의 성별 실태 분석 및 여성청소년 지원 방안 / 연구책임자 : 정해숙 ;공동연구자 : 최윤정,최자은
북한이탈청소년의 성별 실태 분석 및 여성청소년 지원 방안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북한이탈청소년의 성별 실태 분석 및 여성청소년 지원 방안 / 연구책임자 : 정해숙 ;공동연구자 : 최윤정,최자은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xvi, 364 p.:도표;25 cm
  • ·총서사항 (2012 연구보고서 ;13)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35-340
    권말부록: 북한이탈 여성청소년의 일상생활 분석을 위한 심층면접지
    영어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4914902  93330: \175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4.3  듀이십진분류법-> 362.7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연구책임자: 정해숙 ;공동연구자: 최윤정,최자은 2012 SE0000039285 정책 334.3-13-100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 변화
가. 국가보훈대상자로서의 북한이탈주민
나. 보호 대상자로서의 북한이탈주민
다. 이주민으로서의 북한이탈주민
2. 이주와 젠더
가. 이주의 주요구성요소로서의 젠더
나. 젠더와 소수집단 문화, 그리고 다문화주의
3. 북한이탈여성 및 여성청소년관련 선행 연구
가. 북한이탈여성관련 선행연구
나. 북한이탈 여성청소년과 성인지적 연구의 필요성

Ⅲ. 이주민으로서의 북한이탈청소년과 젠더
1. 북한이탈청소년의 성별 차이: 「2011년 북한이탈주민 생활실태조사-청소년조사」원자료 분석
가. 분석자료 및 응답자 특성
나. 북한 및 탈북과정에서의 교육 경험
다. 남한에서의 학교교육 경험
라. 학교 재학 청소년의 학습경험 및 진로계획
마. 학교밖 북한이탈청소년의 생활 및 진로계획
바. 사회적 관계 및 건강
사. 소결
2. 북한이탈 여성청소년과 젠더 이슈 : 초점집단인터뷰 결과
가. 북한이탈청소년 입국경향의 변화 : 보이지 않는 손, 젠더요인
나. 남북한 젠더구조의 차이 : 변화에의 저항과 갈등
다. 영양결핍, 성폭력 경험 그리고 심리ㆍ정서적 상흔
라. 학교생활 및 진로선택에서의 성별 차이
마. 아르바이트 : 북으로의 송금압박과 고소득의 유혹
바. 위태로운 성(Sexuality)
사. 소결

Ⅳ. 북한이탈 여성청소년의 생활세계와 지원요구
1. 연구참여자의 특성
2. 북한에서의 생활
가. 가족생활
나. 학교생활
다. 북한생화에 대한 회고
3. 이주과정
가. 북한이탈과정
나. 북한이탈 이후 남한이주과정
다. 이주과정에서의 주요경험
4. 남한정착생활
가. 입국 후 초기경험
나. 가족생활
다. 학교생활 및 진로준비
라. 아르바이트 및 취업경험
마. 사회적 관계
바. 건강상태
5. 남한생활에 대한 평가 및 전망
가. 남한주민으로서의 정체성
나. 남한생활에 대한 소회와 평가
다. 남한생활을 통해 인식하게 된 섹슈얼리티와 젠더
6. 북한이탈 여성청소년을 위한 정착지원 서비스의 성과와 한계
가. 북한이탈 여성청소년의 주요이용서비스와 평가
나. 북한이탈 여성청소년이 제안하는 정착지원서비스
7. 소결

Ⅴ. 북한이탈청소년 지원 정책과 성별 수혜 분석
1. 북한이탈청소년 지원 정책 동향
가. 북한이탈주민 지원 관련 법
나.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
다. 중앙부처별 북한이탈청소년 지원 정책과 성별 수혜현황
2.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의 청소년사업 운영 실태 분석
가. 조사대상 기관 특성
나. 북한이탈주민 신규전입자 현황
다. 북한이탈청소년 초기집중교육 운영 실태
라. 북한이탈청소년 대상 서비스 지원 실태
마. 지역적응센터 인력 현황 및 담당자의 성 평등 의식
바. 소결

Ⅵ.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가. 성별화된 탈북과정
나. 북한이탈 여성청소년의 정착 장애요인과 젠더
다.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의 한계와 문제점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심층면접지
2.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