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아프레게르와 손장순 문학 : 손장순 문학 연구 / 지은이 : 방민호,이선미,장성규,이명희,안서현,박진숙,전혜자,장두영,문흥술,김미영,김건우,이경재,전소영
아프레게르와 손장순 문학 : 손장순 문학 연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아프레게르와 손장순 문학 : 손장순 문학 연구 / 지은이 : 방민호,이선미,장성규,이명희,안서현,박진숙,전혜자,장두영,문흥술,김미영,김건우,이경재,전소영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형태사항 386 p. :삽화(일부천연색) ;23 cm
  • ·주기사항 "손장순 연보" 수록
    권말부록: 내 문학의 힘은 열정과 솔직함이다(인터뷰) ; 손장순 서지 목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2113405  93810: \2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062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 ·주제명 아프레 게르[apres-guerre]한국 문학 평론[韓國文學評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방민호,이선미,장성규,이명희,안서현,박진숙,전혜자,장두영,문흥술,김미영,김건우,이경재,전소영 2012 SE0000028382 810.9062-13-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사진으로 보는 손장순의 삶 ·3
이 책을 펴내면서 ·9

제1부 손장순과 그의 시대

한국문학의 1960, 1970년대와 손장순 문학의 의미 : 방민호
1. 1960, 1970년대 문학사가 잃어버린 것 ·18
2. ‘아프레게르’한 현실과 손장순 소설의 세대적 위치 ·20
3. 1960년대 한국사회의 혼종성과 손장순의 풍속소설 ·27
4. 리얼리즘이냐 풍속소설이냐 ― 손장순 소설에 나타난 상류층 인물들의 문제 ·37
5. 맺음말 ― 한국 현대문학사 연구의 맥락에서 본 손장순 소설 ·44

1960년대 여성 지식인의 ‘자유’담론과 미국 - 박순녀, 손장순, 박시정 소설을 중심으로 : 이선미
1. 1960년대 ‘근대화’와 여성 지식인 ·47
2. ‘이기적인 여성’과 ‘(연애)관계’의 주체 사이 ·54
3. 탕녀의 이미지와 사랑(=섹슈얼리티)의 주체 사이 ·63
4. ‘미국병’의 이면, 주체적 자아를 향한 마지막 비상구 ·70
5. 결론 ·79

프랑스 문학 사상 수용과 손장순 문학 : 장성규
1. 외국문학 수용의 문제와 ‘이식’에서 ‘전유’로의 전환 ·82
2. ‘아웃사이더’ 의식의 형성과 프랑스 여성주의의 변용 ·85
3. ‘낀-존재’로서의 여성의 자기 정체성 모색 ·91
4. 왜곡된 근대화 과정과 여성의 자각 ·95
5. 프랑스 문학 사상 수용과 산업화 시대의 여성문학 ·100

여성성의 모색을 통한 삶의 근원적 탐색 - 손장순의 19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 이명희
1. 서론 ·103
2. 불신시대와 병리학적 증후군 ·105
3. 순수한 영혼과 자연의 만남 ·110
4. 여성의 삶을 통한 정체성 탐색 ·115
5. 결론 ·120

제2부 손장순의 문학과 삶

여성 주체의 세 가지 실존적 모험 - 손장순 장편소설의 변화양상 : 안서현
1. 들어가는 말: 『한국인』그리고 그 이후 ·126
2. 결혼(사랑): 권태와 고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불가능한 노력 ·129
3. 독립: 사랑의 갈등을 통한 역설적 자기 확인과 실존적 자유 인식 ·136
4. 야망: 여성의 사회적 자기실현과 삶의 균형 모색 ·140
5. 맺음말 ― 불가능한 모험을 권유하는 문학 ·149

아프레게르, 그리고 도저한 실존주의 : 박진숙
1. ‘아프레게르’, ‘아프레걸’의 자장 ·150
2. 전쟁 허무주의와 아메리카니즘, 소외되는 미국 유학생 ·156
3. 아프레게르의 전이 아프레걸, 예술을 추구하다 ·162
4. 아프레게르, 그리고 실존주의 ·171

현대소설의 도시생태적 독법에 대한 연구 - 손장순의 『한국인?을 중심으로 : 전혜자
1. 손장순 ― ‘서울’의 메신저 ·174
2. ‘도넛 콤플렉스’의 서울 ·178
3. 미국 유학생 인텔리의 욕망과 갈등 ·182
4. 내면화된 타자의식의 부재 ·188
5. 나르시시즘적 글쓰기로서의 서울 ·194

불행, 성숙에 이르는 길 -『한국인?의 손장순론 : 장두영
1. 총체적 자화상으로서의 ‘한국인’ ·197
2. 실패하는 남녀의 결합에 관한 서사와 경쟁심 ·201
3. 인물적 서술 상황의 활용과 세태의 조망 ·208
4. 성숙의 계기로서의 불행과 한국인의 정체성 찾기 ·216
5. 지식인 인물을 통해 조망한 한국사회 ·223

여성 정체성 찾기와 손장순식 페미니즘 - 『세화의 성?을 중심으로 : 문흥술
1. 권력과 여성 문제의 소설화 ·226
2. 부패한 권력과 권력지향적 욕망 ·228
3. 여성 정체성 찾기의 세 방향 ·234
4. 페미니즘적 시각의 소설사적 의의 ·239

제3부 손장순 문학의 다채로운 양상들

자유에 비례하는 허무, 그 생의 궤적 ? 손장순의 수필세계 : 김미영
1. 손장순 문학에서 수필의 위치 ·244
2. 손장순 문학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248
3. 죽음의 트라우마와 고독, 그리고 창작에의 집념 ·252
4. 센티멘탈 져니, 다채로운 세계와의 만남 ·266
5. 손장순 문학에서 파리(프랑스), LA(미국), 서울(한국)의 의미 ·279
6. 손장순의 그녀들, 그 모순적 존재의 드러남 ·286
7. 고투의 삶이 도달한 평안에의 길 ‘겸허’ ·291

김승옥이 볼 수 없었던 그것 - 1960년대 손장순의 초기 단편들에 대한 고찰 : 김건우
1. 1960년대, 중심과 주변부 ·294
2. ‘거칠 것 없음’, 혹은 자존감의 근거 ·299
3. 세속적 욕망의 존재들 ·303
4. 손장순 초기 단편의 ‘유니크한’ 형상 ·308

산, 손장순 문학을 비추는 거울 : 이경재
1. 산악소설의 선구자 ·310
2. 일상의 속악성을 비춰주는 산 ·313
3. 인생과 예술을 상징하는 산 ·317
4. 에로티즘으로서의 산 ·320
5. 실재(the real)를 드러내는 틈새로서의 산 ·324
6. 남는 문제: 바라봄의 두 양상 ·326

‘유학생’ 표상, 착종된 현대의 투시도 - 손장순의 1970~198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전소영
1. ‘유학생 세대’의 탄생과 손장순 소설의 이채 ·328
2. ‘선망’과 ‘환영’ 사이: 유학 경험과 서구화의 모순 자각 ·333
3. 현기증과 분열의 알레고리: 여성 지식인의 존재 (불)가능성 ·340
4. ‘국외자’들의 변주, 심부를 탐사하는 경계인들의 시선 ·348

부록

“내 문학의 힘은 열정과 솔직함이다” (인터뷰) ·353
­방민호·전소영
손장순의 연보 ·379 | 손장순 서지 목록 ·381
­작성: 안리경 · 이지현(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