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고려사악지 : 아악·당악·속악 / 신현규 편역
고려사악지 : 아악·당악·속악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고려사악지 : 아악·당악·속악 / 신현규 편역
  • ·발행사항 서울 : 學古房, 2011
  • ·형태사항 347 p. :삽화, 지도 ;24 cm
  • ·총서사항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학술총서 ;31)
  • ·주기사항 한자표제:高麗史樂志
    색인수록
    권말부록: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속악(俗樂)> 악곡 지도 등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0712164  94810: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70.911  듀이십진분류법-> 780.9519  
  • ·주제명 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신현규 편역 2011 SE0000025434 670.911-13-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일러두기

제0부 악(樂)
악(樂) 일(一)

제1부 아악(雅樂)
아악(雅樂)
친히 등가(登歌)ㆍ헌가(軒架)를 제사지내다
유사(有司)가 대행할 때의 등가(登歌)와 헌가(軒架)
등가(登歌)의 악기(樂器)
헌가(軒架)의 악기(樂器)
등가(登歌)와 헌가(軒架)가 음악을 절주하는 절도(節度)
헌가(軒架)의 음악을 독주(獨奏)하는 절도(節度)
태묘(太廟)의 악장(樂章)
송나라에서 새롭게 하사한 악기(樂器)
고취악(鼓吹樂)을 쓰는 절도(節度)
악(樂) 이(二)

제2부 당악(唐樂)
당악(唐樂)
악기(樂器)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오양선(五羊仙)
포구락(抛毬樂)
연화대(蓮花臺)
석노교(惜奴嬌) 곡파(曲破)
만년환(萬年歡) 만(慢)
억취소(憶吹簫) 만(慢)
낙양춘(洛陽春)
월화청(月華淸) 만(慢) 
전화지(轉花枝) 영(令)
감황은(感皇恩) 영(令)
취태평(醉太平)
하운봉(夏雲峯) 만(慢)
취봉래(醉蓬萊) 만(慢)
황하청(黃河淸) 만(慢)
환궁악(還宮樂)
청평악(淸平樂)
여자단(子丹)
수룡음(水龍吟) 만(慢)
경배악(傾杯樂)
태평년(太平年) 만(慢) 중강창(中腔唱) 
금전악(金殿樂) 만(慢) 답가창(踏歌唱)
안평악(安平樂)
애월야면지(愛月夜眠遲) 만(慢) 
석화춘조기(惜花春早起) 만(慢)
제대춘(帝臺春) 만(慢)
천추세(千秋歲) 영(令) 
풍중류(風中柳) 영(令)
한궁춘(漢宮春) 만(慢)
화심동(花心動) 만(慢)
우림령(雨淋鈴) 만(慢)
행향자(行香子) 만(慢) 
우중화(雨中花) 만(慢) 
영춘락(迎春樂) 영(令)
낭도사(浪淘沙) 영(令)
어가행(御街行) 영(令)
서강월(西江月) 만(慢)
유월궁(遊月宮) 영(令) 
소년유(少年遊)
계지향(桂枝香) 만(慢)
경금지(慶金枝) 영(令)
백보장(百寶粧)
만조환(滿朝歡) 영(令) 
천하악(天下樂) 영(令)
감은다(感恩多) 영(令) 
임강선(臨江仙) 만(慢)
해패(解佩) 영(令)

제3부 속악(俗樂)
속악(俗樂)
악기(樂器)
무고(舞鼓)
동동(動動)
무애(無)
서경(西京)
대동강(大同江)
오관산(五冠山)
양주(楊州)
월정화(月精花)
장단(長湍)
정산(定山)
벌곡조(伐谷鳥)
원흥(元興)
금강성(金剛城)
장생포(長生浦)
총석정(叢石亭)
거사련(居士戀)
처용(處容)
사리화(沙里花)
장암(長巖)
제위보(濟危寶)
안동자청(安東紫靑)
송산(松山)
예성강(禮成江)
동백목(冬栢木)
한송정(寒松亭)
정과정(鄭瓜亭)
풍입송(風入松)
야심사(夜深詞)
한림별곡(翰林別曲)
삼장(三藏)
사룡(蛇龍)
자하동(紫霞洞)
삼국속악(三國俗樂)
신라(新羅) 
동경(東京)
동경(東京)
목주(木州)
여나산(余那山)
장한성(長漢城)
이견대(利見臺)
백제(百濟)
선운산(禪雲山)
무등산(無等山)
방등산(方等山)
정읍(井邑)
지리산(智異山)
고구려(高句麗)
내원성(來遠城)
연양(延陽) 
명주(溟州)
속악을 사용하는 절차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