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의 교원정책 = Teacher policy in Korea / 신현석 저
한국의 교원정책 = Teacher policy in Korea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의 교원정책 = Teacher policy in Korea / 신현석 저
  •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0
  • ·형태사항 526 p. ;25 cm
  • ·총서사항 (교육개혁정책 연구총서 ;3)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97-517)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3303963  93370: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1.3  듀이십진분류법-> 371.1  
  • ·주제명 교원 정책[敎員政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신현석 저 2010 SE0000002385 371.3-13-6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부 각 정부의 교원정책

제1장 「국민의 정부」의 교원정책
1. 교원정책의 난맥상 
2. 한국 교원정책의 이념적 맥락 
3. 신자유주의와 교원정책` 
4. 교원정책의 분석 
5. 향후 방향 

제2장 「참여정부」의 교원정책
1. 정부 출범 전후의 상황 
2. 1990년대 교원정책의 경과와 내용 
3. 「참여정부」 출범 전후의 교원정책안 
4. 교원정책의 새로운 설계 
5. 교원정책의 논리적 기저 방향 

제3장 「이명박 정부」의 교원정책
1. 「이명박 정부」 교원정책의 방향 
2. 교원정책의 주요 쟁점 
3. 교원정책의 진단 
4. 교원정책의 주요 과제 
5. 향후 전망 

제2부 직전 단계의 교원정책

제4장 교원수급
1. 문제의 소재 
2. 교육여건개선사업과 교원수급정책 
3. 교원수급정책의 원리 
4. 교원수급정책의 쟁점 분석 
5. 정책적 대안 

제5장 교원양성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배경 
3. 교원양성체제 개편을 위한 정책 모형 
4. 교원양성체제의 개편 방향과 전략 
5. 정부와 대학의 과제 

제6장 교육실습
1. 교육실습의 중요성 
2. 논의의 배경 
3.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및 해석 
5.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제언 

제7장 교원임용
1. 정책 현안으로서의 교원임용 
2. 교원임용제도의 변천과 현황 
3. 교원임용의 쟁점 
4. 교원임용제도의 개선 과제 
5. 향후 방향 

제3부 현직 단계의 교원정책

제8장 교원연수
1. 개선과 실패의 반복 
2. 교원연수제도 개선의 역사와 교원의 인식 
3.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분석 틀 
4. 교원연수제도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5. 정책적 함의 

제9장 교원평가
1. 교원평가를 바라보는 시각 
2. 교원평가의 역사 
3. 교원평가의 정치학적 분석 틀 
4. 시기별 교원평가 쟁점에 대한 입장 변화 분석 
5. 정책적 함의 

제10장 근무성적평정
1. 문제의 배경 
2. 근무성적평정의 이해 
3. 조사 절차와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5. 제도 개선의 방향 

제11장 교원승진
1.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 
2. 역사적 신제도주의와 교원승진제도 
3. 교원승진제도의 변화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4. 제도의 변화 방향 

제4부 근무환경의 교원정책

제12장 교원업무
1. 교원의 학교 행정업무에 대한 인식 
2. 학교 행정업무의 이론적 배경 
3. 학교 행정업무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4. 학교 행정업무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 
5. 개선을 위한 제언 

제13장 교원보수
1. 교원보수의 중요성 
2. 교원보수정책의 쟁점 도출을 위한 탐색 
3. 교원보수정책의 쟁점 분석 
4. 교원보수정책의 쟁점 해소를 위한 과제 탐색 
5. 개선 방향 

제14장 교직단체
1. 교직단체 간 갈등에 대한 문제 인식 
2. 역할과 기능의 재개념화 
3. 교직단체의 역할 분석 
4. 교직단체의 기능 분석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