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청소년 건강실태와 정책과제 / 연구책임자 : 김동식 ;공동연구자 : 김영택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청소년 건강실태와 정책과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청소년 건강실태와 정책과제 / 연구책임자 : 김동식 ;공동연구자 : 김영택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xxxix, 259 p. :도표 ;25 cm
  • ·총서사항 (2012 연구보고서 ;17)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11-219
    권말부록: 체육·보건교육 운영 실태 조사(체육교사용) 등
    영어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4914896  93330: \1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4.3  듀이십진분류법-> 362.7  
  • ·주제명 청소년[靑少年]건강 상태[健康狀態]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연구책임자: 김동식 ;공동연구자: 김영택 2012 SE0000001531 정책 334.3-13-84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Ⅱ. 청소년의 발달과 건강 특성
1. 청소년의 발달 특성
가. 신체적 발달
나. 인지적 발달
다. 심리사회적 발달
라. 성적ㆍ행동적 발달
2. 청소년의 건강과 젠더 특성
가. 흡연과 음주
나. 신체활동과 수면
다. 체격과 체력
라. 비만과 신체왜곡
마.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행위
3. 청소년의 건강과 성인지적 관점

Ⅲ. 청소년의 건강 현황 및 추이 분석
1. 건강행태 현황 및 추이

2. 건강상태 현황 및 추이
가. 비만
나. 신체이미지 왜곡
다. 스트레스 인지
라. 우울감
마. 자살행위
3. 소결

Ⅳ. 청소년의 건강과 성별 분석
1. 학교 및 가정 특성과 건강
가. 흡연
나. 음주
다. 신체활동
라. 약물
마. 비만
바. 신체왜곡
사. 체중조절 행위
아. 스트레스 인지
자. 우울감
차. 자살생각
2. 건강행태와 건강상태의 연관성
가. 비만도와 자살생각[조건1]
나. 비만도와 체중인식[조건2]
다. 체중인식과 자살생각[조건3]
라. 체중감량, 우울감 및 자살생각
마. 비만과 자살생각에 대한 체중인식의 영향
3. 소결

Ⅴ. 체육 및 보건 교사의 성인지적 교육실태 분석
1. 체육교사의 성인지적 교육실태
가. 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
나. 성인지적 체육수업 운영 실태
다. 남녀합반 체육수업의 우선적 고려 대상 및 사항
라. 성인지적 체육수업의 필요성 및 효과성 인지
마. 현행 체육수업 개선을 위한 수요 조사
2. 보건교사의 성인지적 교육실태
가. 보건교사의 일반적 특성
나. 보건교육 운영 실태
다. 보건교육 내용과 성별 차이
라. 성교육 시기 및 분약
마. 학교 성교육 개선 및 성인지적 관점 필요성 인지
바. 현행 보건교육 개선을 위한 수요 조사
3. 소결

Ⅵ. 남녀공학 고등학생의 성인지적 체육수업 인지와 성교육 효과 분석
1. 응답자 특성
2. 성인지적 체육수업 인지 및 효과
가. 남녀합반 체육수업의 성인지적 운영
나. 신체활동 및 체육수업에 대한 성별 태도
다. 성인지적 체육수업의 효과
3. 성교육 방법 및 효과
가. 성교육 방법
나. 성지식, 성태도 및 성교육 효과 인지
4. 성인지적 체육수업과 성교육의 연광성 및 효과성 분석
5. 체육수업과 체형왜곡 및 건강과의 연관성 분석
6. 소결

Ⅶ. 정책과제
1. 청소년 건강정책의 발전 방안
가. 청소년 건강정책의 성인지적 접근 시도
나. 청소년 건강정책에 대한 성별영향분석평가 추진
다. 청소년 건강지원체계의 일원화
2. 체육수업 활성화 방안
가. '차별'이 아닌 '차이'를 교육하는 체육수업 운영 전환
나. '보는' 스포츠에서 '하는' 스포츠로 전환
3. 보건교육 제도 개선 방안
가. 보건교육의 의무화
나. 보건교사 인력 확층 및 적절한 배치
다. 성교육의 내실화 추진
라. 성인지적 성교육 강화
마. 건강한 신체상 확립을 위한 성인지적 교육방법 개발

■ 참고문헌
■ 부록
[부록1] 체육ㆍ보건교육 운영 실태 조사 (체육교사용)
[부록2] 체육ㆍ보건교육 운영 실태 조사 (보건교사용)
[부록3] 체육ㆍ보건교육 운영 실태 조사 (학생용)
[부록4] 국내 청소년 건강증진 관련 정책 현황
[부록5] 남녀 청소년의 신체왜곡 유형별 불건전한 체중조절행위 및 정신건강 차이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