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6.25의 소설과 소설의 6.25 = (A) novel of Korean war and the Korean war of novel : 김윤식 비평선 / 지은이 : 김윤식
6.25의 소설과 소설의 6.25 = (A) novel of Korean war and the Korean war of novel : 김윤식 비평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6.25의 소설과 소설의 6.25 = (A) novel of Korean war and the Korean war of novel : 김윤식 비평선 / 지은이 : 김윤식
  • ·발행사항 서울 : 푸른사상사, 2013
  • ·형태사항 317 p. :삽화 ;24 cm
  • ·총서사항 (푸른사상 비평선 ;10)
  • ·주기사항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30800196  9381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3.6209  듀이십진분류법-> 895.734  
  • ·주제명 한국 현대 소설[韓國現代小說]한국 문학 평론[韓國文學評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윤식 2013 SE0000201591 813.6209-15-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개인의 자유와 해방을 위해
제1부
이중어 글쓰기의 어떤 초극 현상
1. ‘공적 내셔널리즘’의 이중어 문제
2. ‘네 칼로 너를 치리라’의 사상
3. 「카페 프란스」의 위치 측정
4. 첫 번째 이중어 글쓰기─「신라의 석류」
5. ‘조국=청춘=감각’에서 ‘촉수’에로
6. 자기 제어력인 연둣빛
이중어 글쓰기의 기원에 대하여 ─ 『문우』와 『청량』
1. 경성제대와 이중어 문제
2. 공적 민족주의 물결과 이중어 문제
3. 서양어 번역에서 일어 창작에 이르기
4. 『문우』와 『청량』을 가로지르기
5. 단일어 글쓰기─『신흥』이 놓인 자리의 의미
6. 이중어 글쓰기의 초극 방식─글쓰기의 원점
학병세대가 겪은 두 계보의 OSS 체험
1. 글쓰기의 비장함
2. ‘등불’과 ‘제단’으로서의 글쓰기
3. 시안(西安)에서의 OSS와 『제단』
4. 『버마 전선 패전기』와 『모멸의 시대』
5. 박순동과 조정래
6. 체험으로서의 OSS와 비체험으로서의 M1소총
7. 글쓰기의 비장미, 문학의 자유스러움
제2부
『태백산맥』과 학병세대 출신의 세 인물
1. 세 명의 학병 출신
2. OSS 출신 김범우
3. 반미사상의 기원─OSS 체험
4. 논픽션 버마전선 탈출자 박순동과 이종실
5. 외삼촌 박순동의 분신─김범우, 박두병
6. 학병 출신의 제3인물 심재모
7. 김범우에 맞물린 반미사상과 친미사상
8. 모델인 외삼촌 박순동과 작가의 상상력
9. 정신대에 대한 세 사람의 이미지
10. 인민군 고위간부 김범진과 아우 김범우가
끝내 만나지 않은 곡절
학병세대의 원심력과 구심력
1. 「불꽃」과 어떤 학보병의 세대
2. 입영 이전부터 글쓰기를 목표로 한 경우
3. 간접체험─「불꽃」(1)과 「불꽃」(2)로서의 「외면」
4. 『콰이강의 다리』와 조선인 B, C급 전범의 심문과정
5. ‘절대적 가치’로서의 「외면」
6. 수사학만의 세계화─「소설·알렉산드리아」와 『지리산』
7. 다음 단계의 원심점과 구심점
문학적 현상으로서의 한일 간에 걸린 흰빛
1. “수요모임” 1,000회가 놓인 곳
2. 눈부신 흰 다리, 어둠속에 드러난 흰 셔츠
3. ‘사소설’과 소설쓰기
4. 고발형 소설의 한 가지 유형
5. ‘문학적 현상’의 지향성에 부쳐
최재서의 『문학원론』과 맑스·엥겔스의 『예술원론』
1. 『문학원론』의 위상
2. 맑스·엥겔스의 『예술원론』과 이중역의 과격성
3. 영문학, 민족 해방과 자유에의 갈망
자전소설론
1. 최인훈의 경우
2. 이청준과 이문구
3. 자전소설을 강요하는 『문학동네』의 초기 전략
4. 최윤과 은희경
5. 김연수, 조경란과 김중혁, 이기호
6. 소설사적 의의
제3부
소설의 6·25와 6·25의 소설
1.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
2. 『남과 북』의 설경민
3. 박씨 집안과 우씨 가문
4. 박씨 집안과 우씨 집안의 변증법
5. 뜨내기 집안과 뿌리의 가문
6. 내전이냐, 대리전쟁이냐
7. 순교자와 신 목사
8. 『광장』과 『지리산』
9. 피카소의 《비둘기》와 휴전회담 장면
민족의 해방에서 개인의 자유와 해방에로
1. 걸림돌인 바이런의 「차일드 해롤드의 순례」
2. 외국문학이 ‘민족의 해방과 자유’에 관여된 곡절
3. ‘개인의 해방과 자유’를 향하여
4. 내 앞을 막아선 절대적인 것
5. 인류사의 한 현상인 근대와 소설의 이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