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 권으로 풀어 쓴) 이야기 한국사 / 우리미래역사체험학습 강사진 외 엮음 ;오지은,최주영 그림
(한 권으로 풀어 쓴) 이야기 한국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 권으로 풀어 쓴) 이야기 한국사 / 우리미래역사체험학습 강사진 외 엮음 ;오지은,최주영 그림
  • ·판사항 2판, 개정판
  • ·발행사항 파주 : 청솔, 2008, (20116쇄)
  • ·형태사항 554 p. :천연색삽화, 계보, 천연색지도, 초상 ;24 cm
  • ·총서사항 ((한 권으로 풀어 쓴) 이야기 역사 시리즈 ;1)
  • ·주기사항 감수: 이근호
    "연표로 보는 한국사"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2232940  73910 :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  
  • ·주제명 한국사[韓國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우리미래역사체험학습 강사진 외 엮음 ;오지은,최주영 그림 2008 SJ0000069103 아 911-15-71 어린이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우리 역사의 시작
사람은 언제부터 지구에 살았을까요?
인류 최초의 사람 ‘루시’
한반도의 구석기 시대
우리 나라 첫 번째 화석 인류 ‘흥수아이’
세계 고고학계를 놀라게 한 전곡리  주먹 도끼
한곳에 모여 농사짓고 사는 신석기 시대
높은 사람, 낮은 사람이 생겨난 청동기 시대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하라’- 고조선의 건국
위만 조선
고구려
떠오르는 해처럼 사방에 빛을 발하다 - 고구려의 건국 시조, 동명성왕
조국보다 사랑을 선택한 낙랑공주
대제국을 건설하다, 광개토왕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
살수 대첩과 을지문덕
안시성과 양만춘
역사 속에 묻혀 버린 고구려의 최후
고구려의 기상, 고선지 장군
백제
백성들이 따랐던 백제의 시조, 온조왕
북으로 북으로, 백제의 융성
곰나루성으로 천도
아름다운 부여
불교의 흔적이 남아 있는 ‘미륵사지’
망국의 순간, 충신도 못 알아본 ‘의자왕’
백제의 역사, 낙화암에 떨어지다
낙화암과 삼천 궁녀
백제의 부흥을 위하여
신라
‘세상을 밝게 비추다’-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김수로왕과 6가야
태평성대를 노래한 ‘도솔가’와 국력의 신장
거문고의 달인 백결 선생과 방아타령
기적을 보여 준 이차돈의 순교와 불교 공인
삼국 통일의 밑거름이 된 ‘화랑도’
“꽃 그림에 벌이 없습니다”- 슬기로운 선덕여왕
삼국 통일의 두 영웅, 김유신과 김춘추
삼국 통일을 가져온 황산벌 전투
매소성 전투로 후퇴한 당나라
세계가 인정한 신라의 불교 건축, 불국사와 석굴암
석가탑에 얽힌 아사녀의 전설
신라의 소리, ‘에밀레종’
정권 다툼 속에서 왕이 된 ‘원성왕’
바다의 영웅 ‘장보고’
역신도 감동한 처용의 지혜
골품 제도에 가려진 ‘최치원’
발해
고구려 정신을 이은 ‘대조영’
발해인에게는 고구려인의 피가 흐른다
발해국의 발전
세상 밖으로 모습을 드러낸 두 공주
발해의 문화
후삼국
후고구려를 세운 애꾸눈 ‘궁예’
미륵불을 자처한 태봉국의 ‘궁예’지렁이 설화의 주인공 ‘견훤’
변방의 장수에서 황제로
신라 천 년 역사의 막을 내리다
고려
혼란을 수습하고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와건
태조 왕건의 훈요 10조
광종의 개혁 정치
귀화인 쌍기가 건의한 최초의 과거제도
개혁 정치의 신호탄 - ‘노비를 풀어 주어라’
외교 수완으로 거란군을 물리친 서희
안이 썩으면 적은 항상 공격해 온다 - 강조의 정변
강감찬과 귀주 대첩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학교
왕자의 신분으로 승려가 된 대각 국사 의천
여진족을 물리치다 - 무인이 정권을 잡다
곤원사의 참극, 임천의 환
60년을 이어 온 최씨 무신 정권 시대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나 - 노예 만적의 난
몽골의 간섭을 받게 되다
고려의 마지막 몸부림 - 공민왕의 개혁 정치
공민왕의 비참한 죽음
의복 혁명을 일으키다 - 문익점과 목화씨
고려와 조선의 갈림길 - 요동 정벌과 위화도회군
왼쪽 어깨 밑에 있는 비늘 흔적 - 우왕의 항변
일편단심의 충절 - 정몽주의 죽음
조선
새 왕조가 열리다 - 이성계의 즉위
별들의 전쟁 - 제 1,2차 왕자의 난
돌아오지 않는 ‘함흥차사’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
과학의 천재 ‘장영실’
음악의 천재 ‘박연’
계유정난으로 어린 단종을 밀어낸 삼촌의 야망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
사육신과 생육신
청령포에 묻혀 버린 단종의 죽음
“남도 사람이 북도 사람을 몰살하려고 한다.” - 이시애의 난
시 한 편에 담긴 남이 장군의 마음
질투심이 부른 폐비 윤씨의 비극
피로 물든 4대 사화의 그 시작 - 무오사화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격돌
한삼에 물든 피가 부른 갑자사회
조씨가 왕이 된다는 기묘사화
윤씨 집안의 권력 싸움, 을사사화
붕당 정치의 시작
성리학의 두 봉우리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
“명나라를 치려고 하니 길을 비켜라”- 임진왜란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끈 3대 대첩 - 한산도 대첩, 행주 대첩, 진주 대첩
국가의 위기에 스스로 일어난 의병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쓰러진 효종의 북벌 계획
붕당의 소용돌이
정국을 안정시키기 위한 탕평책
새로운 종교와 민란
민중의 봉기
대원군의 쇄국 정책
문호를 개방하느냐 마느냐 - 개화와 척사
3일 천하로 끝난 갑신정변
열강 세력의 침투
동학 농민 운동
청일전쟁
갑오경장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쏟아져 들어오는 근대 문명의 홍수에 파묻히다
러일전재오가 일제 침략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민족의 저항과 에이그 밀사
안중근 의사와 의병의 항전
전 민족적 독립 만세 운동, 3·1독립운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잇단 의거와 독립군의 활약
일제의 최후 발악
일본의 패망
대한민국
8·15광복과 국토의 분단
대한민국 정부 수립
6·25와 휴전선
민주주의의 발전 - 4·19 민주 혁명
5·16 군사 쿠데타
독재의 길, 10월 유신
또 다른 군부 독재와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과우리 미래
화해와 협력으로 통일을
부록 연표로 보는 한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