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사람 보는 눈 : 손철주의 그림 자랑 / 지은이 : 손철주
사람 보는 눈 : 손철주의 그림 자랑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사람 보는 눈 : 손철주의 그림 자랑 / 지은이 : 손철주
  • ·발행사항 서울 : 현암사, 2013
  • ·형태사항 284 p. :천연색삽화, 초상 ;21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2316796  03600 :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53.11  듀이십진분류법-> 759.9519  
  • ·주제명 한국화[韓國畵]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손철주 2013 SE0000066250 653.11-14-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앞서는 글  6

1부 같아도 삶 달라도 삶
저 사내의 느긋함이 부럽다 | 김홍도의 〈세마도〉  14
덜 그려도 다 그렸다 | 한시각의 〈삿갓 쓴 사람〉  17
눈부신 저고리와 버선발 | 채용신의 〈운낭자 상〉  20
땅에 어찌 화초가 없으랴만 | 강희언의 〈왕소군 떠나다〉  23
반은 바느질, 반은 시 짓기 | 윤덕희의 〈책 읽는 여인〉  26
내가 가진 칼은 세 자루 | 이인상의 〈검선도〉  29
용과 봉이 짝을 이루다 | 김홍도의 〈생황 부는 소년〉  32
꺾어든 꽃가지 | 작자 미상의 〈미인도〉  35
그날 죽을 줄 미리 알았다 | 작자 미상의 〈계월향 초상〉  38
야무지게 오므린 입에서 | 작자 미상의 〈여인 초상〉  41
그녀 나이 스물세 살 | 전(傳) 채용신의 〈여인 초상〉  44
꾸민 티와 노는 짓 | 전(傳) 김홍도의 〈미인 화장〉  47
길에서 잠들다 | 유숙의 〈오수삼매〉  50
누가 깨끗한지 내기하다 | 한선국의 〈허유와 소부〉   53
눈보라가 생애를 쓸고 간 사람 | 최북의 〈풍설야귀인〉  56
옷자락에 꽃향기 나눌 친구 | 이유신의 〈포동춘지〉  59
건너는 글 : 인물화는 어떻고, 수묵화는 무엇인가  62

2부 마음을 빼닮은 얼굴
대원군의 서슬, 어디 숨었나 | 이한철 · 유숙의 〈이하응 초상〉  76
초상화에 비뚠 붓은 없다 | 이명기의 〈채제공 초상〉  79
빛바래지 않는 전설 | 작자 미상의 〈박문수 초상〉  82
얼굴에 풍상이 몰아치고 | 김창업의 〈송시열 초상〉  85   
왕의 친족도 하기 나름 | 작자 미상의 〈이성윤 초상〉  88
황희는 듣는 귀가 크다 | 작자 미상의 〈황희 초상〉  91
허풍은 날아가고 겸양은 새겨져 | 작자 미상의 〈윤동섬 초상〉  94
보는 사람을 보는 눈 | 윤두서의 〈자화상〉  97
살아서 돌아온 입술 | 윤두서의 〈심득경 초상〉  100
배 팔아 말을 산들 | 작자 미상의 〈장만 초상〉  103
물정 몰라 물욕이 없을까 | 한정래의 〈임매 초상〉  106
오래가는 초상의 힘 | 이한철의 〈정몽주 초상〉  109
수염 없는 남자의 목숨 | 작자 미상의 〈전(傳) 김새신 초상〉  112
고집은 시속에 무젖지 않고 | 작자 미상의 〈김시습 초상〉  115
위인을 기리는 마음씨 | 작자 미상의 〈임경업 초상〉  118
제자 잘 길러 복 받은 스승 | 허유의 〈완당선생해천일립상〉  121
한 조각 마음을 못 그리다 | 이명기ㆍ김홍도의 〈서직수 초상〉  124
여기저기 다 보는 겹눈 | 채용신의 〈황현 초상〉  127
형제는 같은 곳을 본다 | 작자 미상의 〈조씨 삼형제 초상〉  130
나라를 연 태조의 기골 | 조중묵ㆍ 백은배 등의 〈태조 어진〉  133
칼을 들건 염주를 들건 큰스님 | 유성의 〈청허당 진영〉  136
꼭 보아야 알겠는가 | 작자 미상의 〈환월당 진영〉  139
입은 가볍고 혀는 기름지고 | 채용신의 〈최치원 초상〉  142
건너는 글 : 옛사람의 몸가짐과 공부하기  145

3부 든 자리와 난 자리 
이마에 스치는 솔바람 | 정선의 〈더위나기〉  156
전원이 곧 낙원이라네  | 이인문의 〈양치기〉  159
잘 부려먹자면 잘 손봐야 한다 | 조영석의 〈말 징 박기〉  162
도낏자루가 썩더라도 | 조영석의 〈장기놀이〉  165
마음이 편해 낮잠은 달고 | 김홍도의 〈낮잠〉  168
두레의 꿈이 영그는 들판 | 김홍도의 〈벼 타작〉  171
불평 없이 꾸역꾸역 | 김홍도의 〈돌아온 행상〉  174   
살길은 오직 길 위에 | 김홍도의 〈부부 행상〉  177
나 좋을 때 남 좋으면 좀 좋으랴 | 작자 미상의 〈야연〉  180
나그네 반기는 시골 주막 | 전(傳) 이형록의 〈겨울 주막〉  183
늙은 음심은 망측하다 | 작자 미상의 〈영감과 처녀〉  186
석 달 열흘 놀아보라고 | 신윤복의 〈꽃을 꺾다〉  189
꽃이 부끄러운 뒷거래 | 신윤복의 〈국화밭에서〉  192
어지간히 급히 들어갔다 | 전(傳) 신윤복의 〈사시장춘〉  195 
건너는 글 : 풍속화에 나오는 남녀의 춘심  198

4부 있거나 없거나 풍경
산수에 인기척이 없다 | 강세황의 〈산수〉  214
기러기 날아가고 나면 | 이징의 〈평사낙안〉  217
손안에 달빛 붙들려도 | 작자 미상의 〈물에 뜬 달〉  220
단풍은 예쁘기만 한가 | 이인상의 〈단풍을 보며〉  223
다리 있다고 걸어가랴 | 강희언의 〈은사의 겨울나기〉  226
포도알 탱글탱글하듯 | 김씨의 〈포도〉  229
참외 버리고 호박 먹어서야 | 윤두서의 〈채소와 과일〉  232
기상천외와 유치찬란 | 작자 미상의 〈화조도〉  235
닭백숙 먹기가 미안 | 변상벽의 〈닭과 병아리〉  238
원숭이처럼 생겨도 | 하담의 〈원숭이 모자〉  241
이름을 부르지 않는 새 | 조속의 〈조는 새〉  244
울면서도 응원하다 | 안중식의 〈노안도〉  247
작은 그림에 갸륵한 소망 | 심사정의 〈초충도〉  250
손 타지 않아 발랄하다 | 심사정의 〈국화와 돌〉  253
풋풋한 신죽 곁에 왕대 | 전(傳) 조익의 〈청죽도〉  256
차 한잔 익어가는 붓글씨 | 김정희의 〈죽로지실〉  259

건너는 글 : 한 해가 오갈 때 보는 그림  262

화가 소개   271
그림 목록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