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 = (A) semantics for Korean noun phrases : definiteness / specificity, genericity, plurality :한정성 / 특정성, 총칭성, 복수성 / 지은이 : 전영철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 = (A) semantics for Korean noun phrases : definiteness/specificity, genericity, plurality : 한정성/특정성, 총칭성, 복수성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 = (A) semantics for Korean noun phrases : definiteness / specificity, genericity, plurality :한정성 / 특정성, 총칭성, 복수성 / 지은이 : 전영철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 ·형태사항 x, 270 p. ;23 cm
  • ·총서사항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연구총서 ;40)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53-262)과 색인수록
    영어 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2114785  94710 : \2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715  듀이십진분류법-> 495.75  
  • ·주제명 명사구[名詞句]언어학[言語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전영철 2013 SE0000189317 715-15-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서론 1
Ⅱ. 한정성 / 특정성 9
1. 도입 / 9
2. 한정성과 특정성 / 12
2.1. 한정성 12
2.2. 특정성 17
2.3. 한정성과 특정성의 관계 20
2.4. 한정성 / 특정성과 정보구조 23
3. 특정성 효과 / 30
3.1. 불특정성 제약 32
3.1.1. 존재 전제 술어 35
3.1.2. 존재 전제 부사 39
3.1.3. 존재 전제 어미 40
3.2. 특정성 제약 42
3.2.1. 존재 단언 술어 45
3.2.2. 존재문 48
3.2.3. 특정성 제약 중화 52
3.3. 정리 57
4. 특정성 표지 / 58
4.1. 특정성 표지와 통사 현상 59
4.2. 특정성 표지 논쟁 61
4.2.1. ‘어떤’, ‘한’ 62
4.2.2. 부분 구조 67
4.2.3. 복수 표지 74
4.2.4. 목적격 표지 75
4.2.5. 수량사구 85
4.3. 정리 94
Ⅲ. 총칭성 97
1. 도입 / 97
2. 두 종류의 총칭성: 총칭 명사구와 총칭문 / 100
2.1. 총칭 명사구와 총칭문의 구분 101
2.2. 의미 표상: 삼부구조 107
2.2.1. 양화사와 삼부구조 107
2.2.2. 총칭문과 삼부구조 109
2.2.3. 총칭 명사구와 삼부구조 115
2.2.4. 총칭문?총칭 명사구와 삼부구조 118
2.2.5. 습관문과 어휘특성문의 구별과 삼부구조 120
3. 총칭성의 실현 양상 / 125
3.1. 이전 연구들: 직관의 차이 125
3.2. 새로운 모색: ‘는’ 대 ‘가’, 개체층위 술어 대 장면층위 술어 135
3.3. 기타 요인들 146
3.3.1. 총칭성과 복수 표지 146
3.3.2. 총칭성과 시제 152
4. 총칭성과 정보구조 / 157
4.1. 총칭성?정보구조와 삼부구조 157
4.2. 총칭성과 화제성 161
5. 소결 169
Ⅳ. 복수성 171
1. 도입 / 171
2. ‘들’?복수형과 ??복수형 / 175
2.1. ‘들’의 사용 실태 175
2.1.1. 불가산명사와 ‘들’ 175
2.1.2. 가산명사와 ‘들’ 180
2.2. 두 복수형의 의미 188
2.2.1. 합과 집단 188
2.2.2. 반례들 194
2.3. 집합 명사와 ‘들’ 207
3. 사건의 복수성 / 219
3.1. 간접 복수 표지 ‘들’ 220
3.2. ‘들’의 통합적 의미 225
4. 다른 의미 속성과의 관련성 / 232
4.1. 복수성과 총칭성: 집단과 종류 232
4.2. 복수성과 한정성 238
5. 소결 / 245
Ⅴ. 결론 247
참고문헌 / Abstract / 찾아보기 /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