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 로버트 스칼라피노,이정식 지음 ;한홍구 옮김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공산주의운동사 / 로버트 스칼라피노,이정식 지음 ;한홍구 옮김
  • ·판사항 합본 개정판
  • ·발행사항 파주 : 돌베개, 2015
  • ·형태사항 1107 p., 도판 [16] p. :지도 ;24 cm
  • ·총서사항 (돌베개 인문사회과학신서 ;26~28)
  • ·주기사항 원표제:Communism in Korea
    원저자명: Robert Anthony Scalapino
    참고문헌(p. 1081-1090)과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1996393  93910 : \5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2511  듀이십진분류법-> 320.53209519  
  • ·주제명 공산 주의[共産主義]한국(국명)[韓國]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로버트 스칼라피노,이정식 지음 ;한홍구 옮김 2015 SE0000160705 340.2511-15-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개정판 서문 7
개정판 옮긴이 서문 10
한국어판을 내면서 15
옮긴이 서문 18
머리말 28
서장 38
21세기의 초엽에 서서: 소련 붕괴 후의 북한 - 이정식 42
1부 식민지 시대
제1장 한국 공산주의의 기원
1. 시베리아에서의 한인 급진주의 70
2. 중국과 민주에서의 한국 공산주의 80
3. 소련과의 협상 87
4. 분열의 심화와 코민테른의 간섭 93
5. 아시아 공산주의운동의 파종播種 101
6. 자유시사변과 그에 따른 영향 108
7. 모스크바의 극동 ‘피압박인민대회’ 114
8. 파벌투쟁의 심화 127
9. 지령에 의한 화해 131
10. 국내의 공산주의 134
11. 초기 국면의 개요 148
제2장 시련의 시기
1. 파벌투쟁의 지속 158
2. 제2차 조선공산당과 그 와해 164
3. 제3차 조선공산당 181
4. 제4차 조선공산당과 당의 해체 185
5. 코민테른, 안내자와 개혁자 188
6. 민족주의, 공산주의, 협동전선 193
7. 국제노선의 좌경화와 그 반향 211
8. 협동전선의 해체 219
9. 프롤레타리아 문예운동 230
10. 제1세대 한국 공산주의자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234
11. 실패와 그 근본 원인 244
제3장 노동자, 농민, 유격대
1. 1925년 이후 만주에서의 한인 공산주의운동 256
2. 중국 내에서 한인 공산주의자들의 활동 297
3. 소련의 역할 310
4. 일본 내의 급진적 한국인들 311
5. 1928년 이후 국내의 공산주의 322
6. 김일성의 등장 338
7. 1945년 이전의 한국 공산주의에 대한 몇 가지 관찰 375
2부 해방 후(1945~1953년)
제4장 미군정기의 한국 공산주의
1.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387
2. 남한에서의 공산당 출현 394
3. 미국의 초기 정책과 한국의 ‘좌익’ 399
4. 공산당의 강령 402
5. 파벌투쟁 405
6. 당과 외곽단체의 강화 415
7. 경쟁적 합작 공세 435
8. 남한공산당 내부의 투쟁 455
9. 남로당의 조직구조 465
10. 공산당과 미군정 간의 격증하는 충돌 468
11. 공산폭동과 군부반란 479
12. 평가 484
제5장 소련 ‘후견’하의 북국 공산주의
1.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권력 참여 490
2. 김일성의 등장 503
3. 민족주의자들에 대한 탄압 527
4. 새로운 공산국가의 구조와 정책 531
5. 북한에서의 통일전선운동 544
6. 북조선노동당의 창립 551
7. 해방 이후 일 년간의 주요 흐름 562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565
9. ‘국내파’에 대한 탄압 581
10. 소련 대對 미국 587
제6장 한국전쟁과 북한
1. 공산주의자들의 정치적 통합과 재편 596
2. 군사력 강화와 전쟁의 발발 602
3.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원회의 618
4. 제4차 전원회의와 그 여파 623
5. 전시의 주요 문제 630
6. 정전과 박헌영 일파의 숙청 661
7. 정전 무렵의 북한 682
3부 북한
제7장 강행군의 시대
1. 당의 재건 704
2. 전후 초기의 최고 정치 엘리트 721
3. 당의 기초 확립 728
4. 군소 정당과 통일전선 735
5. 당의 대 사회단체정책 741
6. ‘특수 문제’로서의 지식인 문제 744
7. 군과 정치 749
8. 당내 무기로서의 민족주의의 등장 752
9. 탈脫스탈린화와 조선노동당 제3차 대회 760
10. 1956년 당시 조선노동당의 성격 763
11. 정치적 위기 769
12. 종파주의 문제의 해결 776
13. 김일성의 패권 789
14. 소련의 모델에 따른 경제발전 793
15. 3개년계획하의 농업정책 801
16. 3개년계획의 평가 803
17. 5개년계획 804
18. 변혁기의 통일정책과 외교정책 815
제8장 유일체제의 형성
1. 유일체제 형성의 정치학 846
2. 조선노동당 제4차 대회 852
3. 경제발전과 그 목표 860
4. 공산주의 세계의 동요 866
5. 통일 문제 882
6. 당내 독재와 유일사상을 향하여 888
7. 전쟁 준비의 강조 891
8. 최고위 간부들의 숙청 902
9. 조선노동당 제2차 대표자회 904
10. 세 발로 걷기: 1960년대의 경제적 성과 922
11. 국제관계에서 주체사상의 적용 928
12. 비틀거리는 ‘남조선해방’ 투쟁 967
13. 제5차 당 대회 977
14. 제5차 당 대회 이후 997
15. 미래를 향하여 1019
옮기고 나서 1023
이정식-한홍구 대담: 이정식이 걸어온 학문의 길 1025
참고자료 1081
찾아보기 1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