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최신) 지역개발론 / 저자 : 이성근 외
(최신) 지역개발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최신) 지역개발론 / 저자 : 이성근 외
  • ·발행사항 서울 : 집현재, 2013
  • ·형태사항 xiv, 501 p. :삽화, 도표, 지도 ;27 cm
  • ·주기사항 공저자: 이관률, 김태구, 서경규, 김종수, 김상곤, 심상운, 안성조, 고수정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7304233  93350 : \3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09.2  듀이십진분류법-> 307  
  • ·주제명 지역 개발[地域開發]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이성근 외 2013 SE0000171950 309.2-15-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 1 부  지역개발의 기초
제 1 장  지역개발의 전개  3
제 1 절  지역개발의 성립  3
제 2 절  지역개발 패러다임의 변화  17
제 2 장  지역개발의 본질  31
제 1 절  지역개발의 학문적 성격  31
제 2 절  지역개발의 연구대상과 접근방법  35
제 3 절  지역개발 분야의 활동  37
제 3 장  지역개발의 법적 체계  43
제 1 절  법적 체계의 이해  43
제 2 절  지역개발 관련법의 체계  46
제 3 절  공간계획의 체계  51
제 2 부  지역개발의 이론
제 1 장  지역공간구조이론  61
제 1 절  개  요  61
제 2 절  지역의 공간구조  61
제 3 절  지역이동과 교통체계  65
제 4 절  도시의 형성과 체계  71
제 5 절  중심과 주변의 상호작용  82
제 2 장  입지이론  87
제 1 절  개  요  87
제 2 절  농업 입지이론  88
제 3 절  제조업 입지이론  92
제 4 절  서비스업 입지이론  110
제 5 절  공공시설 입지이론  115
제 3 장  지역성장이론  121
제 1 절  개  요  121
제 2 절  불균형성장이론  123
제 3 절  균형성장이론  127
제 4 절  수요공급중심 성장이론  130
제 4 장  지역전략이론  135
제 1 절  개  요  135
제 2 절  불균형발전전략과 균형발전전략  136
제 3 절  하향식 발전전략과 상향식 발전전략  139
제 4 절  외생적 발전전략과 내생적 발전전략  142
제 5 장  지역개발의 대안이론  147
제 1 절  개  요  147
제 2 절  산업이론  150
제 3 절  환경이론  163
제 4 절  사회이론  172
제 3 부  지역개발의 과정
제 1 장  지역현상 및 잠재력분석  197
제 1 절 현황분석  197
제 2 절 수요분석  199
제 3 절 관련계획분석  201
제 4 절 여건변화 전망  203
제 5 절 잠재력분석  205
제 2 장  구상계획  209
제 1 절  비전 및 미래상  209
제 2 절  구체적 목표와 과제  211
제 3 절  계획지표의 설정  213
제 4 절  추진전략  215
제 3 장  부문계획  219
제 1 절  지역공간구조계획  219
제 2 절  지역생활환경계획  226
제 3 절  지역산업경제계획  231
제 4 절  지역보건복지계획  238
제 5 절  사회기반시설계획  243
제 4 장  계획집행과 관리 253
제 1 절  계획집행의 의의  253
제 2 절  집행조직  255
제 3 절  투자재원 조달  258
제 4 절  갈등관리  266
제 5 장  평가 및 환류  271
제 1 절  계획평가의 의의  271
제 2 절  평가내용  272
제 3 절  평가결과의 환류  277
제 4 부  지역개발의 분석
제 1 장  지역인구분석  283
제 1 절  개  요  283
제 2 절  비요소모형  284
제 3 절  요소모형  288
제 2 장  지역공간 및 격차분석  291
제 1 절  개  요  291
제 2 절  공간구조분석  292
제 3 절  지역격차분석  298
제 3 장  지역경제분석  303
제 1 절  개  요  303
제 2 절  경제기반분석  303
제 3 절  변이할당분석  310
제 4 절  산업연관분석  315
제 4 장  지역환경분석  323
제 1 절  개  요  323
제 2 절  환경가치분석  324
제 3 절  환경영향평가  331
제 5 장  지방재정분석  337
제 1 절  개  요  337
제 2 절  재정력 분석  339
제 3 절  투자가용재원 분석  343
제 4 절  투·융자심사  345
제 6 장  지역투자분석  353
제 1 절  개  요  353
제 2 절  경제성 분석  354
제 3 절  재무성 분석  358
제 4 절  계층화 분석  361
제 5 부  지역개발의 정책
제 1 장  공간정책  369
제 1 절  국토정책  369
제 2 절  도시정책  377
제 3 절  농촌 및 낙후지역정책  386
제 2 장  자원·환경정책  399
제 1 절  수자원정책  399
제 2 절  지역에너지정책  405
제 3 절  지역환경정책  410
제 3 장  산업경제정책  419
제 1 절  과학기술정책  419
제 2 절  산업정책  422
제 3 절  농림수산식품정책  428
제 4 장  사회문화복지정책  437
제 1 절  인적자원정책  437
제 2 절  문화체육관광정책  441
제 3 절  지역보건복지정책  451
제 5 장  사회기반시설정책  467
제 1 절  교통·물류정책  467
제 2 절  토지정책  473
제 3 절  주택정책  479
사항색인 489
인명색인 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