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글로컬 시대의 지역 발전 :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논평과 대안 / 이정록 지음
글로컬 시대의 지역 발전 :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논평과 대안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글로컬 시대의 지역 발전 :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논평과 대안 / 이정록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푸른길, 2014
  • ·형태사항 272 p.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2912616  93980 :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09.211  듀이십진분류법-> 307.1  
  • ·주제명 지역 발전[地域發展]지역 사회 개발[地域社會開發]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정록 지음 2014 SE0000134996 309.211-14-4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부 지역사회와 지역 문제
01. 손님맞이 준비를 끝낸 영산강│02. 영산강 살리기, 일본의 하천에서 배운다│03. 죽어 가는 영산강 살리기 방해 말길│04. 호남 성공 시대를 열어야 한다│05. 광주공항 국제선, 무안 순차 이전해야│06. 불투명한 ‘J프로젝트’의 항로│07. 광주전남발전연구원 분리, 상생 깨는가│08. 오거돈 장관이 비판받는 이유

제2부 지역 문제와 지역 정책
09. 대선 공약, 전략적 태도가 필요하다│10. 이전할 기관을 고려한 혁신도시 입지│11. 공동혁신도시가 성공하려면│12. 공동혁신도시, 떡잎의 색깔은?│13. 영산강 시대를 열어 갈 공동혁신도시│14. 남해안 프로젝트는 속도 내는데│15. 기업도시, 낙후 지역 우선 배려해야│16. 기업도시 성공의 필요 조건│17. 신도청 이전과 지역 발전 효과│18. 이런 광주와 전라남도를 희망한다

제3부 지역 발전과 지역사회 리더십
19.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에게│20.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께 드리는 고언(苦言)│21.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의 소프트 리더십│22. 민주당 구원투수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23. 5·31 지방선거의 흥행사들│24. 공동혁신도시와 박광태 광주시장│25. 이성웅 광양시장의 교육 혁신│26. 김인규 군수의 장흥 마케팅│27. 제설 작업과 낙선한 시장·구청장│28. 열린우리당 광주시의회 의원님들께│29. 공동혁신도시에 딴죽 거는 정치인들

제4부 광양만권 지역 문제와 지역 정책
30. 광양만권 변화 과정과 특징│31. 광양만권의 새로운 비전을 만들어야 한다│32. 여수 세계박람회 유치, 정부에 달렸다│33. 험난한 여수 세계박람회 유치 경쟁│34. 기업 시민 광양제철소의 고민│35. 기미쓰제철소와 광양제철소│36. ‘광양항 재검토론’에 대한 반론│37.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에 바란다

제5부 기업 활동과 지역 발전: 국내외 사례
38. 미국 로체스터 시와 코닥사│39.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도시, 거제│40. 히타치제작소가 만든 기업도시, 히타치 시│41. 현대제철이 만든 새로운 철강 공업의 중심지, 당진│42. 전자도시 구미의 기업사랑운동과 지역 경제│43.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만든 기업도시, 광양│44. 군사·접경도시에서 LCD 메카로 부상하는 파주 │45. 삼성전자가 만든 기업도시, 아산 탕정│46. 타이어 공업도시로 변모하고 있는 창녕│47. 수도권 남부의 새로운 기업도시로 떠오르는 평택│48. 우리나라 제3의 석유화학 핵심 도시로 성장한 서산│49. 군사도시에서 의료기기 산업 메카로 성장한 원주│50. 서남권 조선 산업 클러스터로 성장하는 대불국가산단

제6부 지역 발전을 위한 새로운 대안
51. 빛가람도시의 첫손님, 우정사업정보센터│52. 나주 혁신도시와 한국전력공사│53. 글로벌 경쟁의 알곡, 광역경제권│54. 주민주식회사, 새로운 일자리 창출 전략│55. 지방은행, 지역 발전의 동반자│56. 기업과 기업인, 지역 발전의 원동력│57. 지역 발전을 위한 새로운 비전이 요구된다│58. 일본의 행정구역 개편 구상│59. 일본 아이치 세계박람회의 교훈│60. 소프트 인프라와 지역 발전│61. 장소 마케팅의 성공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