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 : 예비 지리교사들을 위한 경험적·실천적 지리 교수법의 표본 / 조철기 지음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 : 예비 지리교사들을 위한 경험적·실천적 지리 교수법의 표본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 : 예비 지리교사들을 위한 경험적·실천적 지리 교수법의 표본 / 조철기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푸른길, 2015
  • ·형태사항 509 p. :삽화, 서식 ;26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2912791  93980 : \3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4.98  듀이십진분류법-> 375.91  
  • ·주제명 지리 교육[地理敎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조철기 지음 2015 SE0000161736 374.98-15-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제1부 지리수업의 설계
제1장 수업
1. 수업이란?  2. 교수자로서의 교사  3. 학습자로서의 학생  4. 좋은 수업이란?
제2장 수업설계
1. 수업설계의 의미  2. 수업설계 시 고려사항   3. 수업설계의 체제적 접근  4. 수업설계 모형
제3장 수업지도안
1. 수업지도안의 구비 조건   2. 단원 수업지도안  3. 본시 수업지도안   4. 수업지도안의 분석
제2부 지리수업의 실행
제4장 수업의 실행
1. 수업 실행의 중요성  2. 수업의 실행 절차
제5장 수업 도입 기술
1. 도입활동  2. 학습환경 및 수업 분위기 조성  3. 선수학습 확인  4. 학습주제 확인
5. 학습목표 제시  6. 동기유발
제6장 수업 전개 기술
1. 학습내용의 제시  2. 학습안내의 제공  3. 형성평가의 실시  4. 학습활동과 피드백의 제공
5. 언어적 상호작용: 발문과 응답  6. 비언어적 의사소통  7. 수업 중 교사의 행동
제7장 수업 정리 기술
1. 학습내용의 정리  2. 학습결과/성취행동의 평가  3. 파지와 전이의 촉진  4. 차시 예고와 과제 제시
제3부 지리수업의 모형 및 전략
제8장 협동학습
1. 협동학습의 개념  2. 협동학습의 원리  3. 협동학습의 과정  4. 협동학습의 유형
5. 협동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  6. 협동학습을 평가하기  7. ICT 사용하기  8. 협동학습 유형별 특징과 실제
제9장 게임과 시뮬레이션 그리고 역할극
1. 도입  2. 시뮬레이션  3. 게임  4. 퀴즈와 퍼즐  5. 카드 게임  6. 보드 게임
7. 시뮬레이션 게임  8. 역할극
제10장 마인드 매핑
1. 마인드 매핑  2. 심상지도  3. 정의적/감성적 지도 그리기  4. 로고비주얼 사고
제11장 개념도 그리기
1. 거미 다이어그램과 풍선 다이어그램  2. 개념도  3. 프레어 모형
제12장 이미지 활용 수업
1. 도입  2. 서로 등을 맞대고  3. 사진 확장하기  4. 가면을 쓴 사진  5. 지도와 사진
6. 사진 직소  7. 사진 속으로 들어가기  8. 이 장소는 어디일까?  9. 준비, 침착, 기억
10. 마인드 무비  11. 기억으로부터의 지도
제13장 지리 프레임
1. QUADs  2. KWL  3. 글쓰기 및 노트필기 프레임  4. 글쓰기 계획자  5. 결과 다이어그램  6. 개발나침반
7. 비전 프레임  8. 추론의 층위 프레임  9. 5Ws(무엇? 어디에? 누가? 언제? 왜?)  10. 5개의 핵심 포인트
11. 텍스트관련 지시활동(DARTs)  12. 유추 도해 조직자
제4부 지리수업의 관찰과 비평
제14장 지리수업의 관찰과 비평
1. 수업개선 프로그램  2. 수업장학  3. 수업컨설팅  4. 수업비평  5. 수업관찰 및 분석 도구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