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 정태석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 정태석
  • ·발행사항 서울 : 후마니타스, 2007
  • ·형태사항 373 p.:도표 ;21 cm
  • ·총서사항 (민주주의 총서;03)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56-369,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0106452  04300 :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2  듀이십진분류법-> 301  
  • ·주제명 시민 사회[市民社會]시민 운동[市民運動]민주화[民主化]민주 주의[民主主義]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정태석 2007 SE0000201352 331.2-15-1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1부: 논쟁 -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1장 | 1990년대 초반 한국의 시민사회 논쟁
시민사회론 부흥의 계기 | 서구 시민사회 이론의 다양한 흐름 | 서구 시민사회 이론의 도입과 국내 논쟁 | 시민사회 개념의 비판적 의미 찾기
2장 | 한국 시민사회의 변화와 사회운동론의 이데올로기
시민사회의 다원화와 시민운동의 위기 | 1987년 이후 시민사회의 다원화와 사회운동의 분화 | 시민사회론 또는 사회운동론의 이데올로기 | 민주주의의 심화를 위한 시민사회의 과제
3장 | 유럽 신사회운동과 한국 시민운동의 유사성과 차이
한국 시민사회의 다원화와 시민운동 | 한국의 시민운동에 대한 신사회운동론적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유럽 신사회운동과 한국 시민운동의 등장의 사회역사적 맥락들 | 유럽 신사회운동과 한국 시민운동의 성격의 유사성과 차이 | 한국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의 전망
4장 | 시민사회와 NGO 논쟁 : 이론(담론)과 정치
한국 시민사회 이해에서 현실과 담론(이론)의 변증법 | 시민사회와 NGO 논의의 흐름과 쟁점 | 시민사회와 NGO로 무엇을 할 것인가?
5장 | 그람시 시민사회론의 비판적 재구성 : 적대들과 민주주의
시민사회의 활성화와 좌파적 해석 | 그람시 시민사회론의 의의와 한계 |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등가적 민주주의 | 민주주의 사회에서 헤게모니와 정당화의 변증법 | 포스트그람시주의 시민사회론의 구성을 위하여
2부: 적대의 다원화와 민주주의
6장 | 녹색사상과 환경 논쟁 : 생태사회주의의 전망
현대성과 환경 |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장의 한계’ | ‘산업주의’와 ‘자본주의’ | 생태주의와 사회주의: ‘환경과 계급’ | 환경에 대한 사고의 근본적인 전환을 위하여 | [보론] 자본주의와 지구환경의 미래: 지탱가능한 사회를 위하여
7장 | 지방화와 지구화의 딜레마 : 시장통합과 민주주의의 전망
국민국가의 약화와 다중적 경계 형성 | 한국사회에서 지역 간 시장경쟁과 지방자치의 딜레마 | 세계시장통합과 지구적 민주주의의 딜레마 | 차별과 배제의 경계를 넘어서: 경계의 다원성과 다수준적 민주주의
8장 | 기든스 ‘제3의 길’의 탈맥락화와 한국적 특수성의 이데올로기
고유명사로서의 제3의 길: 고전적 사회민주주의와 신자유주의를 넘어서 | 현대 사회민주주의의 딜레마와 제3의 길 | 한국적 특수성과 ‘제3의 길’의 탈맥락화 | 제3의 길 정치의 ‘후발 효과’를 위해
9장 | 벡의 재귀적 현대화 이론과 개인화의 딜레마
어떤 위험사회인가 | 위험사회와 재귀적 현대화 | 개인화와 일상생활의 위험 : 직업과 사랑 | 일상생활의 위험과 풀뿌리정치 | 재귀적 현대화 이론의 적합한 수용의 탐색
결론 | 민주화 이후의 시민사회 : 적대의 다원화와 민주주의
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들’ | 시민사회의 역사적 변화와 시민의 다양한 얼굴들 | 새로운 세대와 새로운 운동 방식들 | 한국사회 민주주의의 미래
후기 | 한국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의 미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