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김정은시대의) 정치와 외교 = North Korea's politics and diplomacy under Kim jong-un : 선군인가, 선경인가 / 지은이 : 곽승지,김갑식,김근식,박영자,박형중,서보혁,양무진,우승지,이기동,장용석,장인숙,전미영,정성장,최대석,황지환
(김정은시대의) 정치와 외교 = North Korea's politics and diplomacy under Kim jong-un : 선군인가, 선경인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김정은시대의) 정치와 외교 = North Korea's politics and diplomacy under Kim jong-un : 선군인가, 선경인가 / 지은이 : 곽승지,김갑식,김근식,박영자,박형중,서보혁,양무진,우승지,이기동,장용석,장인숙,전미영,정성장,최대석,황지환
  •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4
  • ·형태사항 362 p. ;24 cm
  • ·총서사항 (북한연구학회 연구총서 ;01)(한울아카데미 ;1751)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6057517  94340 : \3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11  듀이십진분류법-> 320.95193  
  • ·주제명 북한 정권[北韓政權]북한 외교 정책[北韓外交政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곽승지,김갑식,김근식,박영자,박형중,서보혁,양무진,우승지,이기동,장용석,장인숙,전미영,정성장,최대석,황지환 2014 SE0000200837 340.911-15-14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발간사  |  박종철
서문
김정은정권의 사상·권력·외교 | 우승지
제1부신체제의 상징과 전략
제1장김정은시대의 ‘김일성?김정일주의’: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추상화 | 김근식
1. 머리말
2.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정당화’와 ‘동원’의 기제
3. 김일성시대와 주체사상: 실천이데올로기에서 순수이데올로기로
4. 김정일시대와 선군사상: 선군정치에서 선군사상으로
5. 김정은시대의 공식이데올로기: 김일성-김정일주의
6. 맺음말: 김정은시대의 실천이데올로기, 선경(先經)과 선민(先民)
제2장김정은시대의 정치언어: 상징과 담론을 통해 본 김정은의 정치 | 전미영
1. 머리말
2. 김정은의 권력승계와 담화의 정치
3. 김정은의 ‘로작’과 ≪로동신문≫ 분석
4. 김정은시대의 상징과 담론
5. 김정은의 정치언어: ‘계승’의 언어, ‘전환’의 언어
제3장김정은시대의 국가전략: 변화 양상과 전략적 함의 | 곽승지
1. 머리말
2. 김정은시대 북한의 변화 양상에 대한 해석
3. 김정은시대 북한의 국가목표 및 국가전략
4. 맺음말
제2부3대 세습과 권력의 향배
제4장김정은 권력승계 과정과 과도기 권력구조: 장성택 숙청 이전을 중심으로 | 이기동
1. 머리말
2. 김정은의 권력승계 과정
3. 과도기 권력구조의 변화 과정
제5장김정은정권의 수령제와 당·정·군 관계 | 김갑식
1. 머리말
2. 수령제의 재구성: 수령-당 관계와 당정·당군 관계
3. 김일성시대와 김정일시대의 권력구조
4. 김정은정권의 ‘재구성된 수령제’
5. 맺음말
제6장김정은시대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역할과 엘리트|정성장
1. 머리말
2. 북한 최고인민회의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역할 비교
3. 김정은시대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역할
4.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엘리트
5. 맺음말
제7장수령독재하 권력과 이권을 둘러싼 갈등, 그리고 장성택 숙청 | 박형중·최대석·박영자·장인숙
1. 머리말
2. 수령독재하 권력과 이권을 둘러싼 갈등 동학의 기본 모델
3. 권력세습 과정에서 권력과 이권 갈등의 전개와 장성택
4. 맺음말
제3부대외갈등의 지속 또는 대타협의 모색
제8장김정은시대 북한의 대외전략: 지속과 변화의 ‘병진노선’ | 황지환
1. 머리말
2. 신년사를 통해 본 ‘지속과 변화의 병진노선’
3. 김정은시대의 대외관계 재검토: 위기 고조와 긴장 완화의 병진
4. 김정은시대의 대외전략과 병진노선의 구조적 모순
5. 김정은시대 한국의 대북정책
제9장김정은정권의 혼합외교: 갈등과 협력의 조화 혹은 엇박자 | 서보혁
1. 머리말: 김정은정권의 대외정책을 보는 방법
2. 북한의 대외정책 대강: 인식, 목표, 수단
3. 김정은정권의 대외정책
4. 김정은정권의 대외정책 특징과 과제
제10장중국의 부상에 대한 김정은정권의 헤징전략 | 장용석
1. 머리말
2. 정치·외교적 대응: 자주와 연성균형
3. 군사적 대응: 자위와 내적 균형
4. 경제적 대응: 자립과 협력 대변화
5. 맺음말
제11장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의 대남정책 | 양무진
1. 머리말
2. 북한의 대남정책 추진 배경 및 변화
3.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의 대남정책 전개 과정
4. 최근 북한 대남정책의 특징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