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정보 스토리지와 관리 :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의 정보 저장과 관리, 보호 기법 / EMC교육사업부 지음 ;김기성 옮김
정보 스토리지와 관리 :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의 정보 저장과 관리, 보호 기법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정보 스토리지와 관리 :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의 정보 저장과 관리, 보호 기법 / EMC교육사업부 지음 ;김기성 옮김
  • ·발행사항 의왕 : 에이콘, 2013[실은 2014]
  • ·형태사항 586 p. :삽화, 도표 ;26 cm
  • ·총서사항 (에이콘 데이터 과학 시리즈 =Data science series ;9)
  • ·주기사항 원표제:Information storage and management :storing, managing, and protecting digital information in classic, virtualized, and cloud environments(2nd ed.)
    원저자명: EMC Education Services
    색인수록
    권말부록: 애플리케이션 I/O 특성 등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0775121  94000 : \4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04.224  듀이십진분류법-> 621.397  
  • ·주제명 정보 관리[情報管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EMC교육사업부 지음 ;김기성 옮김 2013[실은 2014] SE0000078712 004.224-14-1 일반자료실(서고) 대출중 0 2024-06-29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1부  스토리지 시스템

1장  정보 스토리지 소개
___1.1 정보 스토리지
______1.1.1 데이터
______1.1.2 데이터 유형
______1.1.3 빅데이터
______1.1.4 정보
______1.1.5 스토리지
___1.2 스토리지 아키텍처의 진화
___1.3 데이터 센터 인프라스트럭처
______1.3.1 데이터 센터의 주요 요소
______1.3.2 데이터 센터의 주요 특징
______1.3.3 데이터 센터 관리
___1.4 가상화와 클라우드 컴퓨팅
___정리

2장  데이터 센터 환경
___2.1 애플리케이션
___2.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___2.3 호스트(컴퓨트)
______2.3.1 운영체제
_________메모리 가상화
______2.3.2 디바이스 드라이버
______2.3.3 볼륨 매니저
______2.3.4 파일 시스템
______2.3.5 컴퓨트 가상화
___2.4 연결
______2.4.1 연결의 물리적 컴포넌트
______2.4.2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_________IDE/ATA와 SATA
_________SCSI와 직렬 SCSI
_________파이버 채널
_________인터넷 프로토콜(IP)
___2.5 스토리지
___2.6 디스크 드라이브 컴포넌트
______2.6.1 플래터
______2.6.2 스핀들
______2.6.3 읽기/쓰기 헤드
______2.6.4 작동팔 어셈블리
______2.6.5 드라이브 컨트롤러 보드
______2.6.6 물리적 디스크 구조
______2.6.7 존 비트 레코딩
______2.6.8 논리적 블록 주소
___2.7 디스크 드라이브 성능
______2.7.1 디스크 서비스 시간
_________탐색 시간
_________회전 지연 시간
_________데이터 전송 속도
______2.7.2 디스크 I/O 컨트롤러 이용도
___2.8 데이터에 대한 호스트 액세스
___2.9 직접 연결 스토리지
______2.9.1 DAS의 장점과 한계
___2.10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과 디스크 성능에 기반한 스토리지 디자인
___2.11 디스크 네이티브 명령어 큐
___2.12 플래시 드라이브 소개
______2.12.1 플래시 드라이브의 컴포넌트와 아키텍처
______2.12.2 기업용 플래시 드라이브의 특징
___2.13 실제 사례: VMware ESXi
___정리

3장  데이터 보호: RAID
___3.1 RAID 구현 방법
______3.1.1 소프트웨어 RAID
______3.1.2 하드웨어 RAID
___3.2 RAID 어레이 컴포넌트
___3.3 RAID 기술
______3.3.1 스트라이핑
______3.3.2 미러링
______3.3.3 패리티
___3.4 RAID 레벨
______3.4.1 RAID 0
______3.4.2 RAID 1
______3.4.3 중첩 RAID
______3.4.4 RAID 3
______3.4.5 RAID 4
______3.4.6 RAID 5
______3.4.7 RAID 6
___3.5 RAID가 디스크 성능에 미치는 영향 
______3.5.1 애플리케이션 IOPS와 RAID 구성
___3.6 RAID 비교
___3.7 핫 스페어
___정리

4장  지능형 스토리지 시스템
___4.1 지능형 스토리지 시스템의 컴포넌트
______4.1.1 프론트엔드
______4.1.2 캐시
_________캐시의 구조
_________캐시를 사용한 읽기 연산
_________캐시를 사용한 쓰기 연산
_________캐시 구현
_________캐시 관리
_________캐시 데이터 보호
______4.1.3 백엔드
______4.1.4 물리적 디스크
___4.2 스토리지 프로비저닝
______4.2.1 전통적인 스토리지 프로비저닝
_________LUN 확장: 메타LUN
______4.2.2 가상화 스토리지 프로비저닝
_________가상화 프로비저닝과 전통적 스토리지 프로비저닝의 비교
_________얇은 LUN과 전통적인 LUN의 유스케이스
______4.2.3 LUN 마스킹
___4.3 지능형 스토리지 시스템의 종류
______4.3.1 하이엔드 스토리지 시스템
______4.3.2 미드레인지 스토리지 시스템
___4.4 실제 사례: EMC 시메트릭스와 EMC VNX
______4.4.1 EMC 시메트릭스 스토리지 어레이
______4.4.2 EMC 시메트릭스 VMAX 컴포넌트
______4.4.3 시메트릭스 VMAX 아키텍처
___정리

2부  스토리지 네트워킹 기술

5장  파이버 채널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___5.1 파이버 채널
___5.2 SAN과 SAN의 진화
___5.3 FC SAN 컴포넌트
______5.3.1 노드 포트
______5.3.2 케이블과 커넥터
______5.3.3 인터커넥트 디바이스
______5.3.4 SAN 관리 소프트웨어
___5.4 FC 연결
______5.4.1 포인트-포인트
______5.4.2 파이버 채널 중재 루프
______5.4.3 파이버 채널 스위치 패브릭
_________FC-SW 전송
___5.5 스위치 패브릭 포트
___5.6 파이버 채널 아키텍처
______5.6.1 파이버 채널 프로토콜 스택
_________FC-4 레이어
_________FC-2 레이어
_________FC-1 레이어
_________FC-0 레이어
______5.6.2 파이버 채널 어드레싱
______5.6.3 월드 와이드 네임
______5.6.4 FC 프레임
______5.6.5 FC 데이터의 구조와 조직
______5.6.6 흐름 제어
_________BB_Credit
_________EE_Credit
______5.6.7 서비스 클래스
___5.7 패브릭 서비스
___5.8 스위치 패브릭 로그인 서버
___5.9 구역 설정
______5.9.1 구역 설정의 유형
___5.10 FC SAN 기술
______5.10.1 메시 토폴로지
______5.10.2 코어 에지 패브릭
_________코어 에지 패브릭의 장점과 한계
___5.11 SAN에서의 가상화
______5.11.1 블록 레벨 스토리지 가상화
______5.11.2 가상화 SAN(VSAN)
___5.12 실제 사례: EMC 커넥트릭스와 EMC VPLEX
______5.12.1 EMC 커넥트릭스
_________커넥트릭스 스위치
_________커넥트릭스 디렉터
_________커넥트릭스 다목적 스위치
_________커넥트릭스 관리 툴
______5.12.2 EMC VPLEX
_________VPLEX 제품 패밀리
___정리

6장  IP SAN과 FCoE
___6.1 iSCSI
______6.1.1 iSCSI 컴포넌트
______6.1.2 iSCSI 호스트 연결
______6.1.3 iSCSI 토폴로지
_________네이티브 iSCSI 연결
_________브리지 iSCSI 연결
_________FC와 네이티브 iSCSI 연결의 조합
______6.1.4 iSCSI 프로토콜 스택
______6.1.5 iSCSI PDU
______6.1.6 iSCSI 디스커버리
______6.1.7 iSCSI 네임
______6.1.8 iSCSI 세션
______6.1.9 iSCSI 명령어 시퀀스
___6.2 FCIP
______6.2.1 FCIP 프로토콜 스택
______6.2.2 FCIP 토폴로지
______6.2.3 FCIP 성능과 보안
___6.3 FCoE
______6.3.1 FCoE를 사용한 I/O 통합
______6.3.2 FCoE 네트워크 컴포넌트
_________통합 네트워크 어댑터
_________케이블
_________FCoE 스위치
______6.3.3 FCoE 프레임 구조
_________FCoE 프레임 매핑
______6.3.4 FCoE 관련 기술
_________우선순위 기반 흐름 제어
_________강화된 전송 선택
_________정체 알림
_________데이터 센터 브리징 교환 프로토콜
___정리

7장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
___7.1 범용 서버와 NAS 디바이스
___7.2 NAS의 장점
___7.3 파일 시스템과 네트워크 파일 공유
______7.3.1 파일 시스템 액세스
______7.3.2 네트워크 파일 공유
___7.4 NAS 컴포넌트
___7.5 NAS I/O 연산
___7.6 NAS 구현
______7.6.1 통합 NAS
______7.6.2 통합 NAS 연결
______7.6.3 게이트웨이 NAS
______7.6.4 게이트웨이 NAS 연결
______7.6.5 스케일아웃 NAS
______7.6.6 스케일아웃 NAS 연결
___7.7 NAS 파일 공유 프로토콜
______7.7.1 NFS
______7.7.2 CIFS
___7.8 NAS 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
___7.9 파일 레벨 가상화
___7.10 실제 사례: EMC 아이실론과 EMC VNX 게이트웨이
______7.10.1 EMC 아이실론
______7.10.2 EMC VNX 게이트웨이
___정리

8장  객체 기반 스토리지와 통합 스토리지
___8.1 객체 기반 스토리지 디바이스
______8.1.1 객체 기반 스토리지 아키텍처
______8.1.2 OSD의 컴포넌트
______8.1.3 OSD에서의 객체 저장과 추출
______8.1.4 객체 기반 스토리지의 장점
______8.1.5 객체 기반 스토리지의 유스케이스
___8.2 컨텐츠 주소 스토리지
___8.3 CAS 유스케이스
______8.3.1 헬스케어 솔루션: 환자 기록 저장
______8.3.2 금융 솔루션: 금융 기록 저장
___8.4 통합 스토리지
______8.4.1 통합 스토리지의 컴포넌트
_________통합 스토리지의 데이터 액세스
___8.5 실제 사례: EMC 아트모스와 EMC VNX, EMX 센테라
______8.5.1 EMC 아트모스
______8.5.2 EMC VNX
______8.5.3 EMC 센테라
_________EMC 센테라 아키텍처
___정리

3부 백업과 아카이브, 복제

9장  비즈니스 연속성 소개
___9.1 정보 가용성
______9.1.1 정보 비가용성의 원인
______9.1.2 다운타임의 결과
______9.1.3 정보 가용성의 측정
___9.2 BC 용어
___9.3 BC 계획 라이프 사이클
___9.4 장애 분석
______9.4.1 단일 실패 지점
______9.4.2 단일 실패 지점의 해결
______9.4.3 다중 경로 소프트웨어
___9.5 비즈니스 영향 분석
___9.6 BC 기술 솔루션
___9.7 실전 사례: EMC 파워패스
______9.7.1 파워패스 기능
______9.7.2 동적 로드 밸런싱
_________파워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I/O 연산
_________파워패스를 사용하는 I/O 연산
______9.7.3 자동 경로 장애 복구
_________파워패스가 없는 상황에서의 경로 장애
_________파워패스를 사용한 경로 장애 복구: 액티브-액티브 어레이
_________파워패스를 사용한 경로 장애 복구: 액티브-패시브 어레이
___정리

10장  백업과 아카이브
___10.1 백업의 목적
______10.1.1 장애 복구
______10.1.2 운영 복구
______10.1.3 아카이브
___10.2 백업 고려사항
___10.3 백업 그래뉼래러티
___10.4 복구 고려사항
___10.5 백업 기법
___10.6 백업 아키텍처
___10.7 백업과 복구 작업
___10.8 백업 토폴로지
___10.9 NAS 환경에서의 백업
______10.9.1 서버 기반과 서버리스 백업
______10.9.2 NDMP 기반 백업
___10.10 백업 타깃
______10.10.1  테이프 백업
_________물리적 테이프 라이브러리
_________테이프의 한계
______10.10.2  디스크 백업
______10.10.3  가상 테이프로의 백업
_________가상 테이프 라이브러리
___10.11 백업을 위한 데이터 중복 제거
______10.11.1  데이터 중복 제거 기법
______10.11.2  데이터 중복 제거 구현
_________소스 기반 데이터 중복 제거
_________타깃 기반 데이터 중복 제거
___10.12 가상화 환경에서의 백업
___10.13 데이터 아카이브
___10.14 아카이빙 솔루션 아키텍처
______10.14.1  유스케이스: 이메일 아카이빙
______10.14.2  유스케이스: 파일 아카이빙
___10.15 실제 사례: EMC 넷워커와 EMC 아바마, EMC 데이터 도메인
______10.15.1  EMC 넷워커
______10.15.2  EMC 아바마
______10.15.3  EMC 데이터 도메인
___정리

11장  로컬 복제
___11.1 복제 용어
___11.2 로컬 리플리카 사용
___11.3 리플리카 일관성
______11.3.1 복제 파일 시스템의 일관성
______11.3.2 복제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
___11.4 로컬 복제 기술
______11.4.1 호스트 기반 로컬 복제
_________LVM 기반 복제
_________LVM 기반 복제의 장점
_________LVM 기반 복제의 한계
_________파일 시스템 스냅샷
______11.4.2  스토리지 어레이 기반 로컬 복제
_________풀 볼륨 미러링
_________포인터 기반 풀 볼륨 복제
_________포인터 기반 가상 복제
______11.4.3  네트워크 기반 로컬 복제
_________연속적인 데이터 보호
_________CDP 로컬 복제 작업
___11.5 소스와 리플리카의 변경 내역 추적
___11.6 복원과 재시작 고려사항
___11.7 다중 리플리카 생성
___11.8 가상 환경에서의 로컬 복제
___11.9 실제 사례: EMC 타임파인더, EMC 스냅뷰, EMC 리커버포인트
______11.9.1 EMC 타임파인더
_________타임파인더/클론
_________타임파인더/스냅
______11.9.2 EMC 스냅뷰
_________스냅뷰 스냅샷
_________스냅뷰 클론
______11.9.3 EMC 리커버포인트
___정리

12장  원격 복제
___12.1 원격 복제 모드
___12.2 원격 복제 기술
______12.2.1 호스트 기반 원격 복제
_________LVM 기반 원격 복제
_________호스트 기반 로그 전송
______12.2.2 스토리지 어레이 기반 원격 복제
_________동기식 복제 모드
_________비동기식 복제 모드
_________디스크 버퍼 복제 모드
______12.2.3 네트워크 기반 원격 복제
_________CDP 원격 복제
___12.3 쓰리 사이트 복제
______12.3.1 쓰리 사이트 복제: 캐스케이드/멀티홉
_________동기식 + 비동기식
_________동기식 + 디스크 버퍼
______12.3.2 쓰리 사이트 복제: 트라이앵클/멀티타깃
___12.4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솔루션
___12.5 가상화 환경에서의 원격 복제와 마이그레이션
___12.6 실제 사례: EMC SRDF, EMC 미러뷰, EMC 리커버포인트
______12.6.1 EMC SRDF
______12.6.2 EMC 미러뷰
______12.6.3 EMC 리커버포인트
___정리

4부  클라우드 컴퓨팅

13장  클라우드 컴퓨팅
___13.1 클라우드 기반 기술
___13.2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
___13.3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
___13.4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______13.4.1 IaaS
______13.4.2 PaaS
______13.4.3 SaaS
___13.5 클라우드 배치 모델
______13.5.1 퍼블릭 클라우드
______13.5.2 프라이빗 클라우드
______13.5.3 커뮤니티 클라우드
______13.5.4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___13.6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스트럭처
______13.6.1 물리적 인프라스트럭처
______13.6.2 가상 인프라스트럭처
______13.6.3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 소프트웨어
______13.6.4 클라우드 관리와 서비스 생성 툴
___13.7 클라우드의 해결 과제
______13.7.1 고객의 해결 과제
______13.7.2 제공자의 해결 과제
___13.8 클라우드 채택 고려사항
___13.9 실제 사례: V블록
___정리

5부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보안과 관리

14장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보안
___14.1 정보 보안 프레임워크
___14.2 리스크 트라이어드
______14.2.1 자산
______14.2.2 위협
______14.2.3 취약성
___14.3 스토리지 보안 도메인
______14.3.1 애플리케이션 액세스 도메인 보안
_________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 제어
_________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의 보호
_________데이터 암호화
______14.3.2 관리 액세스 도메인 보안
_________관리 액세스 제어
_________관리 인프라스트럭처의 보호
______14.3.3 백업과 복제, 아카이브 보안
___14.4 스토리지 네트워크에서의 보안 구현
______14.4.1 FC SAN
_________FC SAN 보안 아키텍처
_________기본 SAN 보안 메커니즘
_________LUN 마스킹과 구역 설정
_________스위치 포트 보안
_________스위치 와이드와 패브릭 와이드 액세스 제어
_________패브릭의 논리적 분할: 가상 SAN
______14.4.2 NAS
_________NAS 파일 공유: 윈도우 ACL
_________NAS 파일 공유: 유닉스 권한
_________NAS 파일 공유: 인증과 권한
_________커버로스
_________네트워크 레이어 방화벽
______14.4.3 IP SAN
___14.5 가상화 환경과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보안
______14.5.1 보안 관련 사항
______14.5.2 보안 기법
_________컴퓨트 레벨의 보안
_________네트워크 레벨의 보안
_________스토리지 레벨의 보안
___14.6 실제 사례: RSA와 VMware 보안 제품
______14.6.1 RSA 시큐어아이디
______14.6.2 RSA 아이덴티티와 액세스 관리
______14.6.3 RSA 데이터 보호 관리자
______14.6.4 VMware vShield
___정리

15장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___15.1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모니터링
______15.1.1 모니터링 파라미터
______15.1.2 모니터링할 컴포넌트
_________호스트
_________스토리지 네트워크
_________스토리지
______15.1.3 모니터링 예제
_________접근성 모니터링
_________용량 모니터링
_________성능 모니터링
_________보안 모니터링
______15.1.4 경보
___15.2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작업
______15.2.1 가용성 관리
______15.2.2 용량 관리
______15.2.3 성능 관리
______15.2.4 보안 관리
______15.2.5 리포팅
______15.2.6 가상화 환경에서의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______15.2.7 스토리지 관리 예
_________예 1: 새로운 서버/호스트에 스토리지 할당하기
_________예 2: 파일 시스템 공간 관리
_________예 3: 차지백 리포트
___15.3 스토리지 인프라스트럭처 관리의 도전 과제
___15.4 이상적인 솔루션의 개발
______15.4.1 스토리지 관리 이니셔티브
______15.4.2 기업 관리 플랫폼
___15.5 정보 생명 주기 관리
___15.6 스토리지 티어링
______15.6.1 인트라어레이 스토리지 티어링
______15.6.2 인터어레이 스토리지 티어링
___15.7 실제 사례: EMC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툴
______15.7.1 EMC 컨트롤센터와 프로스피어
______15.7.2 EMC 유니스피어
______15.7.3 EMC 통합 인프라스트럭처 관리자(UIM)
___정리
부록 A 애플리케이션 I/O 특성
부록 B 병렬 SCSI
부록 C SAN 디자인 연습문제
부록 D 정보 가용성 연습문제
부록 E 원격 복제를 위한 네트워크 기술
부록 F 약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