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독도戰 : 소리 없는 전쟁 / 글쓴이 : 박찬열,정꽃님
독도戰 : 소리 없는 전쟁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독도戰 : 소리 없는 전쟁 / 글쓴이 : 박찬열,정꽃님
  • ·발행사항 서울 : 나무와숲, 2015
  • ·형태사항 223 p. :천연색삽화, 지도 ;23 cm
  • ·총서사항 (방송문화진흥총서 ;160)
  • ·주기사항 "독도 분쟁 연대표" 수록
    MBC재단 방송문화진흥회의 지원을 받아 출간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3632514  03910 :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8295  한국십진분류법-> 349.91  듀이십진분류법-> 951.9  듀이십진분류법-> 327.519  
  • ·주제명 영토 분쟁[領土紛爭]독도 문제[獨島問題]독도(한국)[獨島]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글쓴이: 박찬열,정꽃님 2015 SE0000207547 911.8295-15-6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프롤로그 : 사건의 재구성
1장 17세기 최초의 한·일 영유권 분쟁
‘울릉도 쟁계’
수토사 장한상
17세기 조선, 2년 간격으로 수토제 시행 | 장한상, 독도를 관찰하고 기록한 최초의 관리
울릉도 쟁계의 시작, 안용복 사건
안용복 납치사건의 전말 | 죽도(다케시마)는 울릉도의 옛 이름 | “우리나라의 울릉도, 귀경의 죽도”
울릉도 쟁계의 전개, 달라진 정국, 달라진 전략
중차대한 외교 문제로 떠오른 울릉도 쟁계 | 조선, 일본 어민들의 울릉도 출입 금지 요구
울릉도 쟁계의 열쇠, 공도정책의 진실
‘공도정책’은 독도를 강탈하기 위한 일본 측 논리 | 조선은 공도정책이 아니라 섬을 관리하는 ‘쇄환정책’ 실시 | 울릉도는 정말 무인도였을까
울릉도 쟁계의 결말, 죽도도해금지령
죽도의 조선 영유권을 인정한 ‘돗토리번 답변서’
영토 주권 의지 밝힌 수토정책
수토제는 영토주권 행사의 증거 | 조선, 1차 한?일 영유권 분쟁에서 승리
2장 19세기 다시 타오른 일본의 욕망
‘울릉도·독도 침탈’
태평양의 무인도, 일본의 영토가 되다
오가사와라 제도는 어떻게 일본 영토가 되었나
영토편입의 열풍, 울릉도를 향하다
두 개의 이름을 갖게 된 울릉도 | 도다 다카요시의 ‘죽도도해청원서’ | 일본인들의 불법 채취와 목재 벌목 극성 |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울릉도와 부속 섬은 우리 영토
일본, 울릉도에서 독도로 눈을 돌리다
독도 강치에 꿈틀거리기 시작한 일본의 욕망 |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독도 가치에 주목하기 시작한 일본 | 1905년 일본, 시마네현에 독도 편입하기로 결정 | ‘마츠시마’였던 독도는 어떻게 ‘다케시마’로      바뀌었는가
독도는 무주지였을까
증거 1. 다시 보는 울릉도 쟁계 | 증거 2. 죽도지내송도 | 증거 3. 대마도 종가 고문서 no.4013 | 증거 4. 1877년 태정관 지령 | 증거 5. 심흥택 보고서
오가사와라 편입을 통해 본 독도 강제 편입의 문제점
독도 문제의 시작과 문제해결 실마리가 담긴 오가사와라 편입 과정 | 일본의 외교 문서와 ‘삼국접양지도’ | ‘약자’ 일본과 ‘강자’ 일본의 두 얼굴 | 미나미도리시마 사건
3장 21세기 새로운 독도戰의 시작
일본 제국주의 사상의 뿌리, 요시다 쇼인
메이지 유신의 태동지, 조슈번 | 이토 히로부미의 생가와 요시다 쇼인의 신사 | 요시다 쇼인의 사상, 정한론과 제국주의로 발전
아시아 침탈의 발판 ‘다케시마’
조선과 만주 정벌의 거점, 울릉도 |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지 ‘군함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등재
일본의 독도 도발, 그 욕망의 본질
다시 ‘전쟁할 수 있는 나라’가 된 일본 |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독도 도발 수위 | 역사 교과서 왜곡 통한 독도 도발 | 세 번째 ‘독도戰’ 준비하고 있는 일본
에필로그 : ‘동해와 독도’ 표기를 둘러싼 소리 없는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