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지리산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한중일 명산문화 / 저자 : 최원석,문동규,김진욱,서정호,우정미,김지영 ;엮은이 : 국립순천대·국립경상대 인문한국(HK) 지리산권문화연구단
지리산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한중일 명산문화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지리산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한중일 명산문화 / 저자 : 최원석,문동규,김진욱,서정호,우정미,김지영 ;엮은이 : 국립순천대·국립경상대 인문한국(HK) 지리산권문화연구단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5
  • ·형태사항 281 p. :삽화, 지도 ;23 cm
  • ·총서사항 (지리산인문학대전 ;20)(토대연구 ;10)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9338986  94910 : \2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94  듀이십진분류법-> 951.9  
  • ·주제명 명산[名山]향토 문화[鄕土文化]지리산[智異山]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최원석,문동규,김진욱,서정호,우정미,김지영 ;엮은이: 국립순천대·국립경상대 인문한국(HK) 지리산권문화연구단 2015 SE0000183308 911.94-15-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세계유산의 문화경관 유형에 관한 고찰 - 산(山) 유산을 중심으로 _최원석
Ⅰ. 머리말
Ⅱ. 세계유산의 가치평가와 등재형태의 변화경향
Ⅲ. 세계문화경관유산의 정의와 등재 현황
Ⅳ. 세계문화경관유산과 산
Ⅴ. 맺음말
지리산 문화경관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구성 _최원석
Ⅰ. 머리말
Ⅱ. 지리산 문화경관의 세계유산적 정체성
Ⅲ. 지리산 문화경관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구성
Ⅳ. 지리산 문화경관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의의
Ⅴ. 요약 및 맺음말
지리산의 불교유산: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 문제 _문동규
Ⅰ. 시작하는 말
Ⅱ. 지리산의 전통사찰과 불교유산
Ⅲ. 지리산의 불교문화유산: 세계문화유산적 가치 및 등재가능성 문제
Ⅳ. 맺는말
지리산권 불교문화의 세계유산적 가치 _김진욱
Ⅰ. 서론
Ⅱ. 세계유산 등재 기준
Ⅲ. 지리산권 불교문화 유산
Ⅳ. 대상 유산의 세계유산적 가치
Ⅴ. 결론
지리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전략과 과제 _서정호
Ⅰ. 문제의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지리산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적용 등재 기준
Ⅳ. 지리산의 세계유산 등재 전략과 과제
Ⅴ. 요약 및 결론
지리산의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필요성과 전망에 관한 연구 _서정호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일본의 명산과 여신 - 하쿠산을 중심으로 _우정미
Ⅰ. 머리말
Ⅱ. 호쿠리쿠(北陸)의 명산 하쿠산(白山)
Ⅲ. 하쿠산 여신의 변용
Ⅳ. 맺는 말
오미네산 여인금제 전통의 현대적 의미 _우정미
Ⅰ. 들어가며
Ⅱ. 슈겐도 행장(行場)으로서의 오미네산
Ⅲ. 오미네산 여인금제와 해금운동 역사
Ⅳ. 오미네산 여인금제 전통의 재해석
Ⅴ. 마치며
중국의 여산신 신앙 연구 - 태산 벽하원군 신앙을 중심으로 _김지영
Ⅰ. 머리말
Ⅱ. 벽하원군의 유래
Ⅲ. 벽하원군의 신격과 기능
Ⅳ. 벽하원군 신앙의 발전과 전승
Ⅴ. 맺음말
중국 태산과 여산의 유교문화 _김지영
Ⅰ. 머리말
Ⅱ. 유학의 근원지, 태산
Ⅲ. 송대 유학 교육의 발원지, 여산
Ⅳ. 중국 명산 관련 유교문화의 두 유형, 태산과 여산
Ⅴ. 맺음말
중국의 태산문화 전개와 한국의 수용 양상 _최원석
Ⅰ. 머리말
Ⅱ. 동아시아의 산악문화와 태산문화
Ⅲ. 중국의 태산문화 전개와 영향
Ⅳ. 한국의 태산문화 수용 양상과 방식
Ⅴ. 요약 및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