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의 전통극, 그 새로운 연구로의 초대 / 저자 : 손태도
한국의 전통극, 그 새로운 연구로의 초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의 전통극, 그 새로운 연구로의 초대 / 저자 : 손태도
  •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13
  • ·형태사항 694 p. :삽화 ;27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영어 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0315982  93380 : \5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80.911  듀이십진분류법-> 792.09519  
  • ·주제명 전통극[傳統劇]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손태도 2013 SE0000200801 680.911-15-7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서론
오늘날 민속연희 연구의 현황과 전망
1. 들어가는 말
2. 오늘날 연구사적으로 정리되어야 할 문제들
1) 가면극, 인형극 등의 기원 문제
2)『문종실록』의 ‘광대(廣大)∼소학지희(笑謔之戱)’의 해석 문제
3. 새로운 연구들을 위한 전망
1) 광대 집단의 존재
2) 지방의 산대희와 나례희의 존재
4. 현대 사회와 민속연희
1) 문화재로 지정된 민속연희들
2) 가면극ㆍ마당극ㆍ마당놀이의 상관 관계
5. 맺음말
Ⅱ. 화극
조선시대 화극의 전통과 그 역사
1. 들어가는 말
2. 전통 사회 화극의 전통
3. 조선시대 화극의 담당자
4. 조선시대 화극의 공연 공간과 그 역사
1) 궁궐의 나례희
2) 민간의 연석
3) 일반의 길거리
5. 조선시대 화극의 공연예술사적 의의
6. 맺음말
Ⅲ. 가면극
본산대 탈놀이패에 대한 시각
1. 들어가는 말
2. 전경욱의 ‘반인설(泮人說)’에 대한 반론
3. ‘여수척(如水尺) 승광대(僧廣大) 등(等) 소학지희(笑謔之戱)’에 대한 해석
4. 본산대 탈놀이패에 대한 가능한 시각
5. 맺음말
전통 사회 지방의 산대희, 나례희와 그에 따른 현장
1. 들어가는 말
2. 지방의 산대희와 오늘날의 현장
1) 지방의 산대희
2) 오늘날의 현장
3. 지방 관아의 나례희와 오늘날의 현장
1) 가무백희적 나례희와 오늘날의 현장
2) 구나적 나례희와 오늘날의 현장
4. 맺음말
현전 서낭제 탈놀이에 대한 산대희적 시각
1. 문제 제기
2. 현전 탈놀이 등장인물들에 대한 시각
3. 현전 서낭제 탈놀이들에 대한 시각
1) 하회별신굿과 탈놀이
2) 강릉단오제와 관노가면극
3) 예천 청단놀음
4. 현전 서낭제 탈놀이들에 대한 산대희적 시각
5. 맺음말
하회 서낭신의 정체와 하회탈놀이의 공연예술사적 의의
1. 들어가는 말
2. 하회 서낭신의 정체
3. 하회탈놀이에 대한 시각
4. 하회탈놀이의 공연예술사적 의의
5. 맺음말
조선 후기 탈춤의 주체
1. 머리말
2. 조동일의 ‘농촌탈춤ㆍ떠돌이탈춤ㆍ도시탈춤’ 모델의 재검토
3. 조선시대 관청 주도의 탈춤들
4. 조선 후기 관청 주도 탈춤들의 변화
5. 조선 후기 민간 주도 탈춤들의 성행
6. 조선 후기 탈춤의 주체에 대한 시각
7. 맺음말
Ⅳ. 재담소리
전통 사회 재담소리의 존재와 그 공연예술사적 의의
1. ‘재담소리’의 개념
2. 연구사
3. 재담소리의 종류
1) 서사형 재담소리
2) 재담말형 재담소리
3) 흉내내기형 재담소리
4. 서사형 재담소리의 유래
5. 재담소리의 공연예술사적 의의
6. 남는 말
굿놀이와 재담소리
1. 머리말
2. 굿놀이 계통 재담소리의 현황
3. 굿놀이와 극놀이적 방식의 재담소리
4. 굿놀이의 공연예술사적 의의
5. 맺음말
Ⅴ. 판소리
광대소리의 하나로서 판소리
1. 들어가는 말
2. 타령과 판소리
3. 영산(靈山)과 판소리
4. 재담소리와 판소리
5. 판소리의 성립
6. 맺음말
세계 예술사에서 새로운 예술 세계를 연 판소리
1. 들어가는 말
2. 광대 집단의 존재
3. 과거 제도의 시행
4. 서사무가의 존속
5. 판소리의 예술사적 의의
6. 맺음말
판소리 계통 공연예술들을 통해 본 오늘날 판소리의 나아갈 길
1. 문제제기
2. 오늘날 판소리의 위상
3. 판소리 계통 공연예술들에 대한 고찰
1) 창극
2) 여성국극
3) 오늘날의 창작 판소리
4. 오늘날 판소리의 나아갈 길
5. 맺음말
〈자료〉
‘재담소리’ 작품
1. 서사형 재담소리
극본(劇本) 배뱅이굿(평안도 민속극)
배뱅이굿
배뱅이굿의 서설(緖說)
배뱅이 굿 대사(臺詞)
장대장네굿
장대장타령
장대장타령(콜럼비아 음반)
장대장타령
장대장 타령
옷단지굿 노래
동우굿 노래(옹구굿)
여치 타령
풍구타령
김한량타령
변강수 타영
변강쇠타령
(서도) 장끼타령
재담천하 강산유람
2. 재담말형 재담소리
병신 난봉가(병신재담)
병신재담
장님타령
개타령
탁발승 재담
중타령1
각설이타령
장타령(場打令)
3. 흉내내기형 재담소리
객넉두리
개넋두리
각색 장사치 흉내
장님 흉내
(만곡(漫曲)) 장님흉내
축원경
파경(罷經)
1958년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하회탈놀이’ 대본
‘하회탈놀이’ 관련 면담조사
류한상 선생님(1차)
윤병하 선생님
장주봉 어르신(1차)
장주봉 어르신(2차)
류한상 선생님(2차)
김종태 어르신
성병희 선생님
류성하 어르신ㆍ고복순 어르신
하회 양진당 종부님ㆍ춘양댁님
류석호 선생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