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조선시대 회화의 교류와 소통 : 조선시대 회화 연구의 새로운 접근 / 지은이 : 박은순,박해훈,이혜경,차미애,김현지,유순영,박정애,권혜은,배원정
조선시대 회화의 교류와 소통 : 조선시대 회화 연구의 새로운 접근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조선시대 회화의 교류와 소통 : 조선시대 회화 연구의 새로운 접근 / 지은이 : 박은순,박해훈,이혜경,차미애,김현지,유순영,박정애,권혜은,배원정
  • ·발행사항 서울 : 사회평론 :사회평론아카데미, 2014
  • ·형태사항 312 p. :천연색삽화, 초상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5617190  9365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53.11  듀이십진분류법-> 759.9519  
  • ·주제명 조선 시대[朝鮮時代]회화(그림)[繪畵]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박은순,박해훈,이혜경,차미애,김현지,유순영,박정애,권혜은,배원정 2014 SE0000196735 653.11-15-26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I. 회화를 통한 소통: 새로운 맥락으로 보는 한일회화교류
-일본 다이묘가 소장한 조선그림-  박은순 11
1. 머리말
2. 다이묘 소장의 조선그림과 그 의의
3. 조선 국왕이 일본에 선사한 《춘일송록도》와 《추월죽학도》
4. 맺음말
II. 송시열과 노론계 인사들의 유복본 초상화 제작  이혜경 49
1. 머리말
2. 조선시대 유복본 초상화의 제작 배경
3. 17세기 유복본 초상화와 송시열 초상화의 제작
4. 18세기 노론계 인사들의 유복본 초상화
5. 맺음말
III. 『십죽재서화보』와 조선 후기 회화 문화의 변화
-강세황과 그 주변 인물들을 중심으로-  차미애 75
1. 머리말
2. 『십죽재서화보』의 회화 경향
3. 강세황과 주변 인물들의 『십죽재서화보』 수용 양상
4. 조선 후기 화목별 『십죽재서화보』 방작의 유형
5. 맺음말
IV. 김홍도의 문인 표상의 화가 이미지 연구
-강세황의 화평과 「단원기」 분석을 중심으로-  김현지 103
1. 머리말
2. 김홍도 그림과 강세황 화평의 조합
3. 「단원기」와 다시 쓴 「단원기(우일본)」
4. 김홍도에 대한 동시대의 다양한 평가들
5. 두 사람의 합작의 의미
6. 맺음말
V. 조선 후기 소상팔경도에 대한 고찰  박해훈 145
1. 머리말
2. 정선의 소상팔경도
3. 심사정의 소상팔경도
4. 기타 소상팔경도
5. 조선 후기 소상팔경도의 특징
VI. 조선 후반기 이백 시문의 회화표현과 취태백도  유순영 175
1. 머리말
2. 이백 시문의 수용양상과 조선 전반기 이백 관련 회화
3. 18~19세기 이백시의도와 춘야연도리원도
4. 18~19세기 취태백도
5. 맺음말
VII. 연경재 성해응의 서화취미와 서화관 연구
-「서화잡지」를 중심으로-  박정애 211
1. 머리말
2. 성해응의 서화관 형성 배경
3. 성해응의 서화취미와 「서화잡지」
4. 성해응의 서화관과 서화감평
5. 맺음말
VIII. 석지 채용신의 호남지역에서의 활동과 작품  권혜은 249
1. 머리말
2. 관료에서 화가로 변모
3. 호남지역 인물들과의 교류
4. 도화소 공방의 운영
5. 맺음말
IX. 조선 말 신선도의 양상과 성격
-안중식, 조석진의 신선도를 중심으로-  배원정 277
1. 머리말
2. 조선시대 신선도의 성격 변천
3. 안중식, 조석진의 신선도
4.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