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처음 읽는 윤리학 : 소크라테스부터 자크데리다까지, 성윤리부터 디지털윤리까지 윤리의 본성을 탐구하는 철학적 모험! / 엮은이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글쓴이 : 주동률,황경식,정원섭,강순전,백승영,이남인,박찬국,김창래,김상록,김상환,하주영,정연교,정훈,김명식,최경석,김은희,김형철,목광수,이민수,박병섭,김현섭
처음 읽는 윤리학 : 소크라테스부터 자크데리다까지, 성윤리부터 디지털윤리까지 윤리의 본성을 탐구하는 철학적 모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처음 읽는 윤리학 : 소크라테스부터 자크데리다까지, 성윤리부터 디지털윤리까지 윤리의 본성을 탐구하는 철학적 모험! / 엮은이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글쓴이 : 주동률,황경식,정원섭,강순전,백승영,이남인,박찬국,김창래,김상록,김상환,하주영,정연교,정훈,김명식,최경석,김은희,김형철,목광수,이민수,박병섭,김현섭
  • ·발행사항 파주 : 동녘, 2013
  • ·형태사항 648 p. ;23 cm
  • ·주기사항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2977025  9310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90  듀이십진분류법-> 170  
  • ·주제명 윤리학[倫理學]철학(사상)[哲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엮은이: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글쓴이: 주동률,,황경식,,정원섭,,강순전,,백승영,,이남인,,박찬국,,김창래,,김상록,,김상환,,하주영,,정연교,,정훈,,김명식,,최경석,,김은희,,김형철,,목광수,,이민수,,박병섭,,김현섭 2013 SE0000065533 190-14-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들어가는 글 

1부. 왜 윤리학인가?

윤리학의 쟁점: 실재론/반실재론, 자연주의/반자연주의, 상대주의/보편주의_주동률 
메타윤리학의 성격과 주요 이슈들/ 도덕 실재론의 일반적 규정과 일상적 도덕 관행의 실재론적 성격/ 도덕 실재론에 대한 반실재론의 문제제기/ 반실재론의 유형들/ 자연주의적 실재론과 반자연주의적 실재론/ 도덕에 관한 상대주의와 보편주의의 대조/ 메타윤리학의 향후 전개에서 주목해야 할 주제와 과제

합당한 윤리설을 찾아서: 의무윤리와 덕윤리의 상호보완_황경식 
‘도덕규칙’이냐 ‘행위의 결과’냐?/ 윤리학의 의무론과 결과론/ 의무윤리에 대한 비판과 덕윤리/ 덕, 바르고 즐거운 삶의 기술/ 의무윤리의 보완으로서 덕윤리 

2부. 철학, 윤리를 말하다

계약론의 입장: 윤리는 계약의 산물인가?_정원섭 
고전 윤리설의 아포리아/ 계약론의 기원과 근대 사회계약론/ 현대의 계약론 등장/ 규범적 계약론: 롤스의 ‘공정으로서 정의’/ 타산적 계약론: 고티에의 ‘이해관계로서의 윤리’/ 계약론의 의의

변증법의 입장: 헤겔의 공동체로 확장된 주체의 윤리_강순전
변증법은 무엇인가?/ 자유주의적 원자론 비판과 인륜성의 이념/ 도덕성과 인륜성/ 시민사회와 국가의 변증법적 매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변증법적 방법을 통해 자유주의의 비판으로부터 벗어나기 

계보학의 입장: 니체와 푸코의 계보학이 제안하는 삶의 윤리_백승영 
니체의 출발점: 자연주의 계보학, ‘자연명법으로 정언명법을 대체한다’/ 삶의 윤리에 대한 요청/ 전통 도덕철학에 대한 비판/ 푸코의 ‘윤리의 계보학’의 출발점/ 욕망 주체의 계보학/ 자기배려의 계보학: ‘나는 나를 무엇으로 만들어야 하는가?’/ 실존의 미학, 윤리와 미학 사이

현상학의 입장: 후설의 윤리학_이남인
현상학적 윤리학과 윤리적 회의주의의 극복/ 도덕의 원천으로서의 실천이성의 구조/ 현상학적 윤리학의 다양한 차원들/ 쇄신의 윤리학으로서의 개인윤리학과 사회윤리학/ 후설의 현상학적 윤리학에 대한 평가

실천철학의 입장: 키르케고르, 야스퍼스, 하이데거와 초월의 윤리학_박찬국
실존철학의 문제의식/ 비본래적 실존과 한계 상황/ 근본기분과 초월/ 존재 자체로의 초월로서의 본래적 실존/ 기쁨의 윤리학으로서의 실존철학/ 실존철학에서 양심과 죄/ 근대 윤리학사에서 실존철학이 갖는 의의 

정신분석학의 입장: 에리히 프롬의 정신분석적 성격 이론과 윤리학_박찬국 
프로이트의 인간 이해/ 프롬의 인간 이해/ 프로이트 비판/ 성격 이론과 윤리학/ 성격과 사회

해석학의 입장: 한스-게오르크 가다머의 ‘프로네시스와 대화의 윤리학’_김창래 
실천적 삶의 세계/ 철학적 윤리학의 딜레마/ 프락시스, 프로네시스, 에토스/ 에토스와 로고스/ 대화, 공동성, ‘하나 됨’에로의 좋은 의지

타자론의 입장: 레비나스와 얼굴의 윤리학_김상록 
나는 타자다/ 자율과 타율/ ‘윤리-정치’에서 ‘윤리-종교’로/ 제삼자와 업보/ 실존의 모순/ 제삼의 길/ 얼굴과의 대면/ 윤리와 정치 또는 종교와 철학/ 가족의 경이

해체론의 입장: 데리다의 윤리학_김상환 
차연의 철학/ 해체론적 문자학과 글-쓰기의 역설/ 해체론적 유령학과 윤리적 개방성의 기원/ 윤리와 종교의 관계

페미니즘의 입장: 남성 중심적 도덕관에 대한 비판_하주영
보살핌의 윤리/ 보살핌의 윤리는 희생자 윤리?/ 정의, 개인주의, 자율성에 대한 평가/ 감성 대 이성: 합리성 비판에 대한 평가/ 보편주의에 대한 회의?: 대체주의 비판과 차이의 인정/ 일원화된 도덕을 넘어, 더 보편적인 도덕을 향해

진화심리학의 입장: 진화론에 기반을 둔 윤리학은 어떻게 가능한가?_정연교 
진화심리학적 설명의 구조와 특징/ 도덕의 성격에 대한 진화심리학적 이해/ 주관주의와 진화론적 메타윤리학/ 자연주의와 진화론적 규범윤리학/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진화윤리학 / 우리의 선택

경제학의 입장: 경제학적 도구들과 사고방식은 윤리학에 어떤 도움을 주는가?_정훈 
윤리학 vs 경제학/ 윤리학-정치철학에 유관한 경제학적 개념들/ 윤리학-정치철학에 유용한 경제학적 사고방식 및 방법론/ 윤리학+경제학=시너지 효과 

3부. 일상생활 속의 윤리학

환경윤리: 환경문제의 원인과 해법은 무엇인가?_김명식
환경윤리의 시작/ 환경 위기의 원인은 무엇인가? /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 인간과 자연, 그리고 사회/ 기후윤리, 물의 윤리, 음식윤리/ 전 지구적으로 사고하고 지역에서 실천하기 

생명의료윤리: 왜 새로운 철학함이 요구되는가?_최경석
생명의료윤리의 대두/ ‘윤리’의 이중적 의미와 생명의료윤리학의 쟁점들/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과 학문적 특성/ 생명의료윤리적 쟁점들의 성격/ 생명의료윤리학과 철학함의 새로운 과제들

성윤리: 현대사회의 맥락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성윤리는 무엇일까?_김은희 
성윤리 패러다임/ 성문제 

분배윤리: 경제적 혜택을 어떻게 분배하는 것이 공정한가?_주동률
분배에 관여하는 이상들과 각 이상을 중심으로 한 분배윤리의 입장들/ 복지: 공리극대화, 효율성, 우선성/ 공동체/ 협상과 계약/ 네 가지 주요 분배윤리 이론들/ 분배적 이상의 다원주의: 세 가지 유형들 

기업윤리: 기업에는 어떤 윤리가 적용돼야 하는가?_김형철
두 가지 사례/ 왜 기업윤리가 철학적으로 중요한가?/ 나쁜 목적을 위한 좋은 수단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 비즈니스의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가?/ 자신과 자신의 팀에게 불리한 것을 진술하는 것은 바보짓인가?/ 존경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정의로운 가격은 존재하는가? /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은 어떤 곳인가? 

디지털윤리: 온라인상의 익명성은 정말 가능할까?_정원섭 
사이버윤리의 의미/ 컴퓨터 및 인터넷의 특성: 비가시성과 네트워킹/ 비가시성, 악용 가능성 그리고 신뢰/ 개방적 네트워킹: 자율성/ 통신 3분할 이론/ 익명성과 비대면성

지구촌윤리: 난민을 어떻게 대우해야 하는가?_목광수 
지구촌윤리에서의 난민 논의/ 자유주의에서의 이민 논의/ 공동체주의에서의 이민 논의/ 난민과 칸트의 환대권/ 아렌트의 권리를 가질 권리와 난민/ 인권 체계에서의 난민 논의/ 난민의 인권 실현을 위한 국제적 공조 체계 

전쟁윤리: 도덕적으로 올바른 전쟁은 가능한가?_이민수
전쟁과 평화/ 전쟁의 본질/ 전쟁 규칙/ 전쟁도덕/ 전시도덕

다문화주의윤리: 윤리적으로 적합한 다문화주의란 무엇인가?_박병섭 
다문화주의의 규정: 민족국가와 다수집단, 소수집단/ 소수집단들과 정의, 민주주의, 인권 사이의 관계/ 소수집단들의 분류: 다민족국가와 다종족국가/ 역사적 부정의, 민족통일 교육, 그리고 자유주의적 관용의 한계/ ‘진리의 언어’로서 위신재 영어, 한국어, 그리고 이중언어 교육/ 한국의 이민자 다문화주의 성공여건/ 한국의 결혼이민자 사례와 철학자의 역할 

세대윤리: 세대 간 정의의 의무는 무엇인가?_김현섭 
미래세대의 존부와 인구/ ‘세대 간 정의’의 한 세대가 속하는 집단의 크기/ 중첩하는 세대와 먼 세대/ 비동일성 문제/ 세대 간 정의에 관한 공리주의적 설명/ 세대 간 정의에 관한 사회계약론적 설명/ 세대 간 정의에 관한 공동체주의적 설명/ 자유지상주의, 소유권, 지속가능성 / 새로운 정의 이론은 필요한가?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