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아사이 료이(浅井了意) 문학의 성립과 성격 / 저자 : 김영호
아사이 료이(浅井了意) 문학의 성립과 성격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아사이 료이(浅井了意) 문학의 성립과 성격 / 저자 : 김영호
  • ·발행사항 서울 : 제이앤씨, 2012
  • ·형태사항 334 p. :삽화 ;23 cm
  • ·총서사항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학술총서 ;4)
  • ·주기사항 저자가 가나자와(金況)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중 아사이 료이와 관계된 1장, 2장과 <초출일람>에 제시한 기발표 논고를 중심으로 가필, 수정함
    참고문헌: p. 319-331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689081  93730 : \2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33.409  듀이십진분류법-> 895.633  
  • ·주제명 일본 문학[日本文學]소설 평론[小說評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김영호 2012 SE0000063599 833.409-14-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김영호 2012 SE0000067130 833.409-14-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장
1. 연구의 배경
2. 본서의 구성

제1장 일본에서의 『삼강행실도』의 수용과 아사이 료이의 번역
제1절 조선과 일본의 『삼강행실도』의 출판
1. 머리말
2. 초간본 『삼강행실도』
3. 언해초간본 『삼강행실도』
4. 선조개역본 『삼강행실도』
5. 영조개역본 『삼강행실도』
6. 기타 『삼강행실도』의 속편들
7. 맺음말

제2절 화각본의 시훈자(施訓者)와 저본(底本)
1. 머리말
2. 화각본의 시훈자(施訓者) 문제에 대한 재검토
3. 화각본의 저본을 둘러싼 문제
4. 삽화의 비교
5. 이체자(異體字)의 비교
6. 맺음말

제3절 화역본에 나타난 오역과 개변(改變)의 양상
1. 머리말
2. 료이의 개변과 화각본①-충신편 중권 제7화 「유갑연생(劉갑捐生)」-
3. 료이의 개변과 화각본②-충신편 중권 제8화 「부찰식립(傅察植立)」-
4. 료이의 개변과 화각본③-효자편 중권 제3화 「왕부폐시(王부廢詩)」-
5. 료이이 오역과 개변의 양상
6. 맺음말

제4절 일본에서의 『삼강행실도』 수용 양상
1. 머리말
2. 『신속열녀전』의 출판의 문제 재검토
3. 『신속열녀전』과 『삼강행실도』와의 관계
4. 『야마토 쇼가쿠(大和小學)』, 『겐조 모노가타리(賢女物語)』, 『훈몽고사요언(訓蒙故事要言)』의
   『삼강행실도』 수용
5. 맺음말

제5절 아사이 료이의 『삼강행실도』 번역과 언설
1. 머리말
2. 조선에서의 『삼강행실도』-효·충·열의 실천-
3. 가나조시(가名草子)로서의 화역본 『삼강행실도』
4. 화역본에 나타난 화자(語り手)의 등장과 언설
5. 화역본에 나타난 료이의 언설과 의도
6. 맺음말

제2장 동아시아 비교문학적인 관점에서 본 『오토기보코』의 특질
제1절 『전등신화』의 수용과 동아시아 괴이소설의 성립
1. 머리말
2. 선행연구
3. 중국문학 속에서의 『전등신화』
4. 『전등신화』의 번안과 『오토기보코』에 나타난 금기의 극복
5. 『전등신화』의 번안과 『금오신화』
6. 『전등신화』의 번안과 『전기만록』
7. 맺음말

제2절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의 「모란등기」의 인식과 「보탄토로」의 성격
1. 머리말
2. 「보탄토로」의 번안양상
3. 『전등신화』에서의 「모란등기」의 성격
4. 조선과 베트남에서의 「모란등기」에 대한 인식
5. 아사이 료이의 「모란등기」의 번안과 특질
6. 맺음말

제3절 「기생 미야기노」에 나타난 현실인식·여성관·사생관·주제
1. 머리말
2. 「기생 미야기노」의 번안 양상
3. 「기생 미야기노」에 나타난 현실인식
4. 기생과 정절
5. 「애경전」과 「기생 미야기노」의 전생(轉生)과 구원
6. 정절의 의미 및 주제의 전환
7. 맺음말

제4절 「유령이 편지를 부모에게 전하다」의 성격과 주제
1. 머리말
2. 「유령이 편지를 부모에게 전하다」의 번안 양상
3. 『금오신화』「이생규장전」-‘사랑의 성취’와 ‘정절’의 대립-
4. 『전기만록』「취소전」과 「여랑전」-정절과 가문의 존속-
5. 「유령이 편지를 부모에게 전하다」의 주제와 성격
6. 맺음말

제5절 「지옥을 보고 다시 살아나다」에 나타난 현실비판의 양상 및 지옥경험의 의미
1. 머리말
2. 선행연구
3. 「지옥을 보고 다시 살아나다」의 번안 양상
4. 인물설정의 일관성
5. 가나조시(가名草子)로서의 서술방법
6. 지옥구경과 현실비판
7. 결말구조로부터 본 지옥경험의 의미
8. 맺음말

종장

·참고문헌
·초출일람베트남의 문학까지 넓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속에 나타난 료이의 문학을 고찰해 나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