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폐기물 에너지화 /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동향과 국내·외 시장전망 / 편찬 :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폐기물 에너지화/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동향과 국내·외 시장전망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폐기물 에너지화 /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동향과 국내·외 시장전망 / 편찬 :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 ·발행사항 서울 : 지식산업정보원, 2013
  • ·형태사항 489 p. :삽화, 도표, 지도 ;30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4111612  93500: \30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1.393  듀이십진분류법-> 333.794  
  • ·주제명 신재생 에너지[新再生--]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편찬: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2013 SE0000012121 321.393-13-10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편 신재생에너지
제Ⅰ장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정책동향  
1. 세계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주요국의 정책동향
1) 세계 에너지 현황 및 전망
(1) 세계에너지 현황 및 전망
가. 세계에너지 현황
나. 세계에너지 수요전망
다. 에너지정책에의 시사점
(2)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
가. 신재생에너지 현황
나. 신재생에너지 전망
2)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동향
(1) 신재생에너지 원별 산업 현황
가. 태양광발전 (PV: photooltaic)
나. 집광형 태양열발전 (CSP : Concentrating Solar Thermal Power)
다. 태양열난방
라. 풍력에너지
마. 전력 발전 및 난방용 바이오에너지
바. 바이오연료
사. 지열에너지
아. 수력에너지
자. 해양에너지
(2)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가. 미국
다. 독일
다. 영국
라. 스페인
마. 덴마크
바. 프랑스
사. 중국
아. 일본
2.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현황, 정책 및 제도
1) 국내 에너지 수급 동향 및 정책방향
(1) 에너지소비 현황
(2) 중기 에너지 수요 전망 (2011~2016)
(3) 에너지정책 방향
가. 에너지부문의 여건변화
나. 최근 에너지정책의 방향
2) 신재생에너지 현황
(1) 개요
가. 개발 및 보급 시작
나. 기술개발 및 보급동향
(2) 신재생에너지 자원 잠재량
가. 전체 잠재량
나. 원별 자원 잠재량
(3) 국가바람지도 및 단지개발현황
3.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전략
1) 개요
2) 신재생에너지 산업 현황
3)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전략
(1) 전략적 R&D 및 사업화 추진
(2) 산업화 촉진 국내 시장창출 강화
(3) 수출산업화 촉진
(4) 기업성장 기반 강화
4.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제도
1) 개요
2)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및 제도
(1)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 목표
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나.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량 목표
다. 기술개발 목표
라. 최종에너지 소비 비중
(2) 세부 추진계획
가. 전략적인 기술개발 추진
나. 보급 및 상용화
다. 제도 및 정책 개선
5.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현황
1) 필요성
2) 추진근거 및 제도
(1) 추진근거
(2) 사업내용
(3) 지원범위
(4) 추진절차
가. 사업추진체계
나. 사업추진절차
3) 추진실적 및 현황
(1) 세부분야별 지원현황
(2) 주요 추진 실적
가. 태양광
나. 풍력
다. 수소
라. 연료전지
마. 석탄이용
바. 수력
사. 해양
아. 바이오
자. 태양열
차. 지열
카. 폐기물
4) 향후 추진방향

제Ⅱ장 정부추진 에너지기술개발계획(안)  
1. 계획 수립 배경 및 추진경과
1) 수립 배경
2) 추진 경과
2. 국내ㆍ외 에너지기술정책 및 환경변화
1) 해외 에너지기술정책 및 산업동향
2) 국내 에너지기술정책 및 산업동향
3. 에너지기술개발 성과 및 평가
1) 추진 성과
(1) 법적ㆍ제도적 기반 구축
(2) 에너지 연구개발 투자 대폭 확대
(3) 수출확대 등 선진국 수준의 성과 달성
2) 평가 및 시사점
4. 비전 및 목표
5. 추진전략 및 과제
1) 에너지기술의 신성장동력화 가속화
(1) 성과창출형 R&D 프로그램 강화
가.『에너지산업선도 기술개발사업』본격 추진
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개발 강화
다. 에너지 융ㆍ복합기술개발 확대
라. 범부처 공동 에너지 R&D 강화
(2) 혁신적 에너지 기초ㆍ원천기술 조기 확보
가. 에너지 분야 기초ㆍ원천 연구의 전략적 확대
나.『에너지 미래기술 프로젝트』추진
다. 자원개발 원천기술 확보 전략 본격 추진
라. 출연연 및 민간의 원천기술개발 역량 강화
(3) 핵심 부품·소재 및 장비산업의 경쟁력 강화
가. 에너지 부품·소재 및 장비기술개발 마스터플랜 수립
나. 그린에너지 핵심 부품·소재 및 장비의 국산화율 제고
다. 해외 부품·소재기술 확보 추진
2) 공생발전 R&D 생태계 조성
(1)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가속화
가. 대ㆍ중소기업간 R&D 역할 분담 및 상생협력 확대
나. 2020년까지 중소ㆍ중견 에너지스타기업 50개 육성
(2) 광역권별 특화된 에너지기술 및 산업 육성
가. 권역별로 특화된 에너지기술 네트워크 구축
나. 지역 특성을 고려한 에너지기술개발 및 산업 육성 추진
다. 지방에너지기업의 기술개발역량 강화
(3) 복지형 에너지 R&D 추진
가. ‘저소득층용 에너지 다소비기기’의 효율향상 R&D 추진
나.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에너지기술개발 추진
다. 복지형 에너지기기 생산 중소기업의 R&D 지원
3) 에너지 R&D 시스템 선진화
(1) 전략적 R&D 기획 기반 강화
가.「에너지기술개발 포트폴리오시스템」구축
나. 에너지기술통계 및 동향분석 체계 조성
(2) 기획의 전략성ㆍ연계성 강화
가. 중장기 에너지 R&D전략 로드맵 수립
나. 전문가 중심의 책임기획 확대
다. 에너지정책과 R&D 기획의 연계성 강화
(3) 성과중심 평가 및 환류 강화
가. 에너지 R&D의 사업성 평가 강화
나. 4대 에너지 분야별 R&D 성과분석 및 환류시스템 마련
다. R&D 성과 확산 및 홍보 강화
4) 에너지기술 산업화 인프라 구축
(1) 산업맞춤형 글로벌 인력 양성
가. 미래 에너지산업을 선도할 핵심 인재 양성 추진
나. 국제인력교류 확대를 통한 글로벌 인재양성 추진
다. 에너지산업 실무인력 양성의 저변 확대
라. 체계적인 에너지 인력양성 지원기반 강화
(2) 전략적 국제협력 강화
가. 양자간 에너지기술협력의 전략적 추진
나. 에너지분야 국제무대에서의 글로벌 리더십 강화
다. 국제협력동향 분석 및 해외거점 구축
(3) 기술실증 및 사업화 촉진
가. 실증사업 확대를 통한 사업화 제고
나. 에너지기술의 표준화·인증 확대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다. 중소기업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확대
6. 기대효과 및 소요예산
1) 기대 효과
2) 소요 예산
7. 중점추진 에너지기술 분야 (4대 분야 39대 기술)

제2편 폐기물에너지
제Ⅰ장 폐기물 현황 및 제도현황  
1. 폐기물과 자원현황
1) 폐기물의 개념 및 분류
2) 폐기물 자원화의 개념 및 유형
3) 폐기물 자원화 산업의 특징
4) 폐기물 발생 현황
5) 신재생에너지와 폐기물 에너지 생산 현황
6) 폐기물 자원화 관련 환경 및 정책
2. 폐기물에너지 부상배경
1) 폐기물 에너지의 개요
2) 폐기물에너지의 의미
3) 폐기물에너지 기술의 종류
(1) 고체연료인 RDF (Refuse Derived Fuel)
(2) 액체연료인 유화
(3) 기체연료인 가스화
(4) 소각폐열 이용
4) 개발 필요성 
(1) RDF 기술 
(2) 유화 기술
(3) 가스화 기술
(4) 소각폐열 이용기술
3. 폐기물에너지 국내ㆍ외 시장동향
1) 외국의 폐기물에너지 시장 동향
(1) 소각폐열 보일러 분야
(2) RDF분야
(3) 열분해 유화/가스화 분야
2) 국내의 폐기물에너지시장 동향
(1) 소각폐열 보일러 분야
(2) RDF분야
(3) 열분해 유화/가스화 분야
4. 폐기물에너지 기술개발 현황
1) 외국의 기술개발 현황
(1) 소각폐열 보일러 분야
(2) RDF분야
(3) 유화/가스화 분야
2) 국내의 기술개발 현황
(1) 소각폐열 보일러 분야
(2) RDF분야
(3) 열분해 유화/가스화 분야
5. 폐기물에너지 보급현황
1) 외국의 보급현황
(1) 소각폐열 보일러 분야
(2) RDF분야
(3) 열분해 유화/가스화 분야
2) 국내의 보급현황
(1) 소각폐열보일러 분야
(2) RDF 분야
(3) 열분해 유화/가스화 분야
6. 폐기물 에너지화 활성화 방안
1) 대내외 여건 변화와 폐기물 에너지화의 추진 필요성
2) 폐기물 에너지화사업의 경제성 분석
(1) 주요 에너지화사업의 경제성 분석
가. 경제성 분석 기준 및 방법
나. 가연성폐기물의 고형연료화 및 열병합발전
다.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
(2) 해외 분석 사례
(3) 경제성 분석결과의 시사점
3) 폐자원 에너지화 추진 전략 및 목표(안)
(1) 추진 전략
(2) 추진 목표 (2013년)
(3) 에너지화 유형별 실행목표 (2013년)
가. 가연성폐기물 에너지화 
나. 유기성폐기물 에너지화 
다. 소각여열 회수 
라. 매립가스 에너지화 
(4) 시설확충 방안
가. 기본 방향
나. 권역별 환경에너지타운 조성 
다. 시설설치계획 검토 
4) 추진체계의 정립 및 기반조성 방안
(1) 정책ㆍ제도적 추진기반 조성
(2) 폐기물에너지의 수급기반 확충 및 시장 활성화
(3) 기술개발의 촉진 및 신성장동력화
가. 핵심 요소기술의 조기 확보 및 시설의 국산화 촉진
나. 폐기물 분야의 온실가스감축시장 활성화 및 해외시장 진출기반 조성
(4) 경제주체의 역할분담 명확화
가. 정책 추진체계의 정립
나. 경제주체 간 역할분담 명확화 및 교육훈련ㆍ정보교류 확대
(5) 에너지화 추진에 따른 기대효과
가. 경제ㆍ환경적 효과
나. 일자리 창출 효과
7. 향후 추진 계획
제Ⅱ장 폐기물관련 에너지화 회수기술  
1. 이용기술의 분류
1) 고체연료화 기술
2) 액체연료화 기술
3) 기체연료화 기술
2. 고체연료
1) 직접연소 열회수 기술
(1) 기술개요
(2) 연소(소각)방법
(3) 폐자원의 에너지 회수기술
(4)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기술
2) 혼합연소 기술
(1) 기술개요
(2) 연료공급별 연소방법
가. 직접 혼합연소
나. 간접 혼합연소
다. 병렬 혼합연소
(3) 연소로의 연소방식
가. 상압유동층 연소기
나. 압력유동층 연소기
다. 미분 연소기
라. 화격자 연소기
3) 고형연료화
(1) 폐기물 고형연료화 기술
가. 기술개요
나. 제조공정
(2) 하수슬러지의 고형연료화
(3)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고형연료화
가. 목질계 바이오매스 종류
나. 목재 펠렛
다. 목재칩
라. 목재 브리켓
3. 액체연료
1) 직접액화 기술
(1) 기술개요
(2) 직접액화의 특성 
(3) 반응메커니즘
(4) 바이오오일의 특성
2)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1) 기술개요
(2) 생산과정
(3) 생산공정
3) 에탄올 발효기술
(1) 기술개요
(2) 발효과정
가. 당분의 에탄올 발효
나. 전분의 에탄올 발효
다. 목질계 바이오에탄올
4) 아세톤-부탄올 발효기술
(1) 기술개요
(2) 발효반응
(3) 에너지효율과 생성물
4. 기체연료
1) 가스화 기술
(1) 기술개요
(2) 가스화반응
(3) 가스화기의 종류
가. 상향식 가스화기
나. 하향식 가스화기
다. 유동층 가스화기
(4) 생성가스의 특성
(5) 혼합가스화
2) 열분해 기술
(1) 개요 및 특성
(2) 열분해 반응
(3) 열분해의 생성물
3) 탄화 기술
(1) 기술개요 및 특성
(2) 탄화반응
(3) 탄화 생성물 용도
(4) 탄화로의 분류
4) 수열 가스화 기술
(1) 기술개요
(2) 초임계수
(3) 수열가스화
5) 슬러리 연료화 기술
(1) 기술개요
(2) 슬러리 연료의 특성
(3) 대상원료
6) 혐기성 소화기술
(1) 기술개요
(2) 혐기성 소화에 관여하는 미생물
(3) 반응조건
가. 투입유기물량
나. 영양조건
다. 균 농도
라. 반응온도의 영향
마. pH의 영향
(4) 혐기성소화조
7) 수소 발효 기술
(1) 기술개요
(2)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수소생산 (혐기성발효)
(3) 혐기성발효와 광합성발효의 결합
5. 에너지화 기술의 종합비교 분석
1) 습식계 바이오매스 활용기술
2) 건식계 바이오매스 활용기술
(1) 바이오매스 연소
(2) 바이오매스 고형연료화
(3) 바이오매스 열분해
(4) 바이오매스 탄화
3) 기타 바이오매스 활용기술
(1) 바이오 에탄올 (에탄올 발효)
(2) 바이오 디젤 (에스테르화)
(3) 바이오 수소 발효
6. 폐기물별 재활용 기술 현황
1) 유기계 폐기물 자원화 기술
(1) 폐플라스틱
가. 용융재생법
나. 물질 재활용과 화학물질 회수 (Chemical recycling)
다. 연료 물질 회수기술
라. 열 회수
(2) 폐타이어
가. 열분해
나. 건류소각
다. 열병합발전
라. 고무분말제조
2) 무기계 폐기물 자원화 기술
(1) 금속회수 기술
가. 전자스크랩
나. 일반적인 전자스크랩 recycling 공정
다. 전자스크랩의 주요 제련 공정
(2) 폐전지
3) 시사점

제Ⅲ장 폐기물 에너지 전략분야 현황분석  
1. 개요
1) 정의 및 범위
2) 주요 제품 (또는 공정·서비스)
2. 산업현황 분석
1) 환경분석
(1) 수요측면 (Needs)
가. 촉진 요인
나. 저해 요인
(2) 환경측면 (Environment)
가. 촉진 요인
나. 저해 요인
(3) 기술측면 (Technology)
가. 촉진 요인
나. 저해 요인
2)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구조
3. 시장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2) 무역현황
3) 업체 동향
4) 기업 니즈조사
4.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3) 대표 기술군 선별
2)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5. 시사점 및 제언

제Ⅳ장 폐기물 에너지 전략제품 현황분석  
1. 폐기물 고형연료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2) 기술(특허)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가. 세계동향
나.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가.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나.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3) 기술지수분석
가. 기술성장성 분석
나. 기술수준 분석
다. 기술장벽 분석
3) 산업 및 시장 분석
(1) 니즈 분석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가. 세계업체 및 제품 현황
나. 국내업체 및 제품 현황
4) 기업 니즈조사
5) 요소기술 후보군
6) 핵심기술 선정
7) 로드맵 기획
(1) 연구개발 목표 설정
(2) 로드맵 작성
2. 폐기물 합성가스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2) 기술(특허)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가. 세계동향
나.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가.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나.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3) 기술지수분석
가. 기술성장성 분석
나. 기술수준 분석
다. 기술장벽 분석
3) 산업 및 시장 분석
(1) 니즈 분석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가. 세계업체 및 제품 현황
나. 국내업체 및 제품 현황
4) 기업 니즈조사
5) 요소기술 후보군
6) 핵심기술 선정
7) 로드맵 기획
(1) 연구개발 목표 설정
(2) 로드맵 작성
3. 소각열 회수/이용 장비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2) 기술(특허)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가. 세계동향
나.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가.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나.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3) 기술지수분석
가. 기술성장성 분석
나. 기술수준 분석
다. 기술장벽 분석
3) 산업 및 시장 분석
(1) 니즈 분석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전망분석
(4) 공급망 분석
가. 세계업체 및 제품 현황
나. 국내업체 및 제품 현황
4) 기업 니즈조사
5) 요소기술 후보군
6) 핵심기술 선정
7) 로드맵 기획
(1) 연구개발 목표 설정
(2) 로드맵 작성

제Ⅴ장 폐자원 에너지대책 실행계획  
1. 추진 배경 및 경위
1) 추진배경
2) 추진경위
2. 추진 목표 및 전략
1) 추진목표
2) 추진전략
3. 사업별 실행계획
1) 폐자원 에너지화
(1) 폐자원 에너지화시설 확충계획의 개요
가. 추진의 필요성
나. 사업내용
다. 추진체계
라. 소요예산
마. 기대효과
(2) 환경·에너지타운 조성 등 시설확충 세부 추진방안
가. 세부 추진방안 개요
나. 재원조달 방안
다. 추진방법별 기대효과
(3) 산업계 폐자원 에너지화 방안 마련 (촉진 방안)
가. 추진의 필요성
나. 추진방향
다. 추진계획
라. 추진일정
(4)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가.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개발
나. 폐자원 에너지화 전문인력 양성
2) 환경·에너지타운 세부 현황
(1) 수도권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시범단지 조성
가. 사업개요
나. 4개 테마 타운별 세부 추진계획
(2) 전국 8대 권역 13개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조성
가. 사업개요
나. 전국 8대 권역 13개 타운별 세부 추진계획
(3) 지역형 개별시설 확충
가. 사업개요
나. 사업 부문별 세부추진계획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