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반도의 도전과 통일비전 = Challenge and reunification 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 통일 한반도, 동북아 중심에 서다! / 정경영 지음
한반도의 도전과 통일비전 = Challenge and reunification 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 통일 한반도, 동북아 중심에 서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반도의 도전과 통일비전 = Challenge and reunification 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 통일 한반도, 동북아 중심에 서다! / 정경영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지식과감성#, 2015
  • ·형태사항 413 p. :삽화, 도표, 지도, 초상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86-407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5283561  0334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9.11  듀이십진분류법-> 327.519  
  • ·주제명 국제 협력[國際協力]남북 통일[南北統一]국가 안보[國家安保]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정경영 지음 2015 SE0000169433 349.11-15-10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서장 : 새로운 안보환경에 대한 전략적 인식
제1부 북한의 도전과 한국의 대응
제1장 북한 위협과 한국의 군사전략
1. 북한의 도발 양상
2. 북한의 대남 비난과 무력시위 의도
3. 국지도발과 전면전 시나리오
4. 한국의 군사전략 방향
제2장 북핵 위협에 대한 포괄적 대응전략
1. 이론적 고찰과 위기관리 사례
2. 북핵 시나리오
3. 조건에 의한 전작권 전환과 군사력 운용
4. 북핵 위협 군사적 대응전략
5. 외교·경제적 대응전략
6. 소결론 및 정책제안
제3장 THAAD 배치 논란과 국가안보
1.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평가
2. 사드 및 탐지레이다 능력
3. 한미연합군 미사일 방어실태
4. 사드를 둘러싼 동향
5. 사드에 관한 국내여론과 군의 대응방향
6. 결론 및 정책 제안
제2부 한반도의 도전과 대응
제1장 한반도의 새로운 전략환경과 한국의 대응전략
1. 동북아 전략환경 변화
2. 주변국 안보전략과 군비증강
3. 한국 안보에 대한 시사점
4. 한국 국방안보정책 발전방향
5. 소결론 및 정책제안
제2장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평화협력 구상의 선순환 전략
1. 신뢰정치의 비전
2. 신뢰프로세스와 서울프로세스의 상호 역동성
3. 국내정치와 안보·경제의 상호 의존성
4. 박근혜 정부의 통치 평가
5. 박근혜 정부의 외교안보과제
6. 소결론 및 정책제안
제3장 북러 밀착관계와 한반도 함의
1. 러시아의 개입전략과 지역 내 함의: 박종수 중원대 교수
2. 전문가들의 정책진단
3. 소결론과 정책제안
제3부 한반도를 넘어 주변국과 만남
제1장 글로벌 지식정보와 소통의 국제정치학 학회
1. 5,000여 명의 학자들이 참여한 매머드 국제학술회의
2. 지식정보력과 소통의 능력이 국제 영향력 행사의 관건
3. 인류문명의 비전과 소망을 제시하는 석학(碩學)
4. 지역재난구조를 위한 신속대응군 창설
제2장 한중관계 진전·북일관계 변화와 한반도 함의
1. 한중관계 진전 및 북일관계 변화 이슈별 대담
2. 주변국 한반도 전문가들과의 대담
미국 Balbina Hwang Georgetown대 교수
중국 Cheng Xioaho 런민대 교수
일본 Izumi Kazushige 도요다 고문
한국 정경영 동아시아국제전략연구소장
3. 국가별 정책 대안: 홍정표 Miyajaki국제대 교수
제3장 동북아공동체를 지향하는 한·중·일 안보협력
1. 지역협력의 구심력인 한·중·일 3국협력사무국
2. 지역안보협력기구의 역할과 함의
3. 한·중·일 안보전문가 발제
4. 정책제안
제4장 지역과 가치의 융합의 상징 두만강포럼
1. 동북아정상회담의 플랫폼이 될 두만강포럼
2. 북방경제의 허브이자 평화의 메카가 될 두만강
3. 문명발전, 지역네트워크 및 국제협력의 비전
4. 동북아 문화적 정체성
5. 분과별 발표 및 토의
제5장 민족의 웅혼이 떨쳐진 북방지역
1. 6·25전쟁 학도병이 세운 연변과학기술대학
2. 동아시아 격랑의 도전과 평화안보의 길
3. 항일민족 독립운동의 혼백이 어려 있는 간도
4. 요동치는 북·중·러 국경지대
5. 통일의 원동력이 될 백두산 천지의 웅혼
6. 하나가 되는 남북과 동북아 공동체 건설
제4부 한반도 통일의 비전
제1장 기존 통일정책 평가와 새로운 통일방향 모색
1. 이론적 고찰
2. 진보·보수정부의 대북·통일정책 공과
3. 시대사적 트렌드와 한반도 통일에의 함의
4. 새로운 대북·통일정책 방향
5. 소결론 및 정책제언
제2장 통일을 향한 국제협력 방향
1. 통일한국의 비전
2. 서독 역대정부의 통일외교와 시사점
3. 통일의 걸림돌
4. 통일외교안보전략
5. 소결론 및 정책제안
제3장 통일을 향한 대미·대중 외교안보전략
1. 이론적 고찰
2. 역사적 고찰
3. 외교안보전략의 추진기조와 대미·대중외교안보정책의 상관관계
4. 통일을 향한 이슈별 對美 · 對中 조화전략
5. 소결론 및 정책제안
결론 및 정책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