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심리학 / Ronald B. Adler,Russel F. Proctor Ⅱ 공저 ;정태연 역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심리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심리학 / Ronald B. Adler,Russel F. Proctor Ⅱ 공저 ;정태연 역
  •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5
  • ·형태사항 559 p. :삽화, 도표, 초상 ;26 cm
  • ·주기사항 원표제:Looking out looking in(14th ed.)
    참고문헌(p. 518-553)과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5409542  93180 :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89.2  듀이십진분류법-> 158.2  
  • ·주제명 심리학[心理學]인간 관계[人間關係]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Ronald B. Adler,Russel F. Proctor Ⅱ 공저 ;정태연 역 2015 SE0000180296 189.2-15-19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역자서문 / 3
머리말 / 5
익숙한 내용들 / 5
이 판의 새로운 점들 / 6
감사의 글 / 10
저자소개 / 11
Chapter 1 대인 간 의사소통 개관_ 21
의사소통을 하는 이유 / 25
신체적 욕구 / 26
정체성 욕구 / 27
사회적 욕구 / 28
현실적 목표 / 29
의사소통의 과정 / 31
선형적 관점 / 32
교류적 관점 / 33
대인 간 의사소통과 비인간적 의사소통 / 38
의사소통의 원리와 오해 / 42
의사소통 원리 / 42
의사소통에 대한 오해 / 45
소셜 미디어와 대인 간 의사소통 / 47
소셜 미디어의 혜택 / 48
소셜 미디어에 대한 도전 / 50
효과적인 의사소통자의 특성 / 53
의사소통 역량의 정의 / 53
유능한 의사소통자의 특징 / 55
문화 간 의사소통 역량 / 61
소셜 미디어에서의 역량 / 66
Chapter 2 의사소통과 정체성: 자기의 창조와 제시_ 71
의사소통과 자기 / 74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 75
자기의 생물학적 근원 및 사회적 근원 / 77
자아개념의 특징 / 82
문화, 성별, 정체성 / 88
자기충족적 예언과 의사소통 / 91
자기 제시하기: 정체성 관리로서의 의사소통 / 94
공적 자기와 사적 자기 / 94
정체성 관리의 특징 / 95
왜 정체성을 관리하는가? / 99
면대면과 온라인에서 정체성 관리하기 / 100
정체성 관리와 정직성 / 104
관계에서의 자기노출 / 105
자기노출의 모형 / 106
자기노출의 혜택과 위험 / 110
자기노출의 지침 / 113
자기노출의 대안들 / 116
침묵 / 117
거짓말 / 117
얼버무리기 / 119
암시 / 120
회피의 윤리학 / 121
Chapter 3 지각: 보는 것이 실재하는 것이다_ 125
지각 과정 / 129
선택 / 129
조직화 / 130
해석 / 137
협상 / 139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41
정보에 대한 접근 / 141
생리적 영향 / 142
문화적 차이 / 145
사회적 역할 / 148
지각의 공통점 / 152
관대한 자기지각 / 152
첫인상에 대한 집착 / 153
가정된 유사성 / 154
기대의 영향 / 155
분명한 요인의 영향 / 157
지각 점검 / 157
지각 점검의 요소 / 158
지각 점검의 고려사항 / 159
감정이입, 인지적 복잡성, 그리고 의사소통 / 161
감정이입 / 161
인지적 복잡성 / 164
Chapter 4 정서: 느낌, 사고, 그리고 의사소통_ 171
정서란 무엇인가? / 175
생리적 요소 / 175
비언어적 반응 / 176
인지적 해석 / 177
언어적 표현 / 178
정서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80
성격 / 181
문화 / 181
성별 / 183
사회적 관습 / 184
자기노출에 대한 두려움 / 186
정서적 전염 / 186
정서 표현을 위한 지침 / 188
자신의 느낌 인지하기 / 190
느낌, 말하기, 그리고 행동 사이의 차이 인지하기 / 190
정서적 어휘 확장하기 / 191
복합적인 느낌 공유하기 / 194
느낌을 표현할 시간과 장소 고려하기 / 195
자신의 느낌에 대한 책임 수용하기 / 196
의사소통 통로에 유념하기 / 197
힘든 정서 관리하기 / 198
촉진적 정서와 소모적 정서 / 199
소모적 정서의 원천 / 200
비합리적 사고와 소모적 정서 / 204
소모적 정서 최소화하기 / 212
Chapter 5 언어: 장벽과 다리_ 219
상징으로서의 언어 / 222
이해와 오해 / 224
단어 이해하기: 의미론적 법칙 / 224
구조 이해하기: 구문론적 규칙 / 229
맥락 이해하기: 화용론적 규칙 / 230
언어의 영향력 / 232
명명하기와 정체성 / 233
소속 / 234
권력 / 236
혼란스런 언어 / 239
책임감의 언어 / 243
성별과 언어 / 248
내용 / 248
의사소통의 이유 / 249
대화 방식 / 250
성별 외의 변인 / 252
문화와 언어 / 254
언어적 소통 방식 / 255
언어와 세계관 / 259
Chapter 6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 이상의 메시지_ 263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특징 / 267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은 필수적이다 / 267
모든 행동은 의사소통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 268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기본적으로 관계에 기초한다 / 269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 / 271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속임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 273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모호하다 / 275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77
성별 / 277
문화 / 278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 281
몸의 움직임 / 281
목소리 / 287
접촉 / 291
외모 / 293
물리적 공간 / 295
물리적 환경 / 299
시간 / 299
Chapter 7 듣기: 귀에 들어오는 것을 넘어_ 303
듣기에 대한 정의 / 307
생리적 듣기(혹은 청각) 대 듣기 / 307
자동적 듣기 / 308
숙고적 듣기 / 309
듣기 과정의 여러 요소 / 310
생리적 듣기(혹은 청각) / 311
주의하기 / 311
이해하기 / 312
반응하기 / 312
기억하기 / 314
듣기의 어려움 / 314
비효율적 듣기 유형 / 315
더 잘 듣지 못하는 이유 / 317
더 잘 듣기의 어려움에 대처하기 / 320
듣기 반응의 유형 / 322
촉진하기 / 323
질문하기 / 324
의역하기 / 326
지지하기 / 331
분석하기 / 334
조언하기 / 335
판단하기 / 337
최상의 듣기 반응 선택하기 / 339
Chapter 8 의사소통과 관계역동_ 345
관계를 형성하는 이유 / 348
외모 / 349
유사성 / 350
보완성 / 351
상호적 매력 / 352
역량 / 353
노출 / 353
근접성 / 354
보상 / 355
관계 역동에 대한 모형 / 356
발달적 관점 / 356
변증법적 관점 / 367
관계의 특징 / 374
관계는 꾸준히 변한다 / 374
관계는 문화의 영향을 받는다 / 375
관계에서의 의사소통 / 376
내용적 메시지와 관계적 메시지 / 376
관계적 메시지의 유형 / 378
메타소통 / 381
Chapter 9 친밀한 관계에서의 대인 간 의사소통_ 385
가까운 관계에서의 친밀감 388
친밀감의 차원 / 388
남성적/여성적 친밀감 유형 / 390
친밀감에 대한 문화적 영향 / 392
매개된 의사소통에서의 친밀감 / 394
친밀감의 한계 / 396
가족 내 의사소통 / 397
가족 의사소통의 특징 / 398
체계로서의 가족 / 401
가족 내 의사소통 유형 / 402
친구관계에서의 의사소통 / 406
친구관계의 유형 / 407
성, 성별 그리고 친구관계 / 409
친구관계와 소셜 미디어 / 412
연인관계에서의 의사소통 / 414
낭만적 사랑의 전환점 / 414
커플의 갈등 유형 / 415
사랑의 언어 / 417
친밀한 관계의 개선 / 419
몰입 / 419
유지와 지지 / 421
손상된 관계 바로잡기 / 424
관계회복을 위한 전략 / 426
Chapter 10 의사소통 분위기 향상시키기_ 431
의사소통 분위기와 존중 지향 메시지 / 434
메시지의 존중 수준 / 435
의사소통 분위기의 발달 / 442
방어: 원인과 치료 / 445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 / 445
타인의 방어 예방하기 / 447
체면 세우기 / 455
자기주장적 메시지 / 455
비판에 대한 비방어적 반응 / 461
Chapter 11 대인 간 갈등관리_ 475
갈등의 본질 479
갈등의 정의 / 479
갈등의 당위성 / 481
갈등의 유익성 / 482
갈등 스타일 / 483
회피하기(패-패) / 484
수용하기(패-승) / 485
경쟁하기(승-패) / 488
타협하기(부분적 패-패) / 490
협력하기(승-승) / 491
사용할 스타일 / 493
관계 체계에서의 갈등 / 494
상보적, 대칭적, 병렬적 유형 / 495
유해한 갈등관리 패턴: 네 명의 기수 / 497
갈등 의례 499
갈등 유형에서의 변인 / 501
성별 / 501
문화 / 503
건설적 갈등 기술 / 505
협력적 문제해결 / 507
건설적 갈등: 질문과 대답 / 512
참고문헌 / 517
찾아보기 / 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