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쌀의 혁명 / 이철호,이숙종,김미령 공저
쌀의 혁명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쌀의 혁명 / 이철호,이숙종,김미령 공저
  • ·발행사항 서울 : 식안연(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2015
  • ·형태사항 204 p. :삽화, 도표 ;21 cm
  • ·총서사항 (식량안보시리즈 ;제4권)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6396278  94300 : \1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24.2  듀이십진분류법-> 633.18  
  • ·주제명 쌀[米]식량 안보[食糧安保]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철호,이숙종,김미령 공저 2015 SE0000196016 524.2-15-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쌀의 이용 역사
1.1. 쌀의 재배 기원
1.2. 조선미(朝鮮米)의 역사
1.3. 한국 쌀의 품종개량과 쌀 자급 달성
1.4. 세계 쌀 생산 현황과 이용 실태
1.4.1. 세계 쌀 생산과 교역
1.4.2. 한ㆍ중ㆍ일 쌀 생산과 소비 비교
제2장 쌀의 영양가와 생리기능성
2.1. 쌀의 영양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
2.1.1. 쌀의 아미노산과 단백질
2.1.2. 쌀과 혈당지수
2.2. 쌀과 비만 및 대사성 질환
2.3. 현미의 건강 기능성
제3장 쌀의 가치사슬과 가공산업
3.1. 쌀의 가치사슬(value chain)
3.2. 쌀 가공산업의 규모와 종류
3.3. 쌀의 가치 향상을 위한 품종개발
3.3.1. 가공적성을 향상시킨 쌀 품종개발
3.3.2. 건강기능성 쌀의 개발
제4장 쌀의 구조와 가공적성
4.1. 현미와 백미
4.2. 밥의 조리와 쌀의 품질
4.2.1. 밥맛을 결정하는 요인들
4.2.2. 쌀밥의 식미에 영향을 주는 쌀의 품질요소
4.2.3. 쌀의 식미 평가방법
4.2.4. 맛있는 밥을 위한 쌀 품종 개량
4.2.5. 쌀 등급표시제도
4.3. 국수 제조용 쌀의 품질특성
4.3.1. 국수의 종류 및 가공방법
4.3.2. 쌀국수의 품질특성
4.3.3. 국내 쌀국수의 종류와 관능특성
4.4. 떡류 제조용 쌀의 품질특성
4.4.1. 떡의 제조공정
4.4.2. 떡의 품질특성
4.5. 과자류 제조용 쌀의 품질특성
4.5.1. 전통 쌀과자-한과
4.5.2. 쌀과자 제조공정
4.5.3. 쌀과자의 관능적 품질특성
4.6. 쌀가루의 품질특성
4.6.1. 쌀가루의 특성
4.6.2. 쌀가루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5장 유럽의 밀 가공 연구
5.1. 밀가루 품질특성 측정장치의 개발
5.1.1. 패리노그래프(Farinograph)
5.1.2. 익스텐시그래프(Extensigraph)
5.1.3. 아밀로그래프(Amylograph)
5.2. 빵의 품질특성과 품질 최적화 연구
제6장 일본의 쌀 식미연구
6.1. 일본의 쌀 관련 정책 현황
6.2. 일본의 쌀 식미 평가
6.2.1. 쌀의 품질은 어떻게 평가 되는가?
6.2.2. 쌀의 식미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6.3. 일본의 쌀 식미 평가 방법
6.3.1. 식미 측정기의 개요 및 종류
6.3.2. 식미측정기의 장단점
제7장 쌀의 변신
7.1. 즉석밥의 산업화
7.2. 쌀국수의 인스턴트화
7.3. 떡과 쌀 과자의 대중화
7.4. 쌀 베이스 음료
7.5. 쌀 가공품 TOP10 제품
제8장 쌀의 식량안보적 기능
8.1. 세계 식량위기 올 것인가?
8.1.1. 기후변화에 의한 식량생산의 감소
8.1.2. 경제성장에 의한 동물성식품 소비증가
8.1.3. 곡물을 이용한 바이오연료의 생산
8.1.4. 신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
8.2. 식량안보와 쌀의 중요성
8.2.1. 쌀 소비감소는 식량자급률 감소와 직결된다
8.2.2. 쌀 소비감소는 농가소득 감소로 이어진다
8.2.3.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한 정책의지
8.2.4. 쌀시장 개방 이후의 쌀 산업 보호정책이 관건
제9장 우리 쌀의 새로운 비전
9.1. 쌀 가공식품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9.1.1. 쌀 가공 원료의 안정적 공급
9.1.2. 잉여쌀의 처분 목적이 아닌 쌀 수요창출을 위한 가공산업 육성
9.1.3. 계약재배에 의한 쌀 가공 원료 공급 계획
9.1.4. 쌀의 혁명을 리드할 창의적 연구개발 지원
9.1.5. 소비자 교육 및 홍보
9.2. 우리쌀의 미래 비전
9.2.1. 통일미 비축이 가져올 밝은 미래
9.2.2. 저소득층에 대한 쌀 무상급여로 통일 복지국가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