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중국 철학은 어떻게 등장할 것인가? : '하나의 세계'에서 꿈꾸는 시적 거주 / 리쩌허우 지음 ;류쉬위안 외 엮음 ;이유진 옮김
중국 철학은 어떻게 등장할 것인가? : '하나의 세계'에서 꿈꾸는 시적 거주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중국 철학은 어떻게 등장할 것인가? : '하나의 세계'에서 꿈꾸는 시적 거주 / 리쩌허우 지음 ;류쉬위안 외 엮음 ;이유진 옮김
  • ·발행사항 파주 : 글항아리, 2015
  • ·형태사항 343 p. ;22 cm
  • ·주기사항 원표제:中国哲学如何登场? :李泽厚2011年谈话录
    원저자명: 李泽厚, 刘绪源
    권말부록: '양덕론'을 출발점으로 보편가치와 중국 모델을 이야기하다 등
    색인수록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7352325  03150 :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52.7  듀이십진분류법-> 181.11  
  • ·주제명 중국 철학[中國哲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리쩌허우 지음 ;류쉬위안 외 엮음 ;이유진 옮김 2015 SE0000180528 152.7-15-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이 책은 왜 나왔는가
1장 / 철학을 ‘언어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을 것인가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와 “하늘의 운행은 강건하다”
“칸트로 돌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학이제일”
여태껏 방법론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
중국 학문은 자연과학의 기초가 부족하다
철학 명저는 많아도 얇고 읽을 만하다
왕하오와 철학의 두 가지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하다
현장은 망신당할까봐 감히 『노자』를 번역하지 않았다
점혈법
2장 / 왜 ‘도’가 제1범주인가
인류의 생존과 지속이 출발점이자 기초다
고릴라-침팬지-인간
이성이 주체와 객체를 분리했다
피아제의 동작과 듀이의 도구
미는 ‘도’의 자유로운 운용이다
현대 심리학은 여전히 갓난아이 단계에 있다
3장 / 능히 포용하고 학습하고 흡수하고 소화할 수 있다
논리적 가능성과 현실적 가능성
문자가 언어를 제어하게 된 원인
‘지혜’는 배울 수 있는 것이다
개체를 홀시하는 것은 일종의 전쟁 사유다
차이이蔡儀는 핵심을 움켜쥘 수 있었다
필요한 여사
4장 / 이성의 신비와 종교 경험
종교와 감성의 신비 경험
개체 창조성의 원천
우주-자연은 내가 유일하게 신봉하는 신이다
발견은 모두 발명이다
5장 / 무사 전통의 정감 - 이성 구조
전통을 연구하는 데 관념과 텍스트를 출발점으로 삼지 않았다
무술 의례에 담긴 ‘정 본체’의 단서
‘예’의 신성성과 신비성
‘천도’는 ‘인도’ 가운데 있다
6장 / ‘본체’ ‘본체론’ ‘철학’ 등의 용어를 사용해야 하는가
펑유란은 왜 ‘서체중용’에 찬성했나
심리형식과 ‘추상계승법’
‘철학이 중국에 있다’와 ‘중국의 철학’
후성은 결국 학자였다
중국은 어떤 철학을 받아들였나
7장 / ‘정 본체’의 외적 확장과 내적 확장
‘정 본체’의 외적 확장은 정치철학이다
‘양덕론’은 정치철학의 기초다
계몽은 제도로 실현되어야만 비로소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은 문명의 충돌을 중재할 수 있을 것이다
세상 모든 것이 허무할지라도 살아가야 한다
시간과 ‘시간성’
“한가함이라는 근심이 가장 괴롭다”와 “어느 때가 되어야 아득바득함을
망각할 수 있으려나”
인류가 없다면 선악과 미추가 어떻게 있겠는가
8장 / 나의 일생은 단순하고 평범했다
네 가지의 ‘조용함’
나와 후펑 사건
얼굴과 목소리를 기억하지 못한다
평생의 유감
미국 학생
집에서 늘 과학잡지를 구독한다
인간이 배양한 정감 심리인 ‘정 본체’
부록
1. ‘양덕론’을 출발점으로 보편가치와 중국 모델을 이야기하다
2. 퉁스쥔과의 대화
3. 리쩌허우 인터뷰 목록(2006~2011)
4. 다시 리쩌허우를 말하다
- ‘철학 연구’가 아닌 ‘철학 창작’ _류쉬위안
- ‘시행착오’를 통해 활로를 찾다 _샤오궁친
- 중국은 어떻게 가능한가? _류짜이푸
재판 후기
주註
옮긴이의 말 ‘하나의 세계’에서의 ‘시적인 거주’는 어떻게 가능한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