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모든 세대가 함께하는) 고령화사회 : 선진국의 경험과 한국의 정책 방향 / 최성재 편저
(모든 세대가 함께하는) 고령화사회 : 선진국의 경험과 한국의 정책 방향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모든 세대가 함께하는) 고령화사회 : 선진국의 경험과 한국의 정책 방향 / 최성재 편저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 ·형태사항 xv, 495 p. :도표 ;25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73-482)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2112873  9333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8.6  듀이십진분류법-> 362.6  
  • ·주제명 고령화 사회[高齡化社會]사회 복지 정책[社會福祉政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최성재 편저 2012 SE0000201330 338.6-15-16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펴내면서
제1편 고령화와 고령화사회 이해
제1장 고령화사회의 의미와 영향
I. 개인 고령화
II. 인구 고령화
1. 인구 고령화의 의미
2. 노인인구 비율에 따른 사회 분류
3. 전 세계 및 OECD 국가의 고령화 현상
4.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현상
III. 고령화의 영향
1. 사회 체계 차원의 고령화 영향
2. 베이비부머의 영향
제2장 노화와 고령화사회에 대한 부정적 시각
I. 노화의 의미
1. 생물학적 노화
2. 심리적 노화
3. 사회적 노화
4. 시간의 경과(나이 들어감)
II. 노화와 능력(생산성)
1. 노화(나이 들어감)와 능력에 관한 이론
2. 경험적 연구 결과 / 30
III. 노화와 노인에 대한 부정적 편견  33
1. 부정적 편견에 관한 이론
2. 경험적 연구 결과
IV. 고령화사회에 대한 부정적 시각
V. 노화와 고령화사회에 대한 긍정적 시각
제3장 고령화사회의 노인 인권
I. 인권에 대한 이해
1. 시민권
2. UN의 인권에 관한 국제규약
3. 한국의 UN 권리규약 가입과 인권기구
II. 노인인권의 내용
1. UN의 노인인권 관련조항 및 활동
2. 노인을 위한 UN 원칙
3. 노인인권 보호에 연관된 한국의 법적 정비
III. 노인인권 관점: 한 인간의 서사적 삶에 대한 공감
제2편 선진국과 국제기구의 고령화사회 대응책
제4장 OECD와 UN의 고령화 대응 정책 대안
I. OECD의 대응책
1. OECD 국가의 고령화로 인한 근본 문제
2. 고령화 대응 개혁의 방향과 원칙
3. 고령화 대응의 구체적 정책 방향
4. OECD 국가의 소득보장과 장기요양보장 정책의 개혁 동향
II. UN의 대응책
제5장 선진국의 노후 소득보장 정책
I. 노후 소득보장 정책의 방법과 성립
1. 노후 소득보장 방법
2. 노후 소득보장 체계의 성립
II. 노후 소득보장 정책의 변화와 동향
1. 노후 소득보장 체계의 변화
2. OECD 국가의 노후 소득보장 프로그램
III. 노후 소득보장 정책의 평가와 과제
제6장 선진국의 노후 의료보장 정책
I. 노후 의료보장의 필요성과 체계
II. 선진국의 노후 의료보장 프로그램
1. 영국
2. 일본
3. 독일
4. 미국
III. 노후 의료보장 프로그램의 평가와 과제
제7장 선진국의 노후 주거보장 정책
I. 고령화 관점에 입각한 주거보장 프로그램의 변천
II. 노후 주거보장 프로그램
1. 영국의 노인주거보장 프로그램
2. 일본의 노인주거보장 프로그램
3. 독일의 노인주거보장 프로그램
4. 미국의 노인주거보장 프로그램
III. 노후 주거보장 프로그램의 평가와 과제
제8장 선진국의 고령자 고용 정책
I. OECD 국가의 공식 퇴직연령과 실제 퇴직연령
II. 선진국 고령자 고용정책
1. 고령자 취업지원 및 고용보호
2. 직업훈련
3. 연령차별금지법과 홍보활동
4. 연금제도 개혁과 고령자 고용
5. OECD 국가의 고령자 고용 정책
III. 고령자 고용정책의 평가와 과제
제9장 선진국의 고령자 교육 정책
I. 고령자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1. 고령자 교육의 개념
2. 고령자 교육의 필요성
II. 선진국의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
1. 고령자 교육 정책
2. 주요 선진국의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
III. 선진국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와 과제
제3편 한국의 고령화사회 대응책
제10장 고령화사회 대응을 위한 정부의 정책 대안
I. 정부의 고령화사회 대책 수립 경위
II.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 2010)
1. 계획의 기본적 틀
2. 분야별 정책과제
3. 재정계획
4.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평가
III.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 2015)
1. 계획의 기본적 틀
2. 분야별 정책과제
3. 재정계획
4. 제2차 계획의 평가
제11장 지속가능한 고령화사회를 위한 정책 패러다임
I. 고령화사회에 대한 부정적 시각의 논리
II. 인구 고령화에 대한 선진국 대응의 평가
III. 우리나라 고령화사회 대응의 평가 및 과제
IV. 고령화사회 대응 사회정책 방향 패러다임
1. 새로운 패러다임의 근거
2. 정책방향의 새로운 패러다임: 연령통합적 사회체계 모형
V. 연령통합으로 열어 가야 할 미래의 고령화사회
제12장 우리나라의 노후 소득보장 정책
I. 현행 소득보장 프로그램
1. 직접급여 프로그램
2. 간접급여 프로그램
II. 노인 소득관련 사적(민간) 프로그램
III. 노후 소득보장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제13장 우리나라 노후 의료보장 정책
I. 의료보장의 비용부담 및 서비스
1. 사회보험
2. 공공부조
II. 의료보장의 서비스 전달체계
1. 가정/지역사회 보호 서비스
2. 시설 보호 서비스
3. 치매관리 종합계획 수립·시행 및 중앙치매센터 지정
4. 의료 서비스 진료 체계
III. 의료보장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국민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관련 사항
2. 노인장기요양보험 관련 사항
3. 의료 서비스 전달체계 관련 사항
제14장 우리나라 노후 주거보장 정책
I. 노인 주거정책의 발전과정
1. 1970년대 말까지
2. 1980~1993년
3. 1994~2005년
4. 2006년 이후
II. 주거보장 정책의 방법
1. 재가 목적 주거정책
2. 시설보호 목적 주거정책
III. 현행 노인 주거정책
1. 재가 목적 주거정책
2. 시설보호 목적 주거정책
IV. 고령자 주거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1. 주거정책의 문제점
2. 주거정책의 개선 방향
제15장 우리나라 노후 사회 서비스 보장 정책
I. 활동적 노화와 사회 서비스
1. 활동적 노화의 의미
2. 사회 서비스의 의미
3. 활동적 노화와 노인을 위한 사회 서비스 관계
II. 노후 사회 서비스 보장 정책
1. 당면문제 해결 기능 서비스
2. 발달욕구 충족 서비스
3. 노인권익옹호 기능 서비스
4. 정보제공 및 접근촉진 서비스
III. 현행 노후 사회 서비스 보장 정책
1. 당면문제 해결 서비스
2. 발달욕구 해결 서비스
3. 노인권익 옹호
4. 각종정보 제공 및 서비스 접근 촉진
IV. 사회 서비스 보장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1. 급여의 수급 자격
2. 급여의 종류 및 수준
3. 전달체계
4. 재정방법
제16장 우리나라 고령자 고용 정책
I. 우리나라 정년제 현황
1. 공무원의 정년 현황
2. 일반기업의 정년 현황
II. 고령자 취업 실태
1.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 현황
2. 고령 취업자의 산업별·직업별 취업 현황
3. 고령자의 취업 형태
4. 사업장의 고령자 고용률
III. 고령자 경제활동 참가 욕구
IV. 현행 고령자 취업 및 재취업 정책
1. 고령자 고용촉진 기본계획 수립
2. 고령자 우선고용 직종지정 및 고용
3. 고령자 등 고용차별 금지
4. 고령자 취업지원
5. 고령자 고용촉진 지원
6. 정년 연장 노력
7. 고령자 뉴스타트 프로그램
8. 직업능력 개발 사업
9. 노인 일자리 사업
10. 지역 일자리 사업
11. 사회적 기업과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 사업
12. 기타 일자리 창출 사업
V. 고령자 고용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1. 고령자 고용정책의 문제점
2. 정책적 과제와 개선 방향
제17장 우리나라 고령자 교육 정책
I. 현행 우리나라 고령자 교육 정책
1. 고령자 교육의 시각
2. 고령자의 교육 욕구 및 참여율
3. 현행 고령자 교육 정책
II. 현행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 시행 기관
1. 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의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
2. 경로당의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
3. 대학 및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
4. 종교시설에서의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
5. 평생학습관에서의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
6. 공공기관 및 기업의 고령자 교육 프로그램
III. 고령자 교육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1. 교육의 전반적 목표
2. 교육 대상
3.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및 수준
4. 전달체계
5. 재정
제18장 고령화사회와 제3기 인생
I. 전통적 인생주기론의 중년기와 노년기
1. 공자의 인생주기론
2. 에릭슨의 인생주기론
II. 고령화사회의 새로운 인생주기론과 제3기 인생
1. 라스렛의 인생주기론과 제3기 인생론
2. 새들러의 인생주기론과 제3기 인생론
3. 제3기 인생의 의미
III. 제3기 인생 계획 세우기
1. 제3기 인생 계획의 필요성
2. 제3기 인생 계획수립 시기
3. 제3기 인생 계획의 내용
참고문헌
찾아보기